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충주 25.4℃
  • 맑음서산 21.4℃
  • 맑음청주 25.4℃
  • 맑음대전 25.8℃
  • 맑음추풍령 26.0℃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맑음홍성(예) 23.7℃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고산 18.1℃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제천 23.9℃
  • 맑음보은 25.4℃
  • 맑음천안 24.9℃
  • 맑음보령 22.5℃
  • 맑음부여 24.9℃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박희남

음성문인협회 회원

입춘을 지나 우수(雨水)도 지났는데 음달에는 눈이 쌓여 있다.

동네 어르신 말씀이 올해 윤달이 들어 있어 늦추위가 기승을 부리는 거라고 하신다. 윤달은 4년에 한 번씩 돌아오는데 음력이 1개월 더 있어서 13개월이 된다. 윤월(潤月)은 태음력에서 자연의 흐름과 생길 수 있는 오차를 보정 하기 위해 도입하는 음력의 달(月)이다. 윤달은 '하늘에서 빠진 달'로 불리며, 미신을 믿는 사람들은 조상의 영향을 받지 않는 달로 여겼다고 한다. 그래서 평소에 하면 꺼려지는 일들을 윤달에 하면 탈이 없다고 믿는 미신이 지금까지 전해진다.

그래서 윤달이 든 해에는 묘를 수리하거나 이장을 하고, 집을 짓거나 지붕을 고치고, 대문을 바꾸는 일도 많이 했다고 한다. 윤달에는 액운이 끼지 않는다고 믿었기 때문이란다. 그런 것들이 과학적으로 증명이 된 건 물론 아닐 것이다. 그저 인간의 나약함에서 비롯된 위안(慰安) 같은 것은 아닐까라는 생각을 해 본다.

평생을 촌부로 살고있는 나는 기후변화에 매우 민감하다. 인삼 농사와 마늘 농사를 짓고 있는데, 11월 말에 겨울이 요란하게 찾아왔다. 눈이 30㎝ 정도 내렸는데, 물기를 잔뜩 머금은 습설이라 그 무게가 상상초월 이었다. 남편은 인삼밭 지붕이 무너질세라 빗자루, 괭이 등을 들고 인삼밭 지붕에 쌓인 눈을 쓸어내렸다. 나도 거들고 싶었는데 남편이 한사코 집에 있으라고 해서 못 이기는 척 집으로 들어왔다. 그즈음 허리가 아파서 일이 겁나기도 했었다. 남편은 깜깜해서야 돌아왔다.

몇 해 전에 큰 눈이 내려서 인삼밭이 8천여 평 정도 쓰러진 적이 있었다. 그때의 악몽이 떠올라 걱정했는데, 다행히 이번에는 무사히 넘어갔다. 남편이 재빠르게 나가서 눈을 끌어내린 덕분이다.

인삼밭은 괜찮았는데, 우리 지역 여러 농가에 폭설 피해가 심각했다. 화훼농가와 다육이 농장, 축사, 그리고 수박하우스 시설이 엄청난 피해를 본 거다. 같은 농사꾼으로 마음이 아프다. 천재지변에 가장 큰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는 우리는 그렇다고 하늘을 탓할 수도 없다. 그저 자연의 섭리에 순응하며 농사는 하늘이 하는 거라는 걸 다시 한 번 깨닫는다.

지금껏 우리는 그렇게 농촌을 지켜오고 있다. 무너지면 일으켜 세우고, 물에 잠기면 갈아엎어 다시 심고, 비닐하우스가 태풍에 날아가서 갈기갈기 찢어져 바람에 날릴 때, 내 마음도 찢어져 주저앉았다가도 다시 일어나 씨를 뿌렸다. 농부는 밭을 탓하지 않고, 하늘을 원망하지도 않는다. 그게 농사꾼이다.

예부터 윤달이 든 해에는 이야깃거리가 많다. 2월 윤달이 들면 보리농사가 풍년이고, 5월 윤달이 들면 늦장마와 전염병이 기승을 부린다고 했다.

급격한 환경 변화와 기후위기 시대를 살고 있는 지금, 옛말이 맞으리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그저 선조들의 지혜와 오랜 경험을 바탕으로 전해오는 이야기일 것이다.

달력을 보니 올해는 6월에 윤달이 들어 있다. 맞고 안맞고를 떠나서 6월 윤달이 든 해에는 모든 작물이 풍년이 든다는 속설이 들어있으면 좋으련만 아무리 찾아봐도 그런 문구는 보이질 않는다. 그냥 열심히 씨뿌리고 가꾸는 수 밖에.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기술을 넘어 협력으로" 성장 네트워크 구축하는 충북이노비즈

[충북일보] "충북 이노비즈 기업들이 연결을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경쟁력을 확보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은 지역 내 탄탄한 경제 기반으로 핵심역할을 하고 있다. 30일 취임한 안준식(55) 신임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장은 회원사와 '함께 성장하는 기술혁신 플랫폼'으로서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 역할을 강화한다는 것에 방점을 찍었다. 안 신임 회장은 "취임 후 가장 먼저 해야할 부분은 이노비즈기업 협회와 회원사 위상 강화"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대외협력위원회(위원장 노근호 전 충북테크노파크 원장) △경영혁신위원회(위원장 이미연 ㈜유진테크놀로지 대표) △회원사 협력위원회(위원장 한연수 ㈜마루온 대표) △봉사위원회(위원장 함경태 ㈜미래이앤지 대표) △창립 20주년 추진위원회(위원장 신의수 ㈜제이비컴 대표)로 5개 위원회를 구성했다. 안준식 회장은 도내 회원사들이 가진 특징으로 빠른 적응력과 협력네트워크를 꼽았다. 그는 "충북 이노비즈 기업은 제조 기반 기술력과 신사업으로의 적응력이 뛰어나다. 첨단산업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이 다수 분포해 있고, 산업단지 중심 클러스터화도 잘 이뤄져 있어 협력 네트워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