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충주 17.0℃
  • 맑음서산 18.6℃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추풍령 19.0℃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고산 18.8℃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제천 17.2℃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8.7℃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6.04.06 13:45:33
  • 최종수정2016.04.06 13:45:33

최창영

증평군 미래전략과장

청명과 한식 그리고 식목일이 막 지났다. 한껏 봄기운을 머금은 삼기저수지 버드나무와 보강천 미루나무(이태리포플러)를 본다.

오동나무는 천 년을 지나도 제 가락을 간직하고 / 매화는 일생을 추위에 떨어도 향기를 팔지 않으며 / 달은 천 번을 이지러지더라도 본디 모습을 잃지 않고 / 버드나무는 백 번을 꺾여도 새로운 가지를 낸다.

조선 4대 문장가의 한 사람인 신흠의 '야언(野言)'에 나오는 한시로, 퇴계 이황이 평생 좌우명으로 삼았다고 한다.

옛 설화와 기록에는 버드나무가 자주 등장한다.

고려를 건국한 왕건이 우물가 여인에게 물을 청했더니, 그 여인은 왕건이 물을급히 마셔 체할까 봐 바가지에 버들잎을 띄워줘 후일 왕비가 되었다는 설화가 전해온다.

이순신 장군은 무과시험에서 말에서 떨어져 다리가 부러지는 부상을 입었지만 버드나무 껍질로 다리를 동여매고 시험을 무사히 마쳤다는 이야기도 있다. '삼국사기'의 '쓰러진 버들이 저절로 일어났다'는 기록과 중국 문헌 '본초강목'의 '양류(楊柳)는 세로로 두든 가로로 두든, 거꾸로 꽂든 바로 꽂든, 모두 산다'는 기록은 버드나무의 강인한 생명력을 보여주고 있다.

한자에 버들양(楊)과 버들류(柳)가 있다. 학명에도 버드나무 과(Salicaceae)에 양버들 같은 사시나무 속(Populus)과 버드나무, 능수버들, 수양버들 같은 버드나무 속(Salix)이 있다. 미국에서 들어온 버드나무라는 뜻으로 '미류(美柳)나무'로 불렸던 포플러(poplar) 즉 미루나무 또한 사시나무 속의 일종이다.

버드나무는 의학적으로도 유용하게 활용됐다.

'계림유사'는 이(齒)를 청소하는 것을 양지라고 했다. 우리가 흔히 쓰는 양치질은 버드나무 양(楊), 가지 지(枝)의 양지질에서 나왔다고 한다. 버드나무 가지로 이를 청소하던 것이 옛날의 양치 방법이었던 것이다.

고대 중국에서도 이(齒)가 아플 때 버드나무 가지로 이 사이를 문질렀다고 하고, 이쑤시개인 요지(楊枝) 또한 버드나무(楊) 가지(枝)의 일본식 발음이다.

고대 이집트에서도 버드나무 껍질을 의약품으로 활용했다는 기록이 있고, 의학의 아버지 히포크라테스가 해열 목적으로 버드나무와 포플러나무 껍질을 사용했다는 기록과 함께 1897년 독일의 호프만 박사는 버드나무 껍질에서 추출한 성분을 가지고 아스피린을 개발하기도 했다.

이와 같이 버드나무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설화 및 의학사에 있어 인류와 깊은 인연을 맺고 있으며, 유용성과 함께 미인의 눈썹을 유미(柳眉)라고 하듯 아름다움 또한 내포하고 있다.

버드나무는 강인한 생명력과 유용성은 물론 부드러움까지 가지고 있어, 그야말로 외유내강(外柔內剛)의 나무, 유용지물(有用之物)의 나무인 것이다.

사람 또한 저 마다 유용성과 아름다움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그것으로 인해 때로는 세상이 딱딱해 지기도 한다. 여기에 바람에 흔들리는 버드나무 가지처럼 보다 유연해 지는 지혜를 보탠다면 세상은 한결 부드러워질 텐데 말이다.

T.S 엘리엇(Eliot)은 '황무지'라는 시에서 황폐해진 정신 상황을 '4월은 가장 잔인한 달, 죽은 땅에서 라일락꽃을 피우며'로 표현했다. 존속 살해와 아동 학대 사건이 모두의 마음을 어둡게 하는 잔인한 4월이다.

4월에는 우리 모두 황무지가 되어버린 마음에 라일락꽃을 피우고, 유용하고 아름답지만 유연하고 부드러운 '마음의 버드나무 한 그루'를 심어보자.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