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충주 17.0℃
  • 맑음서산 18.6℃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추풍령 19.0℃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고산 18.8℃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제천 17.2℃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8.7℃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6.04.25 13:45:22
  • 최종수정2016.04.25 18:00:33

김정일

충북보건과학대학교 청소년문화복지과 교수

사람은 도구를 사용하는 존재이다. 도구를 얼마나 능숙하게 효율적으로 사용하느냐가 그 사람의 성공과 실패를 좌우 한다. 인간은 불을 도구로 사용했고, 전쟁터에서는 칼이나 활을 도구로 사용했다. 현대에는 컴퓨터, 스마트 폰을 도구로 사용하고 있고, 자동차나 비행기라는 도구를 가지고 바쁘게 움직인다.

거울은 자신을 보는 도구이다. 사람은 거울을 통해 자신을 성찰한다. 거울을 통해 얼굴의 형태와 얼굴에 묻은 더러움을 찾아 낼 수 있다.

사람들에게는 양심의 거울이 필요하다. 도덕과 윤리의 거울이 필요하다. 이런 거울을 통하여 자신을 발견하고 타인과의 긍정적은 관계를 형성해 나갈 수 있다. 그리하여 좀 더 건강한 사회, 더불어 살아가는 사회를 만들어 갈 수 있다.

화장이 이젠 여자의 특권은 아니다. 남자도 화장을 한다. 화장이란 얼굴에 그어진 세월의 흔적을 지우려는 서글픈 인간의 노력이다. 분명 인간은 거울을 자주 보아야 한다.

거울의 상징들 가운데는 서로 정반대가 되는 것들이 있다. 백설공주 이야기 속 왕비의 마법 거울은 자기도취(나르시시즘)의 도구이다. 반면에 서정주 시인 '국화 옆에서' 속의 거울, 먼 젊음의 뒤안길에서 돌아온 누님이 마주한 거울은 자기성찰의 도구이다. 두 상징의 성쇠도 엇갈릴 수밖에 없다. 마법 거울은 소위 '셀카'로 변신해 최고의 인기를 누리고 있는 반면 기도(祈禱) 이상의 변신은 하지 못하는 '성찰 거울'은 구시대적 유물로 도외시되는 풍조이다.

자식은 부모의 거울이다. 부모는 자식에 대해 수없이 걱정을 한다. 성적에 대한 걱정, 입시에 대한 걱정, 취업에 대한 걱정, 결혼에 대한 걱정 등….

교육사회학에서 쿨리(C.H. Cooley)의 '거울 자아(looking-glass self)'이론은 한마디로 다른 사람들이 나를 어떻게 보고 있는가에 대한 스스로의 상상에 의해 얻어진 느낌이라고 할 수 있다. 얼굴이 예쁜 여자는 처음에 다른 사람을 통해 자기가 예쁘다는 말을 들음으로써 자신이 예쁘다는 것을 안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면 마침내 그녀는 자기가 예쁜 사람이라고 생각하고 그에 걸맞게 행동하게 된다.

결국 자아란 자신의 특성보다는 주변 환경과 관련되어 있다는 것이다. 인생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사람이 말하는 대로 그 사람이 정말 그대로 된다는 이론이다. 쿨리는 자아개념이란 타인들이 자신을 어떻게 생각하느냐에 영향을 받는다고 보고 '거울에 비친 자아'라는 개념을 발달시켰다. 자아개념이란 주위의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되는 것으로, 주위 사람들(거울)이 자신을 어떻게 생각하고 판단하느냐의 영향을 받아 정체성, 자존감, 꿈을 형성해간다.

부모나 형제, 선생님, 친구 등 주위에 큰 영향을 줄만한 사람들이 자기를 귀한 존재라고 보고 그렇게 기대해 준다는 생각이 들면 자아개념은 긍정적으로 형성되지만, 남들이 자신을 하찮은 존재로 보고 그렇게 대하면 자아개념은 열등한 낮은 자존감이 세워져 고정되어 간다는 것이다.

우리가 지녀야 할 거울은 무엇인가?

청소년들에게 희망과 격려의 말을 해주자. 신뢰와 행복을 주고받는 말을 할 수 있어야한다. 사람의 말은 상대방에게 소중한 거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