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충주 17.0℃
  • 맑음서산 18.6℃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추풍령 19.0℃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고산 18.8℃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제천 17.2℃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8.7℃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5.07.19 14:42:29
  • 최종수정2015.07.19 17:17:22

신종석

삼시세끼 밥을 해결 하는 것이 녹녹하지 않은 일이다. 우리는 태어나서 살아오는 동안 식사로 시작하여 식사로 마무리를 한다. 사람을 만나면 '식사 하셨어요?' 라는 인사가 기본이듯 식사는 우리의 일상이면서 삶의 연장선이다. 삼시세끼를 찾아먹는 일도 불과 얼마 전이라고 하면 잘살던 사람들은 무슨 소리냐고 할지 모르겠다. 내가 어렸을 때 는 제대로 된 삼시세끼 끼니해결이 어려웠다. 아침을 밥으로 먹었다면 점심은 찬밥이 남았으면 먹고 안 남았으면 굶었다. 저녁은 죽 아니면 국수 그나마 여의치 않으면 수제비로 연면하기가 일수였다.

요즈음 TV 채널을 켜기만 하면 요리프로그램이 판을 친다. 그것도 여자가 아닌 남자 들이 안방마님들을 홀리고 있다. 남자들이 부엌에 들어가면 안 된다고 가르친 부모님 말씀이 무색할 정도로 남자들은 스스럼없이 음식을 만들어낸다. 요리프로그램의 제목도 다양하다.

'삼시세끼' '오늘은 뭐 먹지?' '냉장고를 부탁해' '집밥 백선생' '식사 하셨어요' '한국인의 밥상' 등 손가락으로 헤아리기 힘들 정도다. 요리프로그램을 들여다보면 참으로 많은 이야기가 숨어있다. 나는 요리도 좋지만 그 속에 녹아있는 감성과 그리움과 따뜻함에 더 마음을 두고 보고 있다. 밥상을 마주 하고 밥을 먹는다는 것은 마음을 나누는 일이다. 하루를 끝내고 저녁에 가족과 함께 먹는 밥은 위로 받고 격려하는 휴식의 자리이기도 하다. 그런 시간이 있기에 우리는 다시 일할 기운을 얻고 아침을 맞이할 수 있다.

'최불암의 한국인의 밥상'은 전국 방방곡곡을 다니면서 아름다운 풍경과 그 지방에 숨어있는 음식을 찾아내어 그리움을 함께 나눈다. 어머님이 해주시던 아련한 음식, 할머니가 좋아하셨다는 구수한음식, 돌아가신 남편이 즐겼다던 매콤한 음식, 배고픔을 면하기 위해 먹었던 산나물, 들나물, 들이다. 추억이 담긴 음식을 만들면서 눈물이 맺히는 모습은 보는 이로 하여금 함께 그리움에 들게 한다. 그런가 하면 이영자가 진행하는 '식사하셨어요' 는 방랑 식객으로 알려진 임지오 요리사의 감성이 담긴 이야기다. 자연에서 얻은 요리재료를 가지고 자연에 어울리는 음식을 만들어 내 놓았을 때 감탄이 절로난다. 풀잎, 꽃잎, 돌, 나무 그리고 아름다운 풍경이 어우러진 밥상 그 음식은 초대 받은 사람의 가슴에 담아 두었던 이야기를 풀어내면서 힐링의 시간을 보낸다. 음식을 통한 사람들의 마음을 풀어내는 따뜻하고 정겨운 프로그램이다. 내가 가장 즐겨보는 백종원 쉐프의 요리는 간단하고 쉽게 맛있는 음식을 만든다. 집밥을 누구나 쉽고 만만하게 따라 할 수 있게 요리를 하는 것에 공감이 간다.

그러나 뭐니 뭐니 해도 집밥 선생은 우리 어머니가 원조이다. 커다란 가마솥에 밥물이 잦아 들 때쯤이면 어머니의 마술은 시작 되었다. 가마솥으로 호박이 들어가고 가지, 호박잎을 넣기도 하며 양념한 된장이 얹어지기도 한다. 밥이 자작자작 뜸이 드는 동안 밥 위에 얹어졌던 먹거리로 애호박 무침과 가지무침 호박잎 쌈 그리고 풋고추에 양념된장이 밥상에 오른다. 어떤 날은 어머니의 가마솥에 계란찜과 새우젓이 익어 나오기도 하고 조기찜이 밥상에 올라오기도 했다. 감자 몇 알이 밥 위에 쪄지기도 하고 애고추가 밀가루를 뒤집어쓰고 나오는 날도 있었다. 어머니의 가마솥에서 마술처럼 나오던 각종 음식들로 우리의 어린 날은 배불렀다. 그때 먹었던 다양한 음식은 지금도 잊지 못할 집밥의 기억으로 각인되어 있다. 하지만 그 집밥을 선생으로부터 잘 배우지 못했을 뿐 아니라 지금은 재현할 방법도 없어 졌으니 안타까울 따름이다. 여러 가지 방법으로 흉내를 내어 보지만 가마솥위에서 익어가던 밥 익은 냄새가 베어든 그 맛은 아니기 때문에 집밥 선생의 맥은 이제 끈기고 말았다고 선언 한다. 그리고 가마솥이 사라졌기 때문이라고 궁색한 변명을 해 본다.

오늘은 밥 익어가는 냄새를 따라 집으로 돌아오는 가족들을 기다리던 집밥 선생이 그립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