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10.6℃
  • 맑음강릉 18.7℃
  • 맑음서울 13.2℃
  • 맑음충주 9.4℃
  • 맑음서산 11.2℃
  • 맑음청주 15.3℃
  • 맑음대전 13.5℃
  • 맑음추풍령 9.8℃
  • 맑음대구 15.7℃
  • 맑음울산 12.0℃
  • 맑음광주 14.6℃
  • 맑음부산 13.3℃
  • 맑음고창 9.9℃
  • 맑음홍성(예) 10.4℃
  • 구름많음제주 14.0℃
  • 구름많음고산 11.3℃
  • 맑음강화 8.5℃
  • 맑음제천 9.1℃
  • 맑음보은 9.6℃
  • 맑음천안 9.5℃
  • 맑음보령 8.3℃
  • 맑음부여 10.1℃
  • 맑음금산 10.5℃
  • 맑음강진군 10.9℃
  • 맑음경주시 12.9℃
  • 맑음거제 13.3℃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고영옥

구연동화 강사·전 수필가

그저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가슴이 열리는 풍경이 있다. 서천 신성리 갈대밭에서의 느낌이 그랬다. 아득한 지평선 그 너머까지 온통 다 갈대밭일 것 같은 광활한 갈대숲이 일렁인다. 고갈되었던 정서가 조금씩 채워지며 어떤 감수성이 올라오는 느낌이다.

언제 봐도 갈대는 예의 바르고 거짓말을 할 줄 모른다. 갈대숲에 미풍이 지나가면 미풍에 미안하지 않을 만큼 작은 흔들림으로 반응해 주고 강풍이 불면 그에 어울리도록 크게 흔들려 준다. 그러면서 자신을 보호하여 뿌리를 내어 주는 법은 거의 없다. 아무리 센바람이 불어도 큰비가 내려도 당차게 뿌리를 지켜내고 있다. 옆 친구와의 결집력과 응집력도 강해서 갈대숲은 나날이 왕성해진다. 갈대는 그렇게 자신을 지킬 뿐 아니라 물가에 뿌리를 내리고 물에서 이물질과 중금속을 제거하는 등 자연 정화처리 방식에 의해 수질을 개선하기도 한다. 그것뿐이 아니다. 키를 높이 키워 다른 생명의 바람막이가 되어줌으로써 철새는 물론 다양한 생물들에게 서식지를 제공하기도 한다.

갈대는 흔들려서 갈대다. 잔바람에도 흔들려 제 몸을 가누지 못하는 여린 성정이지만, 휘어질지언정 부러지지 않는, 그래서 힘을 힘으로 받지 않고 비켜설 줄 아는 지혜가 그들이 온전히 생명을 유지할 수 있었던 비결일 거다. 끝없이 밀려드는 바람이건만, 얼굴 한 번 붉히는 법 없이 살랑살랑 춤이라도 추듯 바람을 비끼고 또 타고 넘는다. 갈대는 씨앗에 하얀 날개를 달았다. 바람에 흔들리면서 그 씨앗을 날려 보내 종족 번식이라는 대업을 완성해 나간다. 갈대에게 '흔들림'이란 생존을 위한 최선의 방법이자 삶의 원천이었다.

파스칼은 그의 저서<팡세>에서 '인간은 자연 가운데서 가장 약한 하나의 갈대에 불과하다. 그러나 그것은 생각하는 갈대'라고 말했다. 이 얼마나 멋진 표현인가· 그 '생각, 즉 '사고(思考)할 수 있는 능력'으로 인해 인간은 스스로가 처한 삶의 유한함을 깨닫고, 그 생각이라는 것을 통해 자기 삶의 지평을 열어가고 있다. 바로 이것이 인간의 존엄성이며, 고로 인간은 위대하다는 것이 파스칼의 논리이다.

그뿐만 아니라 흔들리며 생각한다는 것은 생각의 폭이 고정된 마인드를 벗어나 다방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무한한 가능성의 암시로 이해되기도 한다. 흔들림의 대명사인 갈대에다 여자를 비유하기도 한다. 베르디의 오페라 <리골레토>의 아리아가 아니라도 여자의 마음은 갈대와 닮은 구석이 있긴 하다. 종잡을 수 없는 그 방향성만큼은 어느 정도 닮지 않았던가. '생각하는 갈대'든 '여자의 마음은 갈대'든 이 두 정의가 주목하는 갈대의 특징은 역시 '흔들림'이다.

신경님 시인은 '갈대는 저를 흔드는 것이 제 조용한 울음인 것을 까맣게 몰랐다.'라고 표현했다. 산다는 것은 속으로 이렇게 조용히 울고 있는 것 그래서 흔들리고 있는 것인가 보다.

요즈음 나는 몸을 가누기 어려울 정도의 세찬 바람을 만났다. 세상에 하나뿐인 내 편을 놓쳐 버릴까 봐 전전긍긍하고 있다. 방향도 세기도 종잡을 수 없는 바람에 뿌리까지 흔들린다. 지금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바람과 맞서지 않고 비켜서고 타고 넘으며 뿌리를 지켜내는 일이다. 어쩌면, 지금 나를 흔드는 것은 바람이 아니라 나의 조용한 속울음인지도 모르겠다.

갈대숲에 석양이 깃든다. 석양을 머금은 갈대숲이 바람이 이끄는 대로 넘실댄다. 그렇게 그들은 서로서로 어깨를 걸고 서로에게 몸을 기댄 채 바람과 노을과 더불어 어우러지고 있다.

참으로 오랜 세월 그에게 기대고 살아왔다. 이젠 내가 어깨를 내줄 차례다. 오늘도 내일도 서로 어깨를 걸고 서로에게 몸을 기댄 채, 함께 갈 수 있기를 기도한다.

갈대숲처럼.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기술을 넘어 협력으로" 성장 네트워크 구축하는 충북이노비즈

[충북일보] "충북 이노비즈 기업들이 연결을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경쟁력을 확보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은 지역 내 탄탄한 경제 기반으로 핵심역할을 하고 있다. 30일 취임한 안준식(55) 신임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장은 회원사와 '함께 성장하는 기술혁신 플랫폼'으로서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 역할을 강화한다는 것에 방점을 찍었다. 안 신임 회장은 "취임 후 가장 먼저 해야할 부분은 이노비즈기업 협회와 회원사 위상 강화"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대외협력위원회(위원장 노근호 전 충북테크노파크 원장) △경영혁신위원회(위원장 이미연 ㈜유진테크놀로지 대표) △회원사 협력위원회(위원장 한연수 ㈜마루온 대표) △봉사위원회(위원장 함경태 ㈜미래이앤지 대표) △창립 20주년 추진위원회(위원장 신의수 ㈜제이비컴 대표)로 5개 위원회를 구성했다. 안준식 회장은 도내 회원사들이 가진 특징으로 빠른 적응력과 협력네트워크를 꼽았다. 그는 "충북 이노비즈 기업은 제조 기반 기술력과 신사업으로의 적응력이 뛰어나다. 첨단산업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이 다수 분포해 있고, 산업단지 중심 클러스터화도 잘 이뤄져 있어 협력 네트워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