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충주 17.0℃
  • 맑음서산 18.6℃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추풍령 19.0℃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고산 18.8℃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제천 17.2℃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8.7℃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5.02.01 14:32:01
  • 최종수정2015.02.01 14:31:59

신종석

충북중앙도서관 영양사

가벼운 마음으로 생태탐사에 나섰다. 바람은 아직 노여움을 풀 마음이 없는 것 같다. 매섭게 후려치는 막바지 겨울바람의 손끝은 맵다. 매운바람 사이로 간간이 부드러움을 느낀다.

겨울 동안 동장군의 서슬에 숨도 못 쉬고 납작 자세를 낮추고 있던 봄기운이 서서히 고개를 들고 있다. 내일 모래가 입춘이다. 24절기 중 첫째 절기로 대한과 우수 사이에 있는 절기이다. 이제 본격적인 농사 준비를 하는 한해가 시작이 되는 시기이기도 하다. 입춘과 함께 또 새로운 봄은 이만큼 가까워졌고 생강나무는 벌써 꽃 몽우리가 잔뜩 부풀어 올랐다. 잣나무 숲에는 쌓인 눈 사이로 진한 초록 잎을 삐쭉 내밀고 있는 풀들이 더러 보인다. 산과 들엔 조금씩 봄의 기운이 일어서고 있다.

내일 모레면 입춘이다. 우리 집 현관에 일 년 동안 경사스러운 일이 많이 생기기를 기원 했던 입춘대길(立春大吉) 건양다경(建陽多慶) 이라는 문구도 새로 붙여야겠다. 경건한 마음으로 가정의 안녕을 기원하며 해마다 새로운 글귀를 붙이는 것이 중요한 입춘행사가 되었다. 현관문에 딱 붙어있는 그 글귀는 부적처럼 우리가족의 안녕을 기원 하고 있다. 하루를 늘 기분 좋게 시작 할 수 있는 주문인 입춘대길(立春大吉) 건양다경(建陽多慶)을 읽으며 현관문을 연다.

입춘이면 가시가 많은 음나무 가지를 잘라서 문설주에 달아놓고 잡귀의 근접을 막는 풍습도 있으며 보리를 뽑아 보리뿌리로 그 해의 풍년을 점치기도 했다는 이야기도 전해져 내려온다. 지금도 가끔 대문이나 상가 안에 음나무 가지를 매단 것을 볼 수 있다. 우리 선조들은 아주 오래전부터 입춘에는 오신반(五辛盤)을 먹었다고 '동국세시기'에 기록되어 있다. 산갓, 움파, 당귀싹, 미나리싹, 무싹 다섯 가지 햇나물을 눈 아래에서 캐어 임금님께 진상한데서 오신반이 유래했다는 설도 있다. 또한 옛날 임금님이 입춘에 오신채를 진상 받아 중신들에게 나누어주며 사색당쟁을 타파하고 화합하라는 의미를 부여 했다는 설도 있다.

오신반(五辛盤)은 노란 싹을 가운데 놓고 동서남북에 청, 적, 흑, 백의 사방색(四方色)나는 나물을 배치하여 내 놓았는데 이는 사색당쟁을 초월하여 서로 화합하고 협력하여 정치를 잘 해나가자는 의미도 있었다고 한다. 다섯 가지의 맵고 자극이 강한 나물은 겨울동안 저장식품만 먹고 지낸 사람들에게는 신선하고 맛있는 먹거리였을 것이다. 봄이 오는 계절에 처음으로 고개를 내민 식물들의 맵고 자극이 있는 식재료를 찾아 입맛을 돋게 만드는데 일조를 한 것은 당연하다. 옷깃을 여미는 추위 속에 산과 들에서 혹독한 겨울을 이긴 파릇한 나물은 그야 말로 보약이 따로 없다. 봄이 오기도전에 쌉쌀하고 매콤한 자연의 향이 진한 나물을 한입 가득 물고 봄을 음미하는 상상만으로도 입에 침이 고인다.

눈이 봄바람에 사르르 녹을 무렵이면 동면에 들었던 짐승이나 먹을 것이 없어 굶주렸던 동물들은 얼음을 비집고 올라오는 쓰거나 매운 독성을 가지고 있는 앉은부채나 박새풀을 먹는다고 한다. 독성을 가진 풀들은 동물들의 꼬였던 장을 풀어주며 소화기관을 원활히 해주어 봄을 맞이하여 여러 가지 풀과 고기를 먹을 수 있는 건강한 몸을 만들어 준다고 한다.

우리네 선조들도 쌉쌀하고 매운 성분을 가진 새싹을 먹으므로 기와 혈이 혼란해져있는 우리의 몸을 바로 잡아준다는 것을 오랜 경험으로 알고 있었을 것이다.

봄은 햇살을 받으며 서서히 일어나고 있다. 잔뜩 기가 죽어 엎드렸던 날들을 털어버리고 일어나서 바구니를 들고 봄나물을 캐러 가자. 캘 수 있는 것이 어디 봄나물뿐이랴!

봄나물의 쌉쌀하고 매운맛은 또 한해를 건강하게 잘 보낼 수 있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