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충주 17.0℃
  • 맑음서산 18.6℃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추풍령 19.0℃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고산 18.8℃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제천 17.2℃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8.7℃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24.03.20 14:36:00
  • 최종수정2024.03.20 14:35:59

송준호

우석대 문예창작과 교수

'누구나 지축 위에 / 홀로 서 있나니 / 햇살 한 줄기 뻗쳤는가 하면 / 어느덧 황혼이 깃든다.' <황혼이 깃들고>라는 짧은 시다. 이걸 쓴 이는 1959년에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이탈리아 시인 살바토레 콰시모도(Salvatore Quasimodo)라고 한다. 그가 노래한 그대로다. 우리들 각자는 누가 뭐래도 세상의 중심에 서 있다. 그렇게 믿고 살아간다. 그런데 햇살이 머무는 시간은 짧고, 어느덧 깃드는 황혼 속에 누구나 항상 홀로 서 있을 수밖에 없다.

딱 20년 전인 2004년에 상영된 바 있는 <고독이 몸부림칠 때>라는 영화가 있었다. 시골 노인들의 로망을 재미나게 그린 이 영화에는 주현, 박영규, 송재호, 양택조, 김무생, 선우용여 같은 중견 배우들이 출연했다. 빈티지를 살려 디자인된 포스터를 가만히 들여다보았다. 거기 배치된 배우들의 표정이 재미있었다. '고독'과 '몸부림'의 조합 또한 익살스러웠다. 그런데 고독이 얼마나 헤어나기 어려운 고통으로 여겨졌기에 거기서 벗어나려고 '몸부림'까지 쳐야 했던 걸까. 알고 보면 그런 게 외로움이고, 우리네 사람살이의 본질일지도 모르겠다. 흘러간 노래 몇 곡 들어보자.

'너를 보내는 들판에 / 마른 바람이 슬프고 / 내가 돌아선 하늘엔 / 살빛 낮달이 슬퍼라 / 오래토록 잊었던 눈물이 솟고 / 등이 휠 것 같은 삶의 무게여 / 가거라 사람아 세월을 따라 / 모두가 걸어가는 쓸쓸한 그길로~'

임희숙이라는 가수가 불러서 크게 히트한 <내 하나의 사람은 가고>의 1절이다. 이 노래는 시인이자 노래 운동가인 백창우가 서적 외판원으로 고단하게 살아가던 27세 무렵에 만들었다고 한다. 노래의 화자인 '나'는 '너'와 헤어진 뒤 찾아온 '등이 휠 것 같은 삶의 무게' 때문에 쓸쓸하다. 혹은 고독하다. 곁에 아무도 없어서 외로움을 견디기가 막막하다. '너 있는 그 먼 땅을 찾아 나설까' 하지만 다시 만날 기약 또한 없다. 겨우 20대 중반을 넘어섰을 청년 백창우의 고뇌가 절절하게 와 닿았다.

'외로워 외로워서 못 살겠어요 / 하늘과 땅 사이에 나 혼자 / 사랑을 잊지 못해 애타는 마음~' 이건 1960년대 가수 차중락이 부른 <사랑의 종말>의 첫 부분이다. '산산이 부서'져서 '허공중에 헤어'졌기 때문에 '불러도 주인없'고 '부르다가 내가 죽을' 수밖에 없다고 했던 소월의 <초혼>을 떠올리기에 조금도 부족함이 없다.

<고독이 몸부림칠 때>를 다시 들여다보면서 언제가 들어본 적 있는 옛 노래 한 구절을 또 소환해서 낮게 흥얼거린다. '가슴속에 스며드는 고독이 몸부림칠 때 / 갈 길 없는 나그네의 꿈은 사라져 / 비에 젖어 우우네~' 패티김이 불러서 많은 사람의 가슴에 비를 내리게 했던 <초우>는 그렇게 시작해서 '마음의 상처 지울 길 없어 빗소리도 흐느끼네∼'로 끝난다.

그런데, 그런데 이토록 눈부시게 화창한 봄날, 고독이 어쩌고, 지울 길 없는 마음의 상처는 또 어쩌고, 하면서 적잖이 외로워지는 까닭은, 혹시, 저기 저 TV 화면에 비친, 환자들 두고 가운을 벗어 던진 의사들의 뒷모습이 눈에 들어와서인 건 아닐까.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