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충주 17.0℃
  • 맑음서산 18.6℃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추풍령 19.0℃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고산 18.8℃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제천 17.2℃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8.7℃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6.04.20 15:56:00
  • 최종수정2016.04.20 16:00:23

최창영

증평군 미래전략과장

1995년 유네스코는 4월 23일을 '세계 책의 날'로 정했다. 책을 사는 사람에게 꽃을 선물하는 스페인 까딸루니아 지방의 축제인 '세인트 조지의 날'이자 셰익스피어와 세르반테스가 사망한 날이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도 2012년에 이날을 '책 드림 날'로 정했다. 하지만 문체부가 발표한 '국민 독서실태 조사'에 의하면 지난해 성인 독서율은 65.3%였다. 1년에 책을 한 권도 읽지 않는 성인이 10명 중에 3~4명에 이른다는 것이다. 1994년(86.8%) 조사 이래 가장 낮은 수치다.

세계 인구의 약 0.2%이지만 노벨상 수상자의 23%를 차지하고, 미국 인구의 2%에 불과하지만 미국 노벨상 수상자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민족이 유대인이다. 이런 유대인의 저력은 세계 최고의 독서열에서 나온다. 그들의 독서는 단순히 책을 읽는 것이 아니라 질문하고 토론하고 논쟁하는 방식이다.

유대인 아인슈타인과 운전기사 일화가 있다. 아인슈타인이 상대성 이론을 발표하자 강연 요청이 쇄도했다. 어느 날 운전기사가 "박사님의 강연을 반복해서 듣다보니 저도 다 외웠습니다. 오늘은 피곤한 박사님 대신 제가 강연을 하면 어떨까요?". 두 사람은 외모도 비슷했고 강연은 무사히 끝났다. 그러나 연단을 내려올 무렵 어떤 교수가 어려운 질문을 하는 상황이 발생했다. 가짜 아인슈타인은 "그 정도 질문은 제 운전기사도 답변할 수 있습니다. 자네, 올라와서 설명하도록 하게."

비슷한 일화가 우리나라에도 있다. 증평 출신으로 조선 최고의 독서광으로 알려진 김득신과 하인 이야기다. 어느 날 길을 가던 두 사람은 글 읽는 소리를 듣게 된다. "부학자 재적극박~" 김득신이 하인에게 말했다. "저 글이 아주 익숙한데 생각이 나지 않는구나". 하인이 말하기를 "정말로 생각이 나지 않으십니까? 저 글은 나으리가 평생 읽으신 것이라 쇤네도 다 외웠습니다." 그 글은 김득신이 무려 11만 3천 번이나 읽었던 '백이전'이었던 것이다.

운전기사가 '상대성 이론'을 강연하고, 하인도 '백이전'을 외우게 한 아인슈타인과 김득신에게는 공통점이 있다.

아인슈타인은 세 살이 되도록 말을 하지 못했고, 어렸을때 기억력이 좋지 않았다고 한다. 고교 퇴학과 대입 낙방, 박사학위 또한 중도에 포기하기도 했다. 노벨상을 받았을 때 직업은 특허사무소 직원이었다. 하지만 그는 어렸을 때부터 인문 고전에 심취했고, 대학 졸업 후에도 친구들과 올림피아 아카데미라는 독서 클럽을 만들어 토론했던 독서광이었다.

김득신도 어릴 적 천연두를 앓아 머리가 나빴다. 하지만 백이전을 11만3천번 읽고, 1만번 이상 읽은 책이 36편에 이르는 등 끊임없는 독서를 통해 환갑이 다 된 59세에 과거에 급제한 독서광이었다.

사람이라면 다섯 수레의 책은 읽어야 한다는 '남아수독오거서(男兒須讀五車書)'의 다독(多讀)이 아니면 어떠한가.

눈빛이 종이를 뚫는 '안광(眼光)이 지배(紙背)를 철(徹)'하고, 백번 읽으면 저절로 뜻을 알게 되는 '독서백편의자현(讀書百遍義自見)'의 정독(精讀)이 아니면 어떠한가.

세계 책의 날을 전후해 한 달간 부모들이 취침 전 자녀들에게 20분씩 책을 읽어주는 영국의 '잠자리 독서캠페인'이 아니면 또 어떠한가.

다가오는 4월23일 '세계 책의 날'에는 손에서 책을 놓지 않았던 김득신과 아인슈타인의 수불석권(手不釋卷)을 생각하며, 서로에게 책을 선물해 보자.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