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충주 25.4℃
  • 맑음서산 21.4℃
  • 맑음청주 25.4℃
  • 맑음대전 25.8℃
  • 맑음추풍령 26.0℃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맑음홍성(예) 23.7℃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고산 18.1℃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제천 23.9℃
  • 맑음보은 25.4℃
  • 맑음천안 24.9℃
  • 맑음보령 22.5℃
  • 맑음부여 24.9℃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지역 인재가 충북의 미래다-⑩대도시에 추월 당한 학력

"지방 소멸시대 현실에 맞는 인재정책 필요"
중·고 보통학력 이상 비율 감소세
인구 대비 명문대 등록 꼴찌 수준
"학력 저하 지속 경제성장 악영향"

  • 웹출고시간2018.11.25 20:22:21
  • 최종수정2018.11.25 20:22:20
[충북일보] 충북이 지방소멸시대, 국토균형발전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교육'을 최우선 과제로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강현수 국토연구원장이 최근 더불어민주당이 국회에서 개최한 토론회에서 "다양한 정주 환경 요소 중 교육이 가장 효과가 크고 지역에서 상대적으로 개선할 가능성이 높다"고 피력한 반면 도내 중·고등학교 학력이 대도시에 추월당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보가 2012~2016년 교육부와 지역 교육계가 발표한 자료를 재분석한 결과 도내 중·고등학교 보통학력 이상 비율이 감소세로 돌아섰다. 보통학력 이상인 학생 비율도 다른 시도에 비해 순위가 떨어졌다.

충북에 거주하는 고등학교 보통학력 이상 비율은 △2012년 91.3% △2013년 93.3% △2014년 92.5% △2015년 90.1% △2016년 89.2%였다.

같은 기간 전국 평균은 △2012년 82.9% △2013년 84.6% △2014년 85.2% △2015년 81.8% △2016년 82.8%로 충북에 비해 낮았다.

이에 따라 충북은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상위권을 유지했다.

2012~2015년 4년 내리 1위 자리를 지켰다. 하지만 90%대를 유지하던 보통학력 이상 비율이 2016년 80%대로 떨어지며 3위로 밀려났다.

2016년 기준 1위 지역은 울산으로 91.7%였다. 2위는 대구(91.4%)가 차지했다. 충북 다음으로는 대전(89.1%)과 제주(89%)가 바짝 추격하고 있다.

중학교는 고등학교보다 앞서 상위권 자리를 내줬다.

중학교 보통학력 이상 비율은 △2012년 79.7% △2013년 81.7% △2014년 79% △2015년 74% △2016년 77.2%였다.

같은 기간 전국 평균은 △2012년 74.8% △2013년 75.8% △2014년 76.4% △2015년 73.1% △2016년 77.7%였다.

2015년까지 전국 평균을 웃돌다가 2016년 전국 평균을 밑도는 수치로 하락했다.

순위는 2012년 4위, 2013년 1위로 올라섰다가 2014년 5위, 2015년 8위, 2016년 9위로 밀려났다.

충북과 달리 울산, 대구, 부산, 대전 , 제주, 서울, 인천, 세종은 순위를 박차고 올라갔다.

2016년 기준 울산(86.5%), 대구(86%), 대전(81%)은 보통학력 이상 비율이 80%대를 보이고 있다.

충북은 소위 인구수 대비 명문대 등록이 전국 꼴찌 수준을 보이는 데다 보통학력 수준 이상을 보이는 학생 비율마저 줄어들고 있다.

도내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 카이스트 등 4개 대학 등록자 수는 2018학년도 기준 166명으로 전국 대비 1.4%에 불과하다.

인구수 대비 등록자 수는 0.010%로 전국 17개 시·도 중 17위다.

지역 교육계 관계자는 "명문대 진학자가 인재라고 정의할 수는 없지만 수년 만이라도 학력저하가 지속될 경우 지역성장잠재력이나 기업 유치 측면에서 다른 지역에 비해 뒤떨어질 수밖에 없다"며 "학력 저하, 인재 유출 등 교육 문제는 주력 산업분야 일자리 미스매치, 4차산업 혁명 관련 일자리 부족 등 향후 경제 문제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지역 현실과 여건에 맞는 인재육성 안목과 정책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서울 / 안순자기자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기술을 넘어 협력으로" 성장 네트워크 구축하는 충북이노비즈

[충북일보] "충북 이노비즈 기업들이 연결을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경쟁력을 확보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은 지역 내 탄탄한 경제 기반으로 핵심역할을 하고 있다. 30일 취임한 안준식(55) 신임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장은 회원사와 '함께 성장하는 기술혁신 플랫폼'으로서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 역할을 강화한다는 것에 방점을 찍었다. 안 신임 회장은 "취임 후 가장 먼저 해야할 부분은 이노비즈기업 협회와 회원사 위상 강화"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대외협력위원회(위원장 노근호 전 충북테크노파크 원장) △경영혁신위원회(위원장 이미연 ㈜유진테크놀로지 대표) △회원사 협력위원회(위원장 한연수 ㈜마루온 대표) △봉사위원회(위원장 함경태 ㈜미래이앤지 대표) △창립 20주년 추진위원회(위원장 신의수 ㈜제이비컴 대표)로 5개 위원회를 구성했다. 안준식 회장은 도내 회원사들이 가진 특징으로 빠른 적응력과 협력네트워크를 꼽았다. 그는 "충북 이노비즈 기업은 제조 기반 기술력과 신사업으로의 적응력이 뛰어나다. 첨단산업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이 다수 분포해 있고, 산업단지 중심 클러스터화도 잘 이뤄져 있어 협력 네트워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