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충주 17.0℃
  • 맑음서산 18.6℃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추풍령 19.0℃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고산 18.8℃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제천 17.2℃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8.7℃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피플파워 - 국내 유일 금속활자장 임인호씨

'直指 복원 일등공신'…인쇄강국 명맥 잇다

  • 웹출고시간2014.02.02 19:24:43
  • 최종수정2014.02.02 18:50:29

임인호 활자장이 금속활자 주조전수관에서 밀랍주조를 이용한 금속활자주조법을 설명하고 있다.

ⓒ 안순자기자
"직지는 제 인생에 있어 커다란 숙제입니다. 거스를 수 없는 운명이지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본인 '직지심체요절(直指心體要節·직지)'이 고향인 청주에서 최근 복원됐다.

직지를 그대로 재현한 이는 중요무형문화재 101호, 국내 유일 금속활자장 임인호(52)씨다.

임인호 활자장이 금속활자 주조전수관에서 밀랍주조를 이용한 금속활자주조법을 설명하고 있다.

ⓒ 안순자기자
옛 방식 그대로 금속활자 직지를 복원하며 인쇄강국 대한민국의 명맥을 잇고 있는 임 활자장을 청주시 운천동에 있는 금속활자 주조전수관에서 만났다.

스무 살이던 1984년 서각에 입문한 그는 작품활동에 매진하기 위해 고향인 괴산군 연풍면으로 내려왔다.

1997년 초, 고향에서 그는 스승인 오국진 선생을 만나면서 금속활자와 인연을 맺었다.

오 선생 타계 후 2009년 12월 그는 2대 중요무형문화재 101호 금속활자장 기능보유자로 지정됐다.

금속활자장이 되고 몇 해가 흘렀지만 스승의 빈자리가 더욱 커지고 있다. 임 활자장은 우려는 기우에 불과했다. 그는 밀랍주조법으로 직지 금속활자 복원에 성공하면서 1인자임을 다시 검증했다.

지난 2011년부터 올해로 4년째 '직지'를 복원하고 하고 있다.

지난달 22일 전수주조관에서 그는 지난 한해 결실인 '직지' 금속활자 복원인판 17장을 공개했다. '직지' 하권 30~39장과 실물이 남아 있지 않는 하권 1장·상권 1~6장이 복원돼 실체를 드러내 학계로부터 주목받았다. 프랑스국립도서관이 소장하고 있는 금속활자본 직지 하권에는 2장∼39장이 보관돼 있을 뿐 1장은 존재하지 않고 있다.

실물이 남아 있지 않은 '직지' 상권의 내용은 목판본을 따랐으며 금속활자본 하권의 글자와 직지와 동일한 활자(흥덕사자)로 찍은 '자비도량참법집해' 등을 참조했다.

두 인본에서도 확인되지 않으면 하권의 글자를 파자해 사용하는 등 최대한 원본에 가깝게 집자해 복원했다.

이번에 복원된 '직지' 금속활자는 고려시대에 원래 직지를 제작했던 방식으로 추정되는 밀랍주조법으로 복원해 학계의 또 한번 놀라게 했다.

임 활자장에게 금속활자는 자신과의 싸움, 인생의 숙제다라고 말한다. 그를 울고 웃게 하는 것 역시 금속활자다.

임인호 활자장이 금속활자 주조전수관에서 금속활자 주조과정을 시연하고 있다.

ⓒ 안순자기자
1천200도까지 펄펄 성이 난 청동을 주형틀에 붓고 20일간 식기를 기다리는 시간은 그를 괴롭히기도, 설레는 시간이기도 하다.

1년간 6천~7천자를 복원해야 한다는 부담감도 적지 않았다. 그는 대량생산을 위해 15자 내외로 제작한 주형틀을 150자까지 대량생산하는 방법을 터득했다. 가장 자연의 것을 재료로 쓰는 것도 만만치 않았다. 배합률, 온도, 습도 등 외부환경요인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이다.

직지 활자가 가진 특징을 그대로 금속활자로 만들고 만드는 과정에서 축소와 확대를 반복하는 금속활자의 특징을 이겨내는 것도 그의 몫.

임 활자장은 "금속활자는 글씨 자체가 획이 강해 금속활자로 만들기 어렵다"며 "밀랍을 녹여낸 공간에 부은 쇳물(청동) 식으면서 글자가 축소된다. 하나씩 떼어낸 활자를 일정한 크기로 줄로 깎고 다듬어 활자면을 평평하게 다듬는데 이때 글자가 커지지도 작아지기도 해 어느 한순간이라도 긴장의 끈을 놓을 수가 없다"고 밝혔다.

조선왕실 주조 금속활자 44종 복원하기도 했던 임 활자장은 오는 2015년까지 직지 복원 사업을 마무리 짓는 데 주력할 계획이다.

복원 사업이 끝나면 전수주조관 활성화, 예술적인 금속활자 대중화를 위해 관련 작품을 만들 생각이다.

임 활자장은 "조상들의 지혜와 얼이 깃든 옛것이 모습을 감추기 전에 계승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하는 것이 나와 이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이 해야 할 일"이라며 "인쇄강국에 걸맞게 후진양성에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 안순자기자 asj1322@hanmail.net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