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충주 17.0℃
  • 맑음서산 18.6℃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추풍령 19.0℃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고산 18.8℃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제천 17.2℃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8.7℃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피플파워 - 새마을운동 1호 농업인 하사용옹

"잘 살아보세~"…희망의 씨앗 전국에 심다
박정희 전 대통령 지시로 하우스시설 전파
'나도 가난을 극복할 수 있다' 자신감 키워
"농작물 기를 땐 제 자식처럼 잘 보살펴야"

  • 웹출고시간2013.11.11 22:13:35
  • 최종수정2014.04.01 14:11:13
식민지와 전쟁 등으로 우리나라도 가난에 신음하던 시절이 있었다. 오죽했으면 '보릿고개'라 했던가. 먹을 게 없어 들과 산을 오가며 풀을 뜯어 먹었다. 단지 살기 위해서 말이다.

1973년 한국에 산업화 바람이 불었다. '잘 살아보세'는 일상에서 주고 받는 덕담됐다. '새벽종이 울렸네~'로 시작되는 노래는 국민가요 같았다. 초록색의 새마을기(旗)는 전국 곳곳에서 펄럭였다.

충북농업의 대부(代父) 하사용(84)옹의 시간은 1974년 5월에 머물러 있었다. 전국에 새마을 운동 바람이 불던 당시, 故박정희 前대통령으로부터 "우리나라 농업의 발전을 위해 힘써달라"는 말과 함께 받은 휘호를 들고 웃고 있다.

ⓒ 이주현기자
하사용(84)옹은 당시나이 마흔에 '새마을 운동 1호' 농업인으로 뽑혔다. 별다른 기술은 없었다. 그렇다고 돈이 많고 명예가 있던 것도 아니었다. 내세울 거라곤 성실함뿐이었다. 그는 청원군 오송읍에서 하우스시설을 이용해 채소를 재배하는 청년이었고, 이제는 한세기 우리나라 농업의 한 획을 그은 대부(代父)가 됐다.

지난 8일 청원군 오송읍 정주리에 있는 하옹의 집을 방문해 두시간 가량 담소를 나눴다.

"배고픈 게 뭔지 감이 안 오지요? 살을 빼기 위해 밥을 굶는 것과는 비교가 안 돼요. 새마을 운동이 벌어지던 당시 농업은 질보단 양이었어요. 배고프니까 많이 먹으려면…. 농작물은 무조건 커야 했고 많이 생산했어야 됐죠."

하옹은 시간을 1970년대로 거슬러 올라가 20여분 간 고난과 역경을 겪은 자신의 인생을 떠올렸다. 평범하다 못해 초라해 보일 정도였다. 그는 자신이 유명해진 계기를 '비닐하우스'라고 했다.

정부에서 보릿고개에 허덕이는 농촌에 소득을 올릴 수 있는 방법으로 비닐하우스 재배를 권장했던 1967년, 박정희 전 대통령은 '농어민소득증대특별사업'이란 특별 지시를 내렸다. 쉽게 말해 농사에 필요한 자금을 일부분 지원해준다는 것인데, 사업 대상기준은 까다로웠다. 농업인들에게 대폭적인 자금을 지원하되 이 사업을 이끌어갈 유능한 지도자가 있는 지역이어야 했고, 주민들이 20~30% 정도 자력 부담해야 했다.

하옹은 이미 1963년부터 비닐하우스에서 채소를 재배했다. 조기 수확도 해 높은 수익을 올리고 있었다. 박 전 대통령의 특별 지시를 받은 하씨는 충북 곳곳을 돌며 비닐하우스 시설법을 전파했다. 그 결과, 농촌 곳곳에서 비닐하우스가 집단으로 세워졌고, 배추, 시금치, 토마토 등 싱싱한 채소가 사시사철 출하됐다.

하옹의 표현을 빌리면 비닐하우스는 '채소들의 집'이다. 사람의 집이 무너져서는 안되듯, 비닐하우스가 폭삭 내려앉아 애써 키운 채소들이 눈더미 속에서 죽어버리는 상상도 할 수 없는 끔찍한 일은 일어나지 않았고, 일어날 수도 없다는 굳은 믿음을 그는 갖고 있다. 채소들은 그가 매만지는 손길과 그의 발소리를 들으며 꽁꽁 얼어붙은 겨울에도 따뜻한 비닐하우스 안에서 늘 푸르름을 자랑했다.

새마을 운동이 전국적 범위로 확산된 1971년부터는 새마을 정신을 전파하는 농업 선구자가 돼 기업체, 관공서, 학교, 심지어 교도소에서까지 초청을 받아 강연했다. 세련된 말재주가 없어 투박하기 때문에 오히려 진솔하게 느껴졌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에게 '나도 가난을 극복할 수 있다'는 자신감과 묵묵히 땅에 고개 숙여 살아가는 농부의 모습으로 감동을 줬다.

강연 때마다 자주 듣는 질문이 있다고 한다. 겨울에 폭설로 숱한 비닐하우스가 무너지는데 어째서 하옹의 비닐하우스는 끄덕없느냐는 것이다.

"농작물을 기를 때는 제 자식을 기르는 것과 마찬가지로 정성을 쏟아야 됩니다. 제 자식처럼 아끼는 농작물이 비닐하우스가 무너지면 죽는데 그걸 그냥 내버려둘 수야 없지 않습니까. 푸릇푸릇 자라는 농작물들이 폭설 때문에 죽을지도 모른다며 나를 보고 살려달라고 아우성을 치는데 어떻게 그냥 내버려둡니까. 어떻게 나몰라라 하고 따뜻한 방에서 잠을 잘 수 있습니까. 그건 농사꾼이 아니죠."

/ 이주현기자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