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충주 17.0℃
  • 맑음서산 18.6℃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추풍령 19.0℃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고산 18.8℃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제천 17.2℃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8.7℃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7.09.25 14:29:11
  • 최종수정2017.09.25 14:29:11

유제완

충북문인협회 회장

난 주말이면 등산을 위해 야외로 떠납니다. 산야에 펼쳐진 풍경을 보노라면 인위적으로 규격화한 시설에서 재배되는 작물이 불쌍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비닐 하우스에 작물이 갖힌 채 사람이 원하는 만큼, 원하는 규격으로 원하는 시기에 생산해내야 합니다.

과일나무도 자기가 자라고 싶은 대로 선형을 잡지 못하고 사람이 관리하기 좋게 다듬고 잘라내고 묶어서 성장을 시킵니다.

주역의 계사하전 5장 곤패(困卦)에 나오는 困자 형상입니다. 갇혀 있는 모습 그대로지요.

기형이 된 나무엔 과일이 빼곡이 매달립니다. 마치 어린아이에게 잔뜩 짐을 지워준 모습 그대로 입니다.

포도, 사과 나무는 쇠파이프가 십자가로 세워져 서 있고 나무들이 기대어 서서 팔을 벌리고 있는 모습은 십자가에 매달린 예수님의 두팔처럼 가로대에 동여매져 있습니다.

그런 과일나무에 꽃이 피면 멀리서 바라보는 이들은 아름답다고 바라보지만 나무는 제가 피운 꽃도 제맘대로 결실을 맺지 못합니다.

사람들이 선별해서 솎아 냅니다. 남은 열매도 비바람에 견디고 농약 샤워도 수차례 해내야 합니다.

나무는 생명체라기 보다는 생산하는 제조기일 뿐입니다. 어려움 속에서 자신이 감당하기 어려운 숫자의 과일을 먹여 살리려고 사람이 주는 화학식품이던 유기식품이던 닥치는 대로 먹어야 하니까요.

요즘 나무는 열매를 맺어 열매속 씨를 싹틔워 자신을 닮은 나무로 성장시키는 천륜을 잃은지도 오래됐습니다. 내가 어렵게 해서 얻은 결실은 사람의 미각을 만족시키고는 씨는 귀찮은 존재로 쓰레기에 섞여 다시는 세상구경을 할 수 없게 폐기됩니다. 씨까지 몸에 좋다고 먹어버리기도 합니다.

내가 서 있던 자리에 혹시 나를 닮은 종이 다시 서 있게 돼도 나와는 관계없는 놈이 서게 되는 것이지요.

생각이 여기에 이르자 나무가 너무 불쌍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자신이 자신을 잘 지탱하지 못해 철봉에 기대어 간신히 서 있으면서 섭취한 영양분을 고스란히 자식에게 빼앗기니 말입니다.

어떻게 보면 나무에 있어 과일은 자식이기 보다 약탈자 같은 존재가 아닐까요.

나무만 그런 것은 아닙니다. 만물의 영장이라는 사람도 부모와 자식의 연은 거의 비슷한 과정을 거칩니다.

과일나무에 꽃이 피면 우리는 그 아름다움을 찬미하지만 그때부터 고난은 시작됩니다.

열매를 보호하기 위해 뜨겁게 작렬하는 태양과 비바람을 온몸으로 맞서야 합니다.

사람도 청춘의 그 아름다움을 정점으로 자식을 낳고 돌봐야 하는 과정에 접어 듭니다.

자식들은 나보다 나은 환경에서 살게 해주겠다고 삶이라는 질곡속에 헤매이다 보면 온갖 고통과 수난도 감수해야 합니다.

삶에 지쳐 힘이 소진되어 가면 얼굴엔 온갖 수난의 주름이 그려지고 늙음이라는 힘겨운 세월만 남게 됩니다.

제 어미의 살과 진을 빼앗아 먹고 몇 개월을 자란 과일, 제 부모의 고통과 사랑이 점철된 인고의 세월 수십년을 먹고 성장한 사람, 모두가 부모의 숭고한 희생정신임을 알아야 하지만 대부분 망각하고 삽니다. 하늘에서 떨어진양 천륜을 저버리고 제멋대로 행동합니다.

우암산 자락 거처가 온통 녹색바다에 파묻혔다.

이곳 상좌골 오르는 길옆에 피었던 이팝나무꽃은 흰눈이 되어 아스팔트위에 때아닌 설경을 그렸고 짙은 꽃 향기로 자극하던 아카시아도 누렇게 퇴색되면서 꽃잎을 맥없이 땅위에 떨어뜨린다. 연록색의 조화가 무너지더니 녹색 바탕에 빨간 장미만 마지막 피날레를 장식하고 있다부터 받은 고귀한 모습은 천박한 것으로 치부하고 성형외과 의사의 설계와 기구, 약물에 의존해 아무 거리낌없이 자신의 모습을 바꿔 버립니다.

내면의 색깔도 선하고 착한 것은 지우고 욕망과 위선으로 가득찬 표독한 모습으로 바뀝니다.

세상이 온통 아름다울 것 같지만 순수함이 사라지고 가식만이 가득합니다.

자식으로서 부모에게 은혜를 보답하는 아름다운 미풍은 사라진지 오래 됐습니다.

나무나 사람이나 자연속에서 최적의 환경을 추구하는 것은 섭리입니다. 하지만 알맞은 것이어야지 과도하고 넘치면 좋은 결실, 좋은 삶, 가치있는 삶은 얻지 못합니다.

'나는 무엇으로 또 어떻게 사람들에게 기억되고 싶은가'라는 물음에 앞서 분명하게 답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그렇게 기억되고 싶은 모습이 되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돈 많고 힘있는 사람으로 기억되고 싶다면 돈과 권력을 쫓으면 되겠지만 정녕 아름다운 사람으로 기억되고 싶다면 자기만의 향기 있는 가치를 만들고 그것을 유산으로 남겨야 합니다.

설원(說苑)에 이르길 화향천리행 인덕만년훈(花香千里行 人德萬年薰)이라 했습니다. 말 그대로 꽃향기는 천리를 가지만 사람의 덕의 가치는 만년동안 향기로운 법입니다.

과일나무와 부모가 인고의 세월을 견디며 길러낸 가치를 진정으로 발하며 살아가는 길은 자신에게 달려 있습니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