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최선주

농협청주교육원 팀장

흔히 강한 자가 살아남는 것이 아니라, 살아남는 것이 강한 것이다라고 한다. 적자생존, 즉 적합한 종이 번성하다는 것이다. 인류가 번성한 비결도 친화력과 협력적 의사소통에 있다. 10여 명의 무리를 짓는데 그친 네안데르탈인은 멸종한 반면, 호모 사피엔스는 100명을 넘는 대규모 집단을 이루고 기술을 고도화 시켜왔다. 사피엔스의 친화력은 타인과 연결되고 세대를 넘어 지식을 물려주게 만들었다. 진화의 역사에서 가장 다정하고 협력적인 종이 바로 인간이다. 우리는 한번도 본적 없는 누군가와 공동의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서 함께 일할수 있다.

동물도 자상한 종이 번성한다. 개보다 강한 늑대는 절멸의 위기를 맞고 있지만 개는 수 억 마리에 달해 가장 성공적인 종이다. 개보다 IQ가 뛰어난 원숭이는 왜 번성하지 못할까? 개보다 공감능력, 즉 교감과 친밀함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인간이 손가락으로 어떤 방향을 가리키면 원숭이는 손끝만 바라보지만, 개는 인간의 손끝이 가리키는 방향으로 공을 던질 것이라고 예측하고 뛰어간다. 함께 장난을 치고, 주인의 감정을 느끼며 애정을 공유한다.

친화력이 높은 동물은 성장이 빠르고 번식이 쉽고 지배 서열에 순응적이다. 한마디로 길들여지기 쉬운 방향으로 진화한다. 몸이 작아지고, 턱이 둥글어지고 작아지며 꼬리가 말려 올라간다. 가두어진 상태에서 번식이 가능해진다. 가장 친화적인 개들이 누대에 걸쳐 진화한 것이 오늘날 우리 곁에 있는 개들이라고 한다. 그보다 더 성공적이었던 인간은 '스스로를 가축화 한 종'이라고 한다. 가축화란 인간의 쓸모를 위해 야생의 식물이나 동물을 적응시키는 가정인데 한마디로 길들여지는 것이다.

사람 아기의 발달과정을 보면 신기하다. 생후 9개월쯤에 손짓을 시작하는데 손짓은 심리학에서 '마음이론'이라고 하는 타인의 마음을 읽는 능력이 시작되는 관문이다. 발달 기간이 긴 것도 가축화의 한 징표이다. 친화력이 좋은 종들은 사회화 기간이 더 빨리 시작되고 더 늦게 끝난다. 인간 아기는 태어날때 뇌 크기가 성인의 4분의 1로 다른 영장류가 성체의 절반 정도 뇌 크기로 태어나는 것에 비하면 아주 무력한 존재로 태어난다.

생후 12개월 무렵에 겨우 걸음마를 뗀다. 하지만 엄마의 감정을 알아채고 손가락이 가리키는 방향을 보는 것 같은 소통 능력은 무력한 아기일 때부터 나타난다. 자신을 돌보고 싶게 만드는 전력을 아기들은 가지고 있다. 귀엽고 자주 웃으며 울음을 터뜨리는 것도 친화와 교감의 사인들이다. 우리의 낯선 이들에게 친절을 베푸는 능력은 계속해서 향상되었다. 사람의 자기 가축화 가설을 통해 보면 우리 종이 연민과 공감능력, 친절함은 진화를 통해서 획득한 고유의 특성이다.

또한 서로 다른 배경과 다양한 관점 및 경험을 지닌 사람들이 자유롭게 섞여 생각을 교환하는 공간이 되는 것이 중요하다. 다양성이 사람들 간이 교류를 활성화시키며, 혁신과 경제적 성장을 이끌고 사회의 관용을 강화시키기 때문이다. 우리는 큰 규모의 집단 안에서 협력하여 살아갈 때 가장 창조적이고 생산적이 된다. 출신이 다양한 사람들과 생각을 교류할때 가장 핵심적인 결과물을 만들어 낸다. 건강한 민주주의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두려움 없이 서로를 만날 수 있고 무례하지 않게 반대 의견을 낼수 있으며 자신과 전혀 닮지 않은 사람들과도 친구가 될 수 있어야 하는데 물리적 공간이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SNS 등 사이버 공간이 견해에 따라 완전히 양극화 되어 있는 요즘의 현실이 얼마나 잘못되어 있는지를 깨닫게 된다. 우리의 삶은 얼마나 많은 적을 정복했느냐가 아니라 얼마나 많은 친구를 만들었느냐로 평가해야 한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정효진 충북도체육회 사무처장, "멀리보고 높게 생각해야"

[충북일보] 정효진 충북도체육회 사무처장은 "충북체육회는 더 멀리보고 높게 생각해야한다"고 조언했다. 다음달 퇴임을 앞둔 정 사무처장은 26일 본보와의 인터뷰에서 "지방체육회의 현실을 직시해보면 자율성을 바탕으로 민선체제가 출범했지만 인적자원도 부족하고 재정·재산 등 물적자원은 더욱 빈약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완전한 체육자치 구현을 통해 재정자립기반을 확충하고 공공체육시설의 운영권을 확보하는 등의 노력이 수반되어야한다는 것이 정 사무처장의 복안이다.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학교운동부의 위기에 대한 대비도 강조했다. 정 사무처장은 "학교운동부의 감소는 선수양성의 문제만 아니라 은퇴선수의 취업문제와도 관련되어 스포츠 생태계가 흔들릴 수 있음으로 대학운동부, 일반 실업팀도 확대 방안을 찾아 스포츠생태계 선순환 구조를 정착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선 행사성 등 현장업무는 회원종목단체에서 치르고 체육회는 도민들을 위해 필요한 시책이나 건강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등의 정책 지향적인 조직이 되어야한다는 것이다. 임기 동안의 성과로는 △조직정비 △재정자립 기반 마련 △전국체전 성적 향상 등을 꼽았다. 홍보팀을 새로 설치해 홍보부문을 강화했고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