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충주 25.4℃
  • 맑음서산 21.4℃
  • 맑음청주 25.4℃
  • 맑음대전 25.8℃
  • 맑음추풍령 26.0℃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맑음홍성(예) 23.7℃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고산 18.1℃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제천 23.9℃
  • 맑음보은 25.4℃
  • 맑음천안 24.9℃
  • 맑음보령 22.5℃
  • 맑음부여 24.9℃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신음하는 청주예술의전당 - 2% 부족한 '문화 오아시스'

지난 1995년 개관 이후 시민 문화갈증 해소 역할
청주시립예술단 전문 공연·민간 대관 공연 활발
20년 묵은 무대 바닥·장비 등 '하드웨어' 부실 지적

  • 웹출고시간2015.11.11 01:24:39
  • 최종수정2015.11.12 19:00:37

편집자주

지난 1995년 건립된 청주예술의전당은 그동안 청주시립예술단의 공연과 활발한 대관사업을 통해 시민들에게 문화예술 향유의 기회를 제공해 왔다. 하지만 편의시설 부족, 시설 노후 등 적잖은 문제점도 노출된 게 사실이다. 사람의 나이로 약관(弱冠)을 맞은 청주예술의전당의 현황과 문제점을 3회에 걸쳐 집중 분석하고, 나아가 지역 문화융성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충북일보] 청주예술의전당은 개관 이래 20년간 시민들이 보금자리와 가까운 곳에서 다양한 문화예술을 향유할 수 있도록 순기능을 해왔다.

청주예술의 전당 전경

ⓒ 김태훈기자
지방의 경우 수도권에 비해 대규모 공연을 관람할 기회가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이곳은 공연에 목마른 시민들에게 '오아시스'와도 같았다.

청주예술의전당은 당초 800여 석으로 설계됐으나 이를 1천200석으로 설계변경해 지난 1995년 4월 개관했다. 이후 1998년 1월1일부터 올해 10월31일까지 누적 회수 3천700여회(대공연장·소공연장 기준) 공연무대가 펼쳐져 시민들의 문화 갈증을 풀어줬다.

올해는 11월 현재까지 청주시립예술단이 연간 24개 작품을 40여 차례 공연했다.

교향악단은 올 한해 '세계음악여행시리즈' 등 16회, 합창단은 '찾아가는 음악회' 등 7회, 국악단은 '내 마음 속의 힐링국악' 등 10회, 무용단은 '청청춤춤' 등 7회 공연을 선보이게 된다.

이중 매월 마지막 주 수요일 청주시립예술단이 교대로 선보이는 '브런치콘서트'는 연일 매진될 정도로 인기가 좋다. 오전 11시에 열리는 이 공연은 커피와 다과가 함께 제공돼 주부들에게 호평을 받고 있다.

청주예술의전당은 시립예술단의 전문 공연 외에도 아마추어 예술인들을 위해 문을 활짝 열고 있다.

올 한 해 대관 공연은 11월 현재까지 총 169건이 진행됐다. 대관 대상자 선정은 추첨으로 이뤄지고 있는데 '대관 전쟁'이라고 불릴 정도로 경쟁이 매우 치열하다. 얼마 전 마감한 2016년 상반기 대관은 대공연장 7대 1, 소공연장 8대 1의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다.

이렇게 문화예술에 대한 시민의 관심과 참여도는 날로 높아지고, 청주예술의전당의 '소프트웨어'라고 할 수 있는 공연의 양과 질도 함께 향상되고 있다.

문제는 그를 뒷받침 해 줄 '하드웨어'가 부실하다는 점이다.

1995년 개관 이후 한 번도 교체되지 않은 무대 바닥과 장비들이 특히 그렇다. 이로 인해 공연 진행에 있어서 제약이 발생하고, 나아가 안전문제에 대한 우려도 낳고 있다.

협소한 무대와 노후화된 시설에 대한 불만은 수년째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한 공연 전문가는 "대형 오페라나 뮤지컬의 경우 출연진이 많은 데다 무대의 원활한 흐름을 위해 기본적인 시설이 뒷받침 돼야 하는데 청주예술의전당은 무대가 좁고 음향 등의 시설이 낙후돼 공연 때마다 애로사항이 많다"고 말했다.

청주시민의 '오아시스'와도 같은 대표적 문화예술의 장이 노후된 시설로 인해 오명(汚名)을 쓰고 있다.

/ 유소라기자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이 기사 주변 소식 더 자세히 보기
현재위치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기술을 넘어 협력으로" 성장 네트워크 구축하는 충북이노비즈

[충북일보] "충북 이노비즈 기업들이 연결을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경쟁력을 확보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은 지역 내 탄탄한 경제 기반으로 핵심역할을 하고 있다. 30일 취임한 안준식(55) 신임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장은 회원사와 '함께 성장하는 기술혁신 플랫폼'으로서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 역할을 강화한다는 것에 방점을 찍었다. 안 신임 회장은 "취임 후 가장 먼저 해야할 부분은 이노비즈기업 협회와 회원사 위상 강화"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대외협력위원회(위원장 노근호 전 충북테크노파크 원장) △경영혁신위원회(위원장 이미연 ㈜유진테크놀로지 대표) △회원사 협력위원회(위원장 한연수 ㈜마루온 대표) △봉사위원회(위원장 함경태 ㈜미래이앤지 대표) △창립 20주년 추진위원회(위원장 신의수 ㈜제이비컴 대표)로 5개 위원회를 구성했다. 안준식 회장은 도내 회원사들이 가진 특징으로 빠른 적응력과 협력네트워크를 꼽았다. 그는 "충북 이노비즈 기업은 제조 기반 기술력과 신사업으로의 적응력이 뛰어나다. 첨단산업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이 다수 분포해 있고, 산업단지 중심 클러스터화도 잘 이뤄져 있어 협력 네트워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