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충주 17.0℃
  • 맑음서산 18.6℃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추풍령 19.0℃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고산 18.8℃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제천 17.2℃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8.7℃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신종석

새로운 시작이 있으면 끝이 있기 마련이다. 하루를 잘 보내고 마감하는 시간쯤의 해는 더욱더 붉어진다. 하루 중 가장 크고 붉은 해는 아침 일찍 떠오르는 시간이 아니라 해질녘이다. 어느 날엔 저무는 해를 쫓아 무작정 운전대를 잡고 해가 가는 방향으로 달리기도 했다. 그러나 그 붉던 해는 어느 사이로 숨었는지 형체 없이 사라졌을 때 얼마나 허망한지 모른다. 스멀스멀 어둠이 하늘을 덮는 시간엔 모두를 잃어버린 듯 두렵기만 하다. 해가 지면 어둠이 찾아오고 기다리면 밝은 아침이 오듯 삶 또한 명암의 연속이다.

남편의 삶은 지금이 해질녘쯤인 것 같다. 퇴임식을 코앞에 두고 사회적응기에 있다. 또한 남편의 일생을 마라톤으로 비유 한다면 지금쯤 쉬지 않고 달려와 결승점에 도착한 거라고 말하고 싶다. 남편의 목표는 가족과 함께 행복하게 살기위해 가볍게 때로는 숨이 턱이 차오르도록 마라톤으로 뛰었을 것이다. 오르막도 있었을 것이고 경사가 심한 내리막을 달리면서도 멈출 수가 없었을 것이다. 달려오면서 포기하고 싶을 때도 많았을 것이다. 그러나 가족이 기다리는 결승점을 향해 입에서 단내가 나도록 뛰고 뛰었다고 한다. 이제 코앞인 결승점에서 기진맥진 하며 결승점에 도착 했을 때 그동안 수고 했노라고 그리고 당신의 노고에 감사하다고 등을 두드리고 다리를 주물러야겠다. 그가 쉬지 않고 뛰는 사이 아이가 태어났고 부모님이 돌아가셨으며 아이들이 자라났고 아이들이 학업을 마치고 취업을 했으며 두 아이 모두 결혼을 했다. 마지막 오르막길에서 남편이 주저 않아 다시는 일어서지 못할 줄 알았으나 다시 털고 일어나 뛰어왔기에 결승점까지 올수 있었다. 이제 인생의 끝자락에서 줄 곳 뛰기만 했던 남편은 무엇을 해야 할지 막막한가보다. 퇴직 후 자신이 할 일을 찾느라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는 그를 바라보는 마음도 편치 않다.

남편은 노후를 잘 보내기 위하여 중국어를 배우고 한문 공부를 한다. 색소폰을 열심히 배우는가 하면 인문학강의를 듣기위해 열심이다. 그뿐 아니라 박물관에서 개설한 박물관 강의도 빠지지 않고 듣는다. 매주 목요일은 사진 동우회원들과 함께 출사를 나간다. 잠시도 틈을 주지 않고 뛰고 있는 남편을 보니 서글퍼진다. 본인은 아주 열심히 노후준비를 하는 중이라고 말하고 있지만 내가 보기엔 욕심을 부리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소설가 박완서 선생은 수필집 「두부」에서 "늙는 것도 쉬운 일은 아니다. 산천이나 초목처럼 저절로 우아하게 늙고 싶지만 내리막길을 저절로 품위 있게 내려올 수 없는 것처럼 그게 그렇게 쉬운 일이 아니다." 이렇게 늙는다는 것을 내리막길을 내려오는 것에 비유하였다. 또한 늙으니 "마음 놓고 고무줄 바지를 입을 수 있는 것처럼 나 편한대로 헐렁하게 살 수 있어서 좋고 안하고 싶은 건 안할 수 있어서도 좋다." 라는 구절이 있다.

이제 남편이 헐렁하게 살았으면 좋겠다. 내리막길을 품위 있게 내려오기를 바란다. 그동안 오로지 달리기만 했던 삶의 궤도에서 내려와 산천초목처럼 자연스럽게 늙어 갔으면 하는 바람이다. 인도의 시인이자 사상가인 타고르는 "인생이란 책을 들춰보면 대부분의 페이지는 텅 비어있다. 당신의 사색으로 그 공간을 채워 나가야 한다." 라고 말했다. 속도를 줄이고 이제는 천천히 걸어가면서 자연과 벗 삼아 사색하는 삶이 새로운 시작이 되었으면 좋겠다. 고무줄 바지를 입은 것처럼 헐렁하게 살면서 그동안 쌓아두기만 했던 생각 욕심 그리고 미움 원망을 하나씩 하나씩 버리는 연습이 필요한 시점인 것 같다. 남편과 나의 삶은 이제 늙어서 버리고 갈 것들만 남았다. 함께 살면서 채우지 못한 빈 공간들은 두 사람이 손을 마주 잡고 사색으로 채워나가는 삶은 품위 있고 아름답게 늙는 방법일 것이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