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충주 25.4℃
  • 맑음서산 21.4℃
  • 맑음청주 25.4℃
  • 맑음대전 25.8℃
  • 맑음추풍령 26.0℃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맑음홍성(예) 23.7℃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고산 18.1℃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제천 23.9℃
  • 맑음보은 25.4℃
  • 맑음천안 24.9℃
  • 맑음보령 22.5℃
  • 맑음부여 24.9℃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박희남

음성문인협회 회원

봄이 오고 있다. 그러나 여느 해와 다르게 유난히 더디게 오는 것 같은 느낌이다. 그것은 정치가 혼란해서 느끼는 감정인지도 모르겠다.

매서운 바람이 물러가고, 땅속 깊은 자리에서 싹이 올라온다. 거리엔 다시 매화가 피고, 사람들은 겨울 외투를 벗는다. 그러나 정치는 여전히 겨울 한가운데다. 따사로운 햇살 아래에도, 헌법은 춥고, 민주주의는 위태롭다. 그래서 많은 국민들이 저마다의 외침으로 거리로 나섰다.

지금 대한민국은 또다시 '탄핵'이라는 단어 앞에 서 있다. 헌정 사상 세 번째로 현직 대통령 탄핵정국을 맞고 있다. 그것이 누구를 향한 것이든, 그 정당성과 결과를 떠나, 우리는 이 사태 자체가 말해주는 바를 직시해야 한다. 국회는 서로를 향해 손가락질하고, 법치는 선택적으로 작동하며, 국민은 혼란 속에서 피로감을 호소한다. 대통령실과 국회, 법원과 검찰이 각각의 셈법에 몰두한 채, 국민의 신뢰는 갈수록 바닥을 친다.

민주주의는 아주 더디게 진보한다고 했다. 그리고 민주주의는 피를 먹고 자라는 나무라고 한다. 그만큼 민주주의를 지켜나가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니다. 민주주의는 단지 투표만으로 작동하지 않는다. 권력기관 간의 견제와 균형, 소수의 권리 보장, 그리고 무엇보다도 국민들의 참여와 감시 위에서 자란다. 그러나 지금 우리는 그 기반이 흔들리고 있음을 체감한다. 언론은 권력의 눈치를 보거나 편을 들고, 행정부는 입법부를 무시하며, 사법부는 판단을 미루고 있다. 정치의 중심에 서 있어야 할 국민은 점점 더 변방으로 밀려난다. 지연된 정의는 정의가 아니다.

겨울이 끝나길 기다리기만 한다면, 봄은 영원히 오지 않을 수도 있다. 땅속 깊이 언 흙이 스스로 녹지 않듯, 나뭇가지가 저절로 꽃을 틔우지 않듯, 봄은 누군가의 움직임 속에서 천천히 자란다. 농부는 얼어붙은 땅을 갈아엎고, 바람은 나뭇가지를 흔들어 겨울의 잔해를 털어낸다. 그렇게 수많은 손길과 시간, 작은 떨림들이 쌓여 마침내 봄은 온다. 아무 일도 하지 않는다면 봄은 오지 않는다.

그렇기에 이 시기를 '또 다른 봄'으로 만들기 위해선, 지금의 정치권이 진심으로 자신을 돌아봐야 한다. 국민이 위임한 권력을 자신들의 것인 양 휘두르다 결국, 국민의 이름으로 제어당하는 이 악순환을 반복해서는 안 된다. 정치란 결국, 현실을 개선하기 위한 도구이지, 권력투쟁의 수단이 되어선 안 된다.

봄은 늘 아름답지만, 모든 봄이 따뜻한 것은 아니다. 꽃은 피지만, 그 아래 묻힌 눈과 얼음은 여전히 녹지 않았을 수도 있다. 지금의 우리는 바로 그런 봄 한가운데 서 있다. 겉으로는 평온한 듯 보이지만, 그 안에는 차가운 긴장과 민주주의의 위태로운 호흡이 담겨 있다.

그러나 희망이 없는 것은 아니다. 민주주의란, 언제나 국민의 손에서 다시 피어나는 법이다. 우리가 외면하지 않고, 묻고, 참여하고, 지켜보는 한, 헌법은 다시 따뜻해질 수 있다. 촛불을 들었던 그날의 겨울처럼, 민주주의는 때로 봄보다 더한 열기를 필요로 한다. 꽃은 피고, 사람은 깨어 있고, 정치는 책임을 배워야 한다. 그래야 비로소, 이 봄은 봄다울 수 있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기술을 넘어 협력으로" 성장 네트워크 구축하는 충북이노비즈

[충북일보] "충북 이노비즈 기업들이 연결을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경쟁력을 확보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은 지역 내 탄탄한 경제 기반으로 핵심역할을 하고 있다. 30일 취임한 안준식(55) 신임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장은 회원사와 '함께 성장하는 기술혁신 플랫폼'으로서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 역할을 강화한다는 것에 방점을 찍었다. 안 신임 회장은 "취임 후 가장 먼저 해야할 부분은 이노비즈기업 협회와 회원사 위상 강화"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대외협력위원회(위원장 노근호 전 충북테크노파크 원장) △경영혁신위원회(위원장 이미연 ㈜유진테크놀로지 대표) △회원사 협력위원회(위원장 한연수 ㈜마루온 대표) △봉사위원회(위원장 함경태 ㈜미래이앤지 대표) △창립 20주년 추진위원회(위원장 신의수 ㈜제이비컴 대표)로 5개 위원회를 구성했다. 안준식 회장은 도내 회원사들이 가진 특징으로 빠른 적응력과 협력네트워크를 꼽았다. 그는 "충북 이노비즈 기업은 제조 기반 기술력과 신사업으로의 적응력이 뛰어나다. 첨단산업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이 다수 분포해 있고, 산업단지 중심 클러스터화도 잘 이뤄져 있어 협력 네트워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