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일보] 오는 12월 준공된 뒤 내년 3월께부터 통행이 허용될 세종시 금강보행교의 남쪽 끝에서 일요일인 14일에도 조경과 진입로 개설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신도시 금강 북쪽 중앙공원과 남쪽 세종시청 사이를 연결하는 이 다리(길이 1천446m의 원형)는 세종시의 새로운 관광명소가 될 전망이다. 세종 / 최준호 기자 choijh5959@hanmail.net
[충북일보] 코로나19 사태가 2년째 계속되고 있지만, 지난달 전국은 물론 세종시의 실업률이 과거 같은 달보다 크게 떨어졌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들이 세금을 들여 단기(短期) 공공 부문 일자리를 확대한 데다, 경영난을 겪는 업체 등이 정규직 대신 시간제 아르바이트 인력을 늘린 게 주요인이다. 하지만 이로 인해 근로자들이 일하는 평균시간도 코로나 사태가 나기 전보다 크게 줄었다. 결국 일자리의 '양'은 급증했지만 '질'은 낮아졌다는 뜻이다. ◇실업자 수는 코로나 직전보다 60% 감소 통계청과 각 지방통계청은 전국 및 시·도 별 고용동향을 매월 발표한다. 이에 충북일보는 최근 발표된 2021년 10월분과 2020년 1월(코로나 사태 직전)분 전국 및 세종의 '실업' 및 '취업' 관련 통계를 각각 비교 분석했다. 먼저 실업 관련 주요 지표를 보면, 지난달 전국 실업률은 지난해 1월(4.1%)보다 1.3%p 낮은 2.8%였다. 10월 기준으로는 2013년(2.7%) 이후 8년만에 가장 낮았다. 이에 따라 지난달 전국 실업자 수는 작년 1월(115만3천명)보다 36만5천명(31.7%) 적은 78만8천명이었다. 세종시의 지난달 실업
[충북일보] 전국적으로 '요소수(尿素水) 부족 사태'가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세종시가 시민들의 불편을 덜어주기 위해 요소수를 취급하는 주유소들을 일제 단속키로 했다. 시는 "금강유역환경청 소속 합동 단속반 등과 함께 16일부터 18일까지 시내 주유소 65곳을 대상으로 매점매석(買占賣惜)을 점검한다"고 15일 밝혔다. 요소수는 디젤 차량에서 나오는 대기오염물질인 질소산화물(窒素酸化物·Nitrogen Oxide·NOx)을 정화시키는 데 쓰이는 물질이다. 또 매점매석은 '물건 값이 오르기를 기다려 많은 양을 사둔 다음 오를 때까지 팔지 않고 보관해 두는 행위'를 일컫는다. 한편 세종도시교통공사와 민간업체가 운행 중인 시내버스 외에 세종시청이 보유한 각종 차량들도 요소수 의존율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날 기준으로 전체 행정관리 차량 505대 가운데 54.7%인 276대가 요소수를 쓴다. 시는 "시민들의 안전과 밀접한 관견이 있는 소방·구급·재난 출동 차량의 경우 전체 102대 중 44.1%인 45대가 요소수를 사용한다"며 "이에 따라 앞으로 10개월 정도 쓸 수 있는 2천600ℓ(10ℓ들이 260통)를 확보하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청소 차
[충북일보] 세종시 금남면이 세종신협(대표 안승권) 등의 도움을 받아 최근 영대리 '바람재 쉼터 공원'과 인근 '비학산 일출봉'에 정자를 새로 설치했다. 신도시(행복도시)에서도 가까운 두 곳은 주변 전망이 매우 좋다. 이에 따라 주말이나 휴일에 등산객이 많이 찾는 것은 물론 매년 세종시민들을 위한 해넘이 및 해맞이 장소가 되고 있다. 세종 / 최준호 기자
[충북일보] 국토연구원(세종시 반곡동)이 지난 9월 17일 시작한 '3회 국토스토리 영상 공모전'이 11월 19일 마감된다. 행사는 일반·청소년·어린이 등 3개 부문으로 나뉘어 진행된다. ☏044-960-0464,0126 세종 / 최준호 기자
[충북일보]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으로부터 최근 농어촌상생협력기금 지원 대상 기관으로 선정된 세종시가 한국중부발전(본사 충남 보령시) 자금 3억 원을 지원받아 '시민주주형 농업법인' 육성 사업을 벌이기로 했다. 이에 따라 오는 12월 3일까지 농업정책과에서 참가 신청을 받는다. 법인에는 주민 20명 이상이 주주로 참여해야 한다. 또 1인당 출자한도는 주식 총수의 20% 이하로 제한되고, 전체 이윤의 50% 이상은 사회에 환원해야 한다. ☎ 044-300-4312 세종 / 최준호 기자 211114 농어촌상생협력기금 홉피 - 자료 출처=농어촌상생협력기금 홈페이지 211114 한국중부발전 홈피 - 한국중부발전 홈페이지 세종시 '시민주주형 농업법인' 참가자 모집 대·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으로부터 최근 농어촌상생협력기금 지원 대상 기관으로 선정된 세종시가 한국중부발전(본사 충남 보령시) 자금 3억 원을 지원받아 '시민주주형 농업법인' 육성 사업을 벌이기로 했다. 이에 따라 오는 12월 3일까지 농업정책과에서 참가 신청을 받는다. 법인에는 주민 20명 이상이 주주로 참여해야 한
[충북일보] 세종시 선거방송토론위원회와 청소년활동진흥센터 공동 주최로 지난 13일 세종시 고운동 복합커뮤니티센터에서 열린 '중학생 토론대회'에서 김예진 양(고운중)과 성치현 군(양지중)으로 구성된 '질수없죠' 팀이 최우수상(세종시선거관리위원회위원장상· 상금 50만 원)을 차지했다. 또 우수상은 '그레이팀(아름중 박소은·한태호)', 장려상은 '니케팀(다정중 김효현,두루중 김채영)'에 각각 돌아갔다. '교실 내 CCTV 설치'를 주제로 열린 이번 대회에는 세종시내 7개 중학교 학생 11개팀이 참가했다. 세종 / 최준호 기자 211114 중학생 토론대화1-세종선관위 - 세종시 선거방송토론위원회와 청소년활동진흥센터 공동 주최로 지난 13일 세종시 고운동 복합커뮤니티센터에서 열린 '중학생 토론대회'에서 김예진 양(고운중)과 성치현 군(양지중)으로 구성된 '질수없죠' 팀이 최우수상(세종시선거관리위원회위원장상· 상금 50만 원)을 차지했다. 이번 대회에 참가한 학생들이 기념 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 제공=세종시 선거방송토론위원회 211114 중학생 토론대화2-세종선관위 - 세종시 선거방송토
[충북일보] 종합장례시설인 세종시 은하수공원이 오는 25일 오전 8시부터 '산림형 수목장(별누리숲)'을 운영한다. 나무 45그루를 활용, 모두 196명분을 안치(安置)할 수 있는 규모다. 은하수공원은 지난 2017년 9월부터 나무 254그루로 '도시형 수목장'을 운영해 왔으나, 당초 예정보다 일찍 1천 246명분이 마감됐다. 은하수공원 관계자는 "인공적으로 심은 나무 주변에 화장(火葬)한 유골(遺骨)을 묻는 도시형 수목장과 달리, 산림형 수목장은 당초에 있던 나무를 활용하는 자연친화적 장례 방식"이라고 말했다. 자세한 내용은 은하수공원 홈페이지에 올라 있다. ☎1599-4411 세종 / 최준호 기자
[충북일보] 세종국악원이 오는 28일(일) 오후 5~7시 세종시청 4층 여민실에서 '명성 대교약졸(名聲 大巧若拙)'이란 주제로 판소리 공연을 한다. 백금렬 씨가 사회를 맡는 가운데, 김청만·윤진철·박현숙·원미혜·고소라·모승덕·임예주·김태은 씨 등이 출연한다. ☏010-4731-4276 세종 / 최준호 기자
[충북일보] 세종시는 "내년에는 방축천 음악분수(어진동 450-25)를 정상 운영할 예정"이라고 최근 밝혔다. 5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월~금요일에는 1회(저녁 8시 30~50분), 토·일요일에는 2회(저녁 7시 30~50분, 8시 30~50분) 가동한다. 시는 "정부의 '위드 코로나(With Corona·코로나와 공존)' 정책에 따라 이 같이 결정했다"며 "하지만 (코로나 사태가 악화하면) 달라질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2014년 6월부터 운영된 이 분수는 세종시민과 관광객들이 봄~가을철 밤에 즐겨 찾는 곳이다. 지난해 2월부터 코로나19 사태가 전국으로 확산됐음에도 불구, 작년까지는 거의 정상적으로 가동됐다. 그러나 세종시는 올 들어서는 "코로나 감염이 우려된다"는 이유로 한 번도 운영하지 않았다. 반면 △대전 엑스포과학공원 한빛탑 △충남 예산 예당호 출렁다리 △논산 탑정호 출렁다리 △경기도 이천 설봉공원 등 전국 각지의 유명 음악분수는 올해도 대부분 가동됐다. ☎ 044-300-5336 세종 / 최준호 기자 211114--150505 -2015년 첫 방축천 음악 -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올해는 전혀 가동되지 않
[충북일보] 그림같이 알록달록한 색의 조합이다. 뽀얀 크림 사이에 여러 과일의 단면이 보인다. 양손의 엄지와 중지를 모아 만든 동그라미만큼 커다란 크레이프 롤이다. 한 조각씩 그릇에 가지런히 놓은 투명한 냉장고가 마치 액자처럼 보인다. 겨우내 가장 많이 들어가던 딸기는 더워진 날씨를 따라 생망고에 주인공 역할을 넘겨줬다. 크레이프롤 전문점으로 입소문이 난 카페 포하다. 크레이프롤은 이연주 대표가 카페를 시작하면서 꼭 만들고 싶었던 디저트다. 제철 과일을 꼬박꼬박 챙겨온 연주 씨는 과일을 즐기는 않는 이들에게도 과일 맛을 전하고 싶었다. 애써 과일을 찾아 먹기 힘든 사람도 쉽고 맛있게 먹을 방법을 고민했다. 공간의 색채부터 소품까지 공들여 꾸민 자신의 카페에서 계절마다 달라지는 과일을 활용한 디저트를 소개해보기로 했다. 맛은 물론 예쁜 모양을 갖춘 흔치 않은 메뉴를 찾다 결정한 것이 크레이프 롤이다. 연주 씨가 원하는 크기로 얇고 크게 부친 크레이프는 쫀득한 식감을 담당한다. 제대로 된 모양을 잡기 위해 수없이 많은 동그라미를 펼치고 구웠다. 한 김 식힌 크레이프 위에는 크림과 과일이 넉넉하게 올라간다. 가장 어려운 기술은 큼직한 롤을 마는 과정이다. 풀어지
[충북일보]경기침체와 고물가 영향으로 설 선물의 양극화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다. 충북도내 유통업계에 따르면 백화점의 경우 물가 상승 영향으로 10만 원 미만 선물 물량은 지난해 설 보다 5%가량 줄어든 반면, 대형마트들은 5만 원 미만 선물 비중이 확대되고 있다.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을 보이는 백화점 선물세트는 물가 상승 영향으로 구성 상품들의 시세가 전반적으로 오른 영향이 크다. 설 성수품인 배 가격은 최근 강세를 보이고 있다. 6일 청주지역 기준 배(신고) 평균 소매 가격은 10개에 4만2천900원 이다. 지난해 보다 27.37% 비싸다. 지난해 배 생산량 감소와 저장단계에서 고온 피해로 인해 유통 가능 물량이 줄어들면서 가격 상승에 여파를 미쳤다. 이에 기존 사과·배에 더해 샤인머스캣이나 애플망고를 섞은 혼합세트가 증가했다. 명절 주요 선물 상품인 한우의 경우 포장 중량을 줄여 가격 부담을 낮추는 전략을 마련하고 있다. 대형마트는 '가성비'로 소비자들의 마음을 잡고 있다. 지난해 설 보다 '5만 원 미만' 상품의 비중을 확대하거나, 커피·차 세트, 김·양말 등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선물 세트가 인기를 끈다. '1
[충북일보] 청주시가 12년만에 오페라하우스 조성 사업을 재추진한다. 지난 2013년에 이 사업이 무산된 이후 공식적으로 두번째 도전이다. 이를 위해 시는 최근 오페라하우스 조성사업을 대통령 선거 공약 건의사업으로 채택하고 충북도에 상정한 상태다. 도 역시 이 사업을 충북지역 공약으로 확정하고 각 정당별 후보자가 확정되는대로 건의사업 목록을 전달할 방침이다. 더불어민주당 충북도당과 국민의힘 충북도당 등 각 정당에는 목록을 전달한 상태다. 시가 구상한 오페라하우스의 위치는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는 문화제조창 잔디광장 인근 창고동 건물 터다. 현재는 이 건물들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시는 이 건물들을 철거한 뒤 그 위에 오페라하우스를 짓겠다는 구상이다. 이 사업에는 모두 737억원의 예산이 투입될 것으로 산정했다. 총 부지면적 1만897㎡에 건물이 세워지고 객석은 500~1천석 규모로 지어진다. 시는 이곳을 오페라와 뮤지컬 등 특수 무대 구현이 가능한 전문 공연장으로 조성해 문화시설 간 역할 분담을 이어나갈 계획이다. 오페라하우스 조성사업을 추진하며 시가 고민했던 부분은 사업성이다. 인구대비 사업성이 나오지 않으면 유령 시설로 전락할 우려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