•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충주 17.0℃
  • 맑음서산 18.6℃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추풍령 19.0℃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고산 18.8℃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제천 17.2℃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8.7℃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6.12.28 15:51:55
  • 최종수정2016.12.28 15:51:55

최창영

증평군 미래전략과장

우리 속담에는 참으로 많은 닭들이 등장한다. 쫓아오는 개를 피해 지붕으로 올라간 닭에서부터 닭을 잡아먹고 오리발을 내민 사람도 있다. 꿩이 귀했던 시절 떡국에 꿩고기 대신 닭을 넣어 먹는 풍습에서부터 타고난 성품은 고칠 수 없음을 비유하는'닭의 새끼 봉 되랴'와 아무 관심도 두지 않고 있는 사이인'닭 소 보듯, 소 닭 보듯 한다'까지 다양하게 등장한다.

이처럼 닭을 소재로 하는 속담들에는 개, 오리, 꿩, 봉, 소 등 다른 동물들이 많이 등장한다. 특히 썩 긍정적이지는 않지만 다른 동물과의 비교를 통한 속담들이 유독 많은 것 같다. 그만큼 닭이라는 동물은 유아독존형(唯我獨尊形) 동물이 아니라 다른 동물과의 관계 속에서 살아가는 상호관계형(相互關係形) 동물이란 의미일 거다.

닭은 태어날 때부터 상생과 협력의 힘으로 태어난다. 중국 송대(宋代) 벽암록(碧巖錄)에 줄탁동시(啐啄同時)라는 말이 있다. 병아리가 안에서 쪼는 것을 줄(啐)이라 하고, 어미 닭이 그 소리를 듣고 화답하는 것을 탁(啄)이라 한다. 바로 병아리가 알에서 깨어 나오기 위해서는 병아리와 어미 닭이 안팎에서 동시에 서로 쪼아야 한다는 뜻이다.

이렇에 태어나 성장한 닭을 중국 고전「한시외전」은 문무용인신(文武勇仁信)의 오덕(五德)이라 칭송했다. 붉은 벼슬은 문(文)의 기상이요, 날카로운 발톱은 무(武)의 위엄이다. 싸움에 물러서지 않으니 용(勇) 이요, 먹을 때 서로 부르니 인(仁)이며, 밤을 지키며 때를 놓치지 않으니 신(信)이라고 했다.

이제 며칠이 지나면 오덕(五德)을 갖춘 닭이 새벽을 깨우듯 2017년 정유년(丁酉年) 한 해가 밝는다. 2017년 대한민국은 어김없이 닭의 울음소리로 새해의 새벽을 시작할 것이다. 물론 그리 밝은 새해벽두가 될 것 같지 않아 보이지만, 그렇다고 우리의 희망을 버릴 수는 없지 않는가·

420년전, 1597년 정유년(丁酉年)에도 조선은 누란(累卵)의 위기에 맞고 있었다. 그러나 이순신 장군은 울들목의 물살 위에서'죽기를 각오하면 살고, 반드시 살고자 하면 죽는다.'는 필사즉생 필생즉사(必死卽生 必生卽死)의 각오로 서진(西進)하는 왜선을 막아섰고, 여기에 이름 없는 군사들과 백성들이 함께했다. 절망위에 12척의 배로 희망의 불씨를 살렸고, 풍전등화(風前燈火)의 국난을 극복했다.

1944년 먼 이국땅 베이징의 교도소에서 생을 마감한 저항시인 이육사또한 <광야>에서"까마득한 날에 / 하늘이 처음 열리고 / 어디 닭 우는 소리 들렸으랴"로 닭 울음을 태초로 노래했다. 그가 생을 마감하고 1년후 닭의 해에 우리는 그가 그토록 갈망했던 닭 우는 소리를 듣게 된다.

2017년 새해벽두 대한민국은 혼돈으로 한 해를 시작할 듯하다. 하지만 420년 조선이 그러했듯이, 72년 전 우리가 그토록 열망하던 광복을 맞았듯이, 우리에겐 언제나 위기탈출을 위한 줄탁동시(啐啄同時)의 정신이 있었기에 대한민국 또한 위기를 슬기롭게 극복할 수 있으리라!

"혼자서 꾸는 꿈은 한낱 꿈에 불과하지만 여럿이 함께 꾸는 꿈은 현실이 된다."는 말이 있다. 2017년 한 해, 가족 사이에는 화목의 줄탁동시, 조직에서는 상생의 줄탁동시, 지역에서도 화합의 줄탁동시가 있었으면 좋겠다. 그리고 대한민국 또한 국가 발전을 위해 지도자와 모든 국민이 함께 줄탁동시하는 한 해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