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충주 17.0℃
  • 맑음서산 18.6℃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추풍령 19.0℃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고산 18.8℃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제천 17.2℃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8.7℃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김규원

충북학연구소장

현대경영학을 창시하고 체계적으로 수립한 경영학자. 산업혁명 이후 등장한 기업이라는 조직을 정의하였고 사회를 구성하는 중요한 조직으로 보았고 경영학을 학문으로서 확립하는데 기여한 사람이며 미래에는 지식사회가 도래할 것이라고 예견하기도 했다.

주요 저서로는 '경제인의 종말, The End of Economic Man'(1939), '산업인의 미래, The Future of Industrial Man'(1942), '새로운 사회, The New Society'(1949) 그 밖에 '경영의 실제, The Practice of Managment'와 '단절의 시대, The Age of Discontinuity'(1969) 등 40여권을 쓴 사람은 누구일까. 바로 피터 드러커이다. 아마 제시한 책들은 읽지 않았어도 이 분의 이름은 들었으리라고 생각한다. 그런데 이 책들의 2/3 즉 '보이지 않는 혁명' 이후의 저술들은 65세 이후에 한 것이라고 한다. 놀랍지 않은가.
 
한국사회에서 노인이 된다는 것은 지극히 주관적인 견해이지만 참으로 슬픈 일이다. 나이가 들면서 신체적으로 쇠퇴는 당연하다고 하지만 사회적 역할이라는 측면에서 즉 사회적 활동을 통한 인정과 역할이라는 측면에서도 안타깝고 심지어 슬프거나 분노하게 만드는 것이 요즘인 듯하여 안타깝다. 나이가 많다는 이유로 무시되거나 혹은 무시하거나가 미디어를 통해서 접하는 뉴스의 한 부분이고 생활고를 비관하여 극단적인 행동을 하는 경우도 있다. 심지어 사회적으로 지탄받는 경우도 있으니 누군들 나이 먹는 것에 대해서 기대하거나 자랑스러워할 수 있을까.
 
1968년도에 칸느영화 대상을 받은 일본의 이모무라 쇼헤이 감독의 영화 '나라야마 부시코'에 나오는 현명하고도 배려심이 많아 스스로 희생하는 할머니의 모습은 온데 간데 없고 욕심꾸러기거나 천덕꾸러기로 되었거나 혹은 젋은 세대에 의해 취급받는 것이 요즘 나이든 세대의 모습이 아니라고 누가 부정할 수 있을까. 정말 노인이 되면 뇌까지 늙는 것일까.
 
일전에는 2060년의 노인 진료비는 지금의 국가 예산 총액과 맞먹는다는 발표도 있었는데 이 발표의 진위 여부나 통계학적인 타당성을 떠나서 이런 보도 자체가 노인들에게 드릴 부담감을 생각하니 안타까울 분이다. 그야말로 노인세대 혹은 노인이 곧 되어야할 사람들에게는 요즘은 시련의 계절이다. 어떻게 살아야 할까.
 
언론인 출신 김욱의 '가슴이 뛰는한 나이는 없다'에 보면 일흔이 다된 저자가 잘못된 보증으로 재산을 날리고 협심증까지 얻고 남의 집 살이를 하다가 그 일흔의 나이에 녹슬지 않은 즉 노화되지 않는 것은 뇌라고 말하면서 번역작업에 집중하여 대략 10여년간 200여권의 책을 번역해낸다. 이 분은 자신의 처지를 적추 즉 '붉은 가을'이라고 하면서 노인의 청춘이라고 주장한다. '물질과 출세 같은 세상 속박에서 벗어나 이제는 자기가 하고 싶은 일을 자기 마음대로 할 수 있는 자유를 얻었다는 뜻이다.
 
청춘(靑春)이 푸른 봄날이었다면 적추(赤秋)는 붉은 가을이다. 춘하추동 사계절에서 봄과 가을은 대칭이다. 만개할 여름을 준비할 봄이 청춘이었다면 다시금 땅으로 돌아갈 겨울을 준비하는 시기가 가을, 곧 적추다. 겨울이 남아 있으니 아직 끝은 아니고, 게다가 결실도 있다. 풍요롭고 아름다운 단풍은 덤이다.'라고 한다. 해서 등산이나 산책을 하는 길에 도서관에서 한권의 시집도 읽고 몇권의 교양서적을 읽는 것은 어떨까. 책은 꼭 가을에 읽으라는 법이 있다고? 그럼 할 수 없지만 책을 읽고 뇌를 단련시키는 것이 바로 행복하게 늙을, 노인권의 일부가 아니랴.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