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충주 25.4℃
  • 맑음서산 21.4℃
  • 맑음청주 25.4℃
  • 맑음대전 25.8℃
  • 맑음추풍령 26.0℃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맑음홍성(예) 23.7℃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고산 18.1℃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제천 23.9℃
  • 맑음보은 25.4℃
  • 맑음천안 24.9℃
  • 맑음보령 22.5℃
  • 맑음부여 24.9℃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08.08.07 20:45:16
  • 최종수정2013.08.04 00:44:01
요사이 모기는 독하다. 겨울에도 죽지 않고 따뜻한 지하실 등에서 살아남을 뿐만 아니라 엘리베이터를 타고 전 아파트를 들락거리면서 위용을 과시한다. 한참 더운 요즈음 짜증을 더하는 요물이다.

모기는 더운 낮에는 선선한 곳에서 쉬면서 활동을 개시할 저녁을 기다린다. 암컷이 피를 빠는 이유는 피 속의 성분이 알을 만드는데 필요하기 때문이다.

모기는 물 때, 일단 침을 피부에 주사하는데 침에는 20여가지의 단백질이 포함돼 있고 이 중에는 혈액응고를 방해하는 물질이 있어 피를 수월하게 빨 수 있게 해 준다. 그러나 이런 물질은 염증반응을 일으켜물린 부분이 붓고 가렵게 된다. 사람에 따라서는 물린곳이 몹시 부어오르고 이차 감염에 의해 화농해(고름이 생겨) 고생하기도 한다.

그러나 모기의 가장 큰 위험성은 피를 빨면서 옮기는 병원체에 있다. 수많은 바이러스와 기생충이 모기를 매개로 전염되는데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모기의 대부분은 말라리아 원충을 옮기는 중국얼룩날개모기이며 일부가 일본 뇌염을 옮기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한때 말라리아가 박멸된 곳으로 알려져 왔으며 외국 여행 중에 걸린 말라리아가 1년에 10건 정도 보고되고 있었을 따름이었다. 필자도 의과대학시절에 실습시간에 말라리아원충을 관찰한 것이 경험의 전부일 정도이다.

그러나 1993년도에 휴전선 부근에서 근무한 외국여행 경험이 없는 군인이 걸린 예를 시작으로 매년 말라리아의 발생율이 증가해 요사이는 한해 3천명정도가 발생할 정도로 급증하고 있다. 발생지역도 경기도 북부에 한정되다가 점차 남하해, 급기야는 국립보건원에서 경기도, 인천시, 강원도 일부를 말라리아 위험지역으로 지정했다.

다행인 것은 우리나라에 발생하는 말라리아는 3일형 말라리아(3일을 주기로 열이 난다는 뜻이다)로 생명을 앗아갈 정도로 독한 것은 아니다. 그러나 특히 5세 이하의 어린이나, 임신부, 면역력이 약해진 성인은 치명적일 수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해외여행을 다녀오는 사람이 늘고, 동남아 뿐만 아니라 아프리카 등까지 여행범위가 넓어지면서 치명적인 열대형 말라리아에 걸릴 위험성도 증가하고 있다. 유행지역을 여행할 때는 반드시 예방약을 1주일 전부터 복용하고 지역을 벗어나더라도 4∼6주는 더 복용해야 한다.

일본뇌염은 일본뇌염모기가 감염된 돼지에서 피를 빨고 난 후 사람피를 빨 때 바이러스가 전파돼 발생하는 병이다. 말 그대로 뇌에 염증이 나타나므로 사망률도 높고 회복되더라도 20∼30%에서 판단력 저하, 사지마비 등의 여러 가지 후유증이 남는 무서운 병이다.

보건당국에서는 일본뇌염모기의 출현정도에 따라 주의경계령을 내리고 있으므로 그 기간에는 특히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모기에 물리지 않으려면 저녁부터 이른 아침까지 야외활동을 피하는 것이 좋다. 부득이한 경우 긴팔, 긴바지를 입도록 한다. 모기 기피제를 바르는 것도 도움이 된다. 모기약은 많이 뿌릴 경우 그 자체의 안전성이 담보되지 않으므로 차라리 옛날처럼 모기장을 치고 자는 것이 더 좋겠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기술을 넘어 협력으로" 성장 네트워크 구축하는 충북이노비즈

[충북일보] "충북 이노비즈 기업들이 연결을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경쟁력을 확보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은 지역 내 탄탄한 경제 기반으로 핵심역할을 하고 있다. 30일 취임한 안준식(55) 신임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장은 회원사와 '함께 성장하는 기술혁신 플랫폼'으로서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 역할을 강화한다는 것에 방점을 찍었다. 안 신임 회장은 "취임 후 가장 먼저 해야할 부분은 이노비즈기업 협회와 회원사 위상 강화"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대외협력위원회(위원장 노근호 전 충북테크노파크 원장) △경영혁신위원회(위원장 이미연 ㈜유진테크놀로지 대표) △회원사 협력위원회(위원장 한연수 ㈜마루온 대표) △봉사위원회(위원장 함경태 ㈜미래이앤지 대표) △창립 20주년 추진위원회(위원장 신의수 ㈜제이비컴 대표)로 5개 위원회를 구성했다. 안준식 회장은 도내 회원사들이 가진 특징으로 빠른 적응력과 협력네트워크를 꼽았다. 그는 "충북 이노비즈 기업은 제조 기반 기술력과 신사업으로의 적응력이 뛰어나다. 첨단산업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이 다수 분포해 있고, 산업단지 중심 클러스터화도 잘 이뤄져 있어 협력 네트워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