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충주 17.0℃
  • 맑음서산 18.6℃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추풍령 19.0℃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고산 18.8℃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제천 17.2℃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8.7℃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유제완

충북문인협회장

 시골 들녘은 언제나 평화롭다. 가을 끝자락에 접어든 요즘 들판엔 온통 황금 물결이 넘실댄다. 내가 서 있는 내 앞에 논은 문전옥답이라는 수식어를 넘어 우리 가족을 보살펴온 은혜로운 삶의 터전이다. 이 논의 오랜 주인이셨던 아버님은 돌아가셨지만 벼들은 결실의 이삭을 내밀면서 생명력이 넘친다. 올 가을에도 풍성한 결실을 가져다주겠다고 약속이나 하는 것처럼….

 난 어릴 적 봄이 돼 이 논에 못자리판이 만들어지고 영농철이 시작되면 너무 싫었다. 아버지가 데리고 다니면서 이것저것 잔심부름을 시키는 게 귀찮았기 때문이다. 농사지을 전답이 없는 이웃집 용선이는 노는데 나만 일을 한다고 생각하면 철부지 시절 짜증이 났다. 힘들여 일을 하시면서도 쑥쑥 자라는 벼를 바라보며 흐뭇해하는 아버지의 마음을 그땐 헤아리지 못했다.

 농촌서 나고 자라면서도 벼가 수확이 되기까지 얼마나 많은 노력이 필요한지도 미처 깨닫지 못했다. 벼를 파종해서 흙과 물과 바람의 바탕아래 농부의 손길이 수없이 거쳐야 쌀이 된다는 것을 몰랐다. 여덟 팔(八)자가 맞붙어져 쌀 미(米)자가 된 이치를 맨몸으로 부딪힌 아버지를 통해 들을 수 있었다.

 내가 쌀이 얼마나 소중한가를 깨달은 것은 고교시절이었다. 추운겨울 옆집 용선네 막내가 태어났다. 농사지을 변변한 땅이 없던 용선네는 용선 아버지가 날품을 팔아 일곱 식구 생계를 이어갔다.

 겨울이면 그마나 일거리가 없어 용선네 생활은 죽으로 근근이 연명할 정도였다. 막내를 낳은 용선이 어머니는 부은 얼굴로 산후 조리도 제대로 못한 채 자식들 먹을거리 걱정을 하고 있었다. 어린마음이지만 가슴이 아팠다.

 난 우리집 쌀독에서 쌀을 퍼다가 그 집 부엌에 몰래 갖다 놓았다. 그해 겨울 열 번 정도 그렇게 했던 것으로 기억된다. 그 뒤 생활고를 견디지 못한 용선네는 도시로 이사를 갔다. 얼마 후 고향에 다니러온 용선 어머니가 우리 어머니를 잡고 미안하다고 사과를 했다고 한다. 영문을 몰랐던 어머니는 그해 쌀독에 쌀이 줄어들었던 까닭을 알게 됐다. 어머니는 내게 고구마도 좀 갖다 줬으면 큰애들도 먹었을 텐데… 하시며 자신이 못한 걸 자식인 내가 한데 대해 흐뭇해 하셨다.

 그 시절 쌀은 그토록 생명같이 귀한 것이었다. 그런 쌀의 처지가 초라하게 급변했다. 가격은 국제수준보다 높지만 하락세다. 풍년에 의무 수입쌀 증가, 거기에 소비부진까지 겹치니 업친데 덮친 격이다. 창고에 묵은 쌀이 넘쳐 올해 쌀 재고량이 140만t이다. 적정량의 두배라 저장 비용도 엄청나다.

 함민복 시인은 '긍정적인 밥'에서 이렇게 갈파했다.

 시한편에 3만원이면/ 너무 박하다 싶다가도/ 쌀이 두말인데 생각하면/ 금방 따뜻한 밥이 된다/ 시집 한권에 삼천원이면/ 든 공에 비하면 헐하다가 싶다가도/ 국밥 한 그릇인데/ 내 시집이 국밥 한 그릇 만큼/ 사람들 가슴을 따뜻하게 데워줄 수 있을까/ 생각하면 아직 멀기만 하네

 쌀은 돈으로 환산할 수 없는 가치를 가지고 있다. 우리 기성세대에겐 그렇다. 쌀은 곧 사람을 살리는 생명이기 때문이다. 아무리 좋은 고급승용차라도, 제아무리 비싼 보석이라도 한사람의 생명을 살릴 수 없다는 단순한 이치로 생각하면 쌀 한톨 앞에 경건해진다. 때문에 농업은 언제나 오래된 미래이고 순수한 생명력이다.

 쌀 한 톨을 만들기 위해 혼신의 힘을 쏟았기에 돌아가신 아버지가 흘린 땀은 땀이 아니라 피땀이다. 그 피땀의 결실을 사람들이 외면할 때 농부의 가슴엔 피눈물이 고인다. '일미칠근' 쌀 한 톨의 무게는 일곱 근이라는 말이 있다. 어릴 적 우리 어른들은 '밥을 버리면 천벌을 받는다'고도 말씀하셨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