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충주 17.0℃
  • 맑음서산 18.6℃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추풍령 19.0℃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고산 18.8℃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제천 17.2℃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8.7℃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박명애

수필가

밤새 비가 내렸다. 메마른 산야에 화르르 옮겨붙는 불이 무서워 '비'라는 말만 들어도 화색이 돌던 봄날이었다. 귀갓길에 발이 젖고 바람이 창을 흔들어도 좋았다. 그런데 이른 새벽 창을 여니 길가에 휑하니 비어 있는 벚나무들이 눈에 들어온다. 주변을 환하게 밝히던 꽃잎들은 밤사이 깊고 구석진 곳으로 낙화하여 단체로 열반에 들었는지 사위가 고요하다. 봄 꿈이 이리 저무는가. 어제 숲에서 만났던 그 나무도 고적하려나.

어제 오후, 일정이 변경되면서 선물 같은 여유가 주어졌다. 학교 도서관에서 다음 주 일정에 필요한 책을 읽는 데 마음이 점점 가라앉았다. 소설 속 주인공은 어린 시절 유대인이라는 이유로 부모를 잃고 숨어지내야 했으며 청년이 되어서도 주변의 공감과 지지를 얻지 못한 채 안정적인 생활을 할 수 없었다. 사람들을 멀리해야만 평화롭게 살 수 있다는 결론에 도달한 그는 달팽이처럼 자신만의 동굴 속으로 들어가 버린다. 과거의 트라우마에 갇힌 그는 낯선 도시에서 자신을 숨긴 채 정해진 루틴에 따라 기계적으로 살아가며 안정감을 느낀다. 그러나 느닷없이 방문 앞에 나타난 비둘기와 눈을 마주치며 온 삶이 흔들린다.

안전하게 울타리를 쳐 놓은 삶 속으로 예기치 못한 사건이 걸어들어오면 그 순간에는 누구나 공황 상태에 이를 수밖에 없다. 다만 얼마나 오래 그 순간에서 나오지 못하는가에 따라 다를 뿐. 소설 속 인물의 감정이 내게로 전이되기에 커피 한잔을 들고 근처 숲으로 나갔다. 그 숲엔 좋아하는 벚나무가 한그루 있다. 그 꽃을 한동안 잊고 살았다.

숲으로 난 오솔길 입구에 들어서니 무채색 숲을 환하게 밝히는 벚나무의 자태가 멀리서도 돋보여 마음에도 물기가 도는듯했다. 한눈에 들어오는 거리쯤 다가가니 벚꽃은 이미 절정을 지나 바람이 불지 않아도 꽃잎들이 나풀거리며 날아왔다. 호로록 날리는 연분홍 꽃잎들을 담아보고 싶었지만 카메라는 온전하게 그 순간을 가두지 못했다. 더 가까이 다가가지도 못하고 그 자리에 머물러야 했는데 연분홍 꽃잎들이 오솔길을 발 디딜 곳 없이 덮고 있었기 때문이다. 여린 꽃잎들을 차마 밟을 수 없어 그저 눈에 담으며 근처 벤치에 앉아 커피를 마셨다. 며칠 저리 세상을 밝히다 바람 따라 후르르 떠나는 자연의 순리라니. 문득 자귀 꽃 지던 저녁을 거두어 가버린 그가 그리웠다.

그 나무도 밤새 가슴을 비웠으리라. 내려다보니 빗물 고인 작은 웅덩이에서 꽃잎들이 바람에 리듬을 타고 있다. 그 웅덩이 위로 소설 속 주인공이 비 내린 저녁 물웅덩이와 물웅덩이를 지그재그로 찾아 걸으며 옷이 젖도록 철벅대던 모습이 오버랩된다. 비로소 자유를 찾아 활기차게 걸어가던 그의 뒷모습. 봄은 그런 것이다. 꽃은 그런 것이다. 두보는 곡강(曲江)이란 시에서 '꽃잎 하나 날아가 봄빛을 이울더니 바람이 몰아간 만점에 정녕 나는 시름겨워라(一片花飛減却春 風飄萬點正愁人)'며 '세상 이치 헤아려보니 그저 행락할지라 무엇 하러 허명으로 이 몸을 얽어매겠는가(細推物理須行樂 何用浮名絆此身)'라 하였다. 그저 꽃지는 봄날을 가볍게 즐겨도 좋으리라.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