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충주 17.0℃
  • 맑음서산 18.6℃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추풍령 19.0℃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고산 18.8℃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제천 17.2℃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8.7℃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5.10.14 13:23:16
  • 최종수정2015.10.14 13:23:10

김귀룡

충북대 철학과 교수

난 가끔 산에 간다. 당일치기로 가는 것이 아니라 산 밑에 숙소를 얻어 놓고 3~5일 동안 산을 다닌다. 새벽에 일어나 아침을 먹고 산에 오른다. 점심쯤 내려와서 밥을 먹고 오후에 또 산에 간다. 대여섯 시쯤 내려오면 몸이 파김치가 되어 무념무상의 상태가 된다. 여자는 물론이고 술, 담배, 커피를 일절 하지 않는다. 이렇게 해서 좋아진 몸을 등산으로 들볶는다.

몸을 들볶으면 머리에서 쓸데없는 생각들이 많이 추려진다. 나는 몸이 피곤할 때 떠오르지 않는 생각들은 과감하게 버린다. 나는 이렇게 몸을 통해서 생각들을 필터링하는 방법을 써본다. 불필요하거나 중요하지 않은 생각들을 버리는 좋은 방법이다. 하지만 몸이 이렇게 피곤한데도 살아남아 뇌리에 떠오르는 생각들은 곰씹어 보는 편이다.

몸이 피곤한 데도 살아남는 생각들은 평상시의 나를 사로잡고 있는 경우가 많다.

세상을 살다보면 머리는 쉴 틈이 없다. 한 가지 생각만을 골똘히 하기 어렵다. 대학을 들볶는 정부의 정책에 대해 불만을 가지다가도, 갑자기 역사교과서 국정화 문제로 심각한 토론을 하고, 집사람과 애들 문제로 걱정도 하고, 오늘은 누구랑 저녁을 먹을까를 고민하기도 한다. 이렇게 나의 머리는 끊임없이 이어지는 생각과 느낌으로 쉴 틈이 없다.

산에 가서 몸을 들볶다보면 머리에 떠오르는 오만가지 생각의 가짓수가 줄어들어 생각이 단순해진다. 몸이 정말 피곤한 데도 계속 떠오르는 생각이나 느낌, 감정이 있다면 그것들은 나의 뇌리 깊숙한 곳에 각인된 것으로 봐도 무방하다. 그런 생각이나 느낌들은 내 삶과 생활에 상당히 깊이 영향을 끼치고 있는 편이다.

나의 뇌리 속에 깊숙이 자리 잡은 생각이나 느낌은 산에 갈 때마다 다르다. 무언가를 강렬히 욕구하는 탐욕의 마음이 남을 때가 있는가 하면 어떤 경우에는 집사람의 건강에 대한 걱정이 남기도 하고, 어떤 경우에는 꼴도 보기 싫은 놈에 대한 원한이 남기도 한다.

이번에 산에 갔을 때는 몇 년 전 관계가 틀어진 몇 사람에 대한 원한이 솟구쳐 올라 애를 먹었다. 곁에 있으면 한 대 쥐어박고 싶을 정도로 분노의 감정이 생생했지만 그도 할 수 없으니 그저 속으로 삭히는 수밖에 다른 도리가 없었다.

그런 감정에 시달리면 내 마음은 괴롭다. 그건 황당한 일이다. 멀리 떨어진 사람들이 나의 마음에 영향을 미쳐서 분한 마음을 들게 하고 또 그 때문에 나는 괴로워하고 있다고 생각해 보라. 어찌 황당하지 않겠는가?

그건 누구의 잘못인가? 지금 옆에 없는 사람이 나에게 해코지를 할 수는 없는 법. 지금 옆에 없는 사람이 과거에 행한 일 때문에 내가 지금 괴로워한다는 것은 사실 말이 되지 않는다.

그 사람들은 내 옆에 없고, 그 사람들이 한 일도 과거의 일이다. 그 사람들이 현재 내가 겪고 있는 감정의 원인일 수 없다는 말이다. 지금 내가 겪는 괴로움은 내가 스스로 마음에서 재생산한 원한으로 말미암은 것이다. 그러니 내 괴로움의 책임은 100% 나에게 있다. 떠오르는 느낌을 이런 방식으로 곰씹다 보면 원한이나 분노는 어느새 사라진다.

누구의 마음이 됐든 사람의 마음은 참 오묘하다. 나는 이미 잊고서 다른 관계 속에서 살아가고 있는데 마음은 그걸 잊지 않고 불쑥불쑥 생각나게 해서 생각할 거리를 제공한다. 아직 치유하지 않고 덮어서 한 쪽 옆으로 치워놓은 마음 깊은 곳의 앙금을 밖으로 꺼내서 앞에 내놓고 어떻게 할 거냐고 묻는다.

이를 좀 더 일반화시켜 보면 마음은 우리에게 이렇게 묻고 있는 것이다. 너의 마음에 드는 모든 감정이나 생각을 어떻게 정리하고 해소할 거냐?

마음은 우리에게 말하고 있다. 망각하거나 회피하지 말고 항상 감정이나 느낌을 정리하고 해소하고 넘어가야 네 마음의 괴로움을 없앨 수 있다고.

어떻게 정리하고 해소할 것인가· 그건 엄청 어려운 일이다. 마음은 이렇게 항상 우리에게 어렵고도 오묘한 숙제를 안겨주고 있다. 그런데 우리는 그걸 피하고 망각하기 위해 애를 쓴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