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충주 17.0℃
  • 맑음서산 18.6℃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추풍령 19.0℃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고산 18.8℃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제천 17.2℃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8.7℃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최창영

증평군 미래전략과장

최근 청년세대를 중심으로 혼자 있는 것을 즐기는 나홀로족이 늘어나고 있다. 하물며 혼자 밥을 먹는 사람을 뜻하는 '혼밥족'이라는 말까지 생겨났을까·

최근 한 포털사이트의 청년대상 설문조사에 의하면 응답자 1천400여명 중 72%가 점심을 혼자 먹는다고 답했다고 한다. 응답자의 80%는 일주일에 평균 1회 이상 점심을 혼자 먹는다고 답했으며, 주 7회라고 답한 응답자도 9%로 나타났다.그야말로 밥 식(食)자에 입 구(口)자를 써서 밥을 함께 먹는 사람을 뜻하는 식구(食口)가 사라지고 있는 것이다. 듣기만 해도 슬픈 일이 아닐 수 없다.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자살률은 6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하지만 20~30대 청년세대의 자살률은 오히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30대 사망 원인 1위가 바로 자살 이라고 한다. 이 또한 듣기만 해도 가슴 아픈 일이 아닐 수 없다.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라고 정의했다. 인간은 혼자서는 살 수 없으며, 반드시 타인과의 관계를 형성하며 살아가는 존재라는 것이다. 사자소학(四字小學) 붕우편에도 '인지재세 불가무우(人之在世 不可無友)'라는 말이 나온다. 사람이 세상을 살아가는데 있어 벗이 없을 수 없다는 뜻이다.

회사를 의미하는 'company'는 com(함께)+pane(빵)+ia(먹는것)를 붙여쓴 것이다. 우리말의 "한솥밥을 먹는다"와 같은 말이다. 중세 라틴어 compania에 뿌리를 둔 프랑스어 꼼빠니아(compagnie) 또한 군인이 함께 행군하며 끼니를 나누는 동반자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경쟁이 치열하고, 이윤을 최고의 가치로 추구하는 회사(company) 조차도 '함께 식사를 한다'는 의미를 함축하고 있는 것이다.

물론 지금 청년세대들은 3포(연애, 결혼, 출산 포기), 5포(3포+내 집 마련, 인간관계), 7포(5포+꿈, 희망)를 넘어 이제는 포기해야 할 것들을 셀 수조차 없는 N포 세대가 되었다고 자포자기한다.

그렇다고 5포와 7포의 하나인 '인간관계'까지도 포기해서야 되겠는가· 무한경쟁과 개인주의가 혼자 밥 먹는 사회를 만들었다고는 하지만 혼자 밥 먹는 외로움을 만드는 것은 바로 자신이다.

화향백리(花香百里)! 꽃의 향기는 백 리를 간다는 말이 있다. 하지만 인향만리(人香萬里)! 좋은 사람의 향기는 만 리를 간다고 한다.

좋은 사람의 향기야말로 가장 아름다운 것이다. 한 사람의 좋은 향기는 다른 사람과 사회 전체에 미치는 영향이 그 무엇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넓고 깊다. 바로 사람이 꽃보다 아름다운 이유이다.

백일홍 향기가 그윽한 8월의 목요일 아침이다. 100일 동안 붉게 꽃 핀다는 배롱나무(백일홍) 향기도 백 리 가기가 쉽지 않다. 하지만 오늘 함께 점심을 먹는 사람의 향기는 만 리를 가고도 남음이 있을 수 있다.

물론 간섭받지 않고 혼자만의 시간을 위해 '혼밥'이 편할 수 있다. 하지만 사회는 혼자서 생활하는 곳이 아니다. 다른 사람과 함께 하지 않고서는 새로운 기회도, 행복의 시간도 찾아오기 힘들다. 그렇기에 청년세대들도 점심 한 끼로 사람과 어울리는 법을 배워 나가야 하는 것이다.

오늘 점심은 혼자서 밥을 먹는 '혼밥족' 보다 함께 밥을 먹는 '함밥족' 젊은이가 많은 하루였으면 좋겠다. 혼자하지 않는 그 시간이 행복할 테니.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