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충주 25.4℃
  • 맑음서산 21.4℃
  • 맑음청주 25.4℃
  • 맑음대전 25.8℃
  • 맑음추풍령 26.0℃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맑음홍성(예) 23.7℃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고산 18.1℃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제천 23.9℃
  • 맑음보은 25.4℃
  • 맑음천안 24.9℃
  • 맑음보령 22.5℃
  • 맑음부여 24.9℃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박희남

음성문인협회 회원

따가운 가을 햇살이 등줄기에 내리 꼿히는걸 고스란히 받으며 고구마를 캤다. 몇이랑 되지는 않지만 이마에는 땀이 흐르고 호미질하는 팔은 천근잉양 힘에겹다. 우리가 심은 고구마는 아니지만 중간에 그 밭을 우리가 임대했기 때문에 고구마 수확은 우리차지가 된 것이다.

처음 그 밭에 갔을 때 한귀퉁이에 몇 줄 심어놓은 고구마는 새싹이 한 뼘쯤 뻗어 새 뿌리를 내리고 세력을 확장시키는 중이었다.

인삼을 심으려면 밭을 한 해는 묵혀야 한다며 남편은 고구마 싹을 갈아 엎으려고 했다. 이제 겨우 새 뿌리를 내리기 시작한 고구마가 아깝기도 하고 새 생명을 잉태하려는 싹을 자르는게 잔인한 것 같기도해서 기왕지사 심어놓은 것이니 수확할 때 까지 가꾸자고 간신히 사정을 해서 이 가을, 틈실하게 여문 고구마를 캐는 것이다.

호미질을 할 때 마다 땅속 아늑한 곳에서 살며시 고개를 내미는 고구마를 보니 육신의 피로는 어느새 사라지고 새로운 기운까지 솟아났다. 발그레한 색깔은 수줍음 많은 새색시 볼을 연상케 한다. 내 욕심만큼은 아니지만 그럭저럭 먹을 만큼은 되니 그런대로 족하다.

지금이야 고구마가 아이들 간식거리고, 웰빙식품이고, 옛 맛이 그리울때 한번씩 쪄먹는 추억의 음식이지만 50여 년 전 까지만 해도 농가에서는 겨울의 반양식이라 하여 귀히 여겼다고 한다. 내 유년의 기억속에도 겨울이면 고구마 퉁가리가 윗방의 한구석을 차지했다가 이듬해 봄이 되어서야 그 자리가 치워지곤 했다. 발 같은 것으로 둥그렇게 둘러쳐 놓고 그 안에 고구마를 보관했는데 고구마의 남은 양을 가늠해보면 겨울이 어느만큼 깊었고 또 봄이 어디쯤 오고 있는지를 궂이 달력을 보지않고도 알 수 있었다고 한다.

고구마는 그야말로 우리들의 훌륭한 간식이었다. 과일이 귀했던 시절이라 과일 대신 생고구마를 까먹었던 기억이 있다. 추운 겨울날 바구니에 고구마를 담아 문 밖에 두었다가 얼기 직전에 까서 먹으면 시원하고 아삭한 것이 배를 먹는 것 같았다.

우리 역시도 가난했었기에 고구마를 많이 심었다. 나는 어려서 고구마를 캤던 기억은 없고 고구마 캐는 언니들을 따라 다닌 기억이 있다. 고구마를 캘 때 내 위로 다섯 명의 언니들은 뭐가 그리 재미있는지 까르르 웃음소리가 한팔이골 골짜기로 가득찼다. 고구마는 캐는 것도 힘이 들지만 집으로 거두어들이는 일은 그 보다 몇배 더 힘들었다. 요즘 같으면 차로 실어 왔겠지만, 경운기나 리어카도 없었고 설령 있다해도 가파른 산골짜기 따비밭 인지라 그런 것들이 다닐 수가 없는 길이었다. 머리에 이거나 지게에 지고 나르는 수 밖에는 달리 방법이 없었다 하니 얼마나 힘이 들었을까.

고구마를 머리에 이고 나르느라 키도 못컸노라고 우스갯소리로 말하는 큰언니는 정말로 우리 십 일 남매 중에 키가 가장 작아서 안쓰럽고 마음이 아프다. 그나마 위안이 되는 건 언니들 모두 예전에 고생했던 것을 보상이라도 받듯이 행복한 가정들을 꾸리고 있으니 더 바랄게 없다.해야겠다.

올 겨울, 흰눈이 소복소복 내리는 날에 언니들을 불러야겠다. 다섯 명의 언니들과 찐고구마에 살얼음 동동 뜬 동치미 한사발 내어 놓고 고구마에 대한 웃픈 추억들을 이야기 하며 긴 밤을 뜬눈으로 세워볼까나.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기술을 넘어 협력으로" 성장 네트워크 구축하는 충북이노비즈

[충북일보] "충북 이노비즈 기업들이 연결을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경쟁력을 확보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은 지역 내 탄탄한 경제 기반으로 핵심역할을 하고 있다. 30일 취임한 안준식(55) 신임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장은 회원사와 '함께 성장하는 기술혁신 플랫폼'으로서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 역할을 강화한다는 것에 방점을 찍었다. 안 신임 회장은 "취임 후 가장 먼저 해야할 부분은 이노비즈기업 협회와 회원사 위상 강화"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대외협력위원회(위원장 노근호 전 충북테크노파크 원장) △경영혁신위원회(위원장 이미연 ㈜유진테크놀로지 대표) △회원사 협력위원회(위원장 한연수 ㈜마루온 대표) △봉사위원회(위원장 함경태 ㈜미래이앤지 대표) △창립 20주년 추진위원회(위원장 신의수 ㈜제이비컴 대표)로 5개 위원회를 구성했다. 안준식 회장은 도내 회원사들이 가진 특징으로 빠른 적응력과 협력네트워크를 꼽았다. 그는 "충북 이노비즈 기업은 제조 기반 기술력과 신사업으로의 적응력이 뛰어나다. 첨단산업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이 다수 분포해 있고, 산업단지 중심 클러스터화도 잘 이뤄져 있어 협력 네트워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