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충주 17.0℃
  • 맑음서산 18.6℃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추풍령 19.0℃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고산 18.8℃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제천 17.2℃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8.7℃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4.02.06 18:45:28
  • 최종수정2014.02.06 18:44:46
ⓒ 홍대기
빛바랜 기와를 이고 흙담을 두른 그의 공방은 조용했다.

다양한 붓들이 창호지를 넘어 온 빛을 받으며 가지런하게 걸려 있었다.

자신을 붓쟁이라 칭하며 35년을 전통 붓과 함께 한 장인 유필무를 만났다.

붓에 대한 그의 생각을 듣고 작업과정을 지켜보는 것은 단순히 붓을 매는 사람이 아니라, 깊고 올곧은 정신으로 전통을 잇는 그를 알아가는 과정이었다.

ⓒ 홍대기
"붓은 종이에 상처를 내지 않는다. 다만, 종이에 스밀 뿐이다."라는 국립경주박물관 이영훈 관장의 말은 붓의 특성을 잘 나타낸다. 붓은 부드러우면서도 강한 우리민족을 닮았다. 옛날 선비들은 문방사우인 종이, 붓, 벼루, 먹을 가까이 했다. 먹의 향기를 맡으며 글을 쓰는 것을 큰 즐거움으로 알았다. 글을 쓰고 난을 치는 선비에게 붓은 조용히 곁을 지키며 외로움을 달래주는 벗이었을 것이다. 그렇게 붓은 선비정신을 대변하는 기록의 수단이며 정신 표상의 도구였다.

ⓒ 홍대기

붓은 동물의 털로 만든 모필과 식물에서 얻은 재료로 만든 초필로 나뉜다. 일반적인 모필은 양호필로, 흰 염소의 털로 만들며 부드러운 것이 특징이다. 황모필은 족제비 꼬리, 장액필은 노루 앞가슴 털, 낭모필은 이리 털, 마필은 말의 털로 만든다. 초필의 재료인 고필은 볏짚, 갈필은 칡 줄기, 죽필은 대를 잘게 쪼갠 것이다. 붓에 대한 열정으로 유필무장인은 기본적인 모필에서 벗어나 자연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로 서민적이면서도 현대적인 작품을 만들고자 끊임없이 노력했다. 그렇게 찾은 볏짚(고필), 칡(갈필), 억새, 개나리새, 종려나무 등의 다양한 재료로 붓을 만들고 있다.

ⓒ 홍대기
그는 "모필의 가치는 얼마나 철저히 버렸느냐에 있고, 초필의 가치는 얼마나 두들겼느냐에 있다."고 한다. 초필을 만들기 위해서는 미지근한 물에 9번 찌고 그늘에 아홉 번 말리고 15,000번을 넘게 두들겨야 한다. 갈필의 경우 열 개에서 하나 건지기도 힘들 정도다. 붓 한 자루를 만드는데 기본 2-3개월의 작업기간이 필요하다. 전통 붓은 원모 선별부터 풀 먹이고 빼기 등 크게 12가지가 대표과정이지만 세부적으로는 30여 과정을 거쳐야 하며, 최소 200~250회의 손길이 간다. 그는 여기에 수고를 더해 필관에 전통문양이나 좋은 시, 글귀를 각을 하고 한국적 색채를 넣는다. 또한 비단실을 감아 전통의 멋을 현대적으로 새롭게 표현한다. 필관 어디에도 그의 손길이 가지 않은 곳이 없다. 이는 붓쟁이 유필무가 고단하고 기나긴 시간 붓과 함께 호흡하며 만들어낸 숨결로, 붓을 사용하는 사람들과 귀한 쓰임의 가치를 함께 하고자 함일 것이다.

그가 만든 붓은 한국인의 섬세한 심성과 유연함, 강한 의지를 담고 있다. 이러한 한국인의 정신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우리 붓이 서구의 필기구와 값싼 중국제품들에 밀려 사라져 가는 것이 안타깝다. 전통 붓의 가치를 이어가는 순수함만으로 견디기엔 그가 짊어 진 생활고의 무게가 생의 업보처럼 무거웠나보다. "10년 전에도 이 일을 했고, 5년 전에도 이 일을 했습니다. 3년 전에도 이 일을 했지만 내일도 이 일을 하고 있을지는 모르겠습니다." 라고 말하는 그의 눈빛이 아프다. 그것은 그의 말이 이 일을 절대 그만두고 싶지 않다는 의지의 다른 표현임을 알기 때문일 것이다.

글·사진=홍대기(사진작가)·이옥주(여행작가)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