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2.4℃
  • 구름많음강릉 21.3℃
  • 구름많음서울 13.8℃
  • 맑음충주 11.1℃
  • 맑음서산 15.4℃
  • 맑음청주 14.0℃
  • 맑음대전 12.9℃
  • 맑음추풍령 12.0℃
  • 맑음대구 14.2℃
  • 맑음울산 15.1℃
  • 맑음광주 13.6℃
  • 맑음부산 15.6℃
  • 맑음고창 16.0℃
  • 맑음홍성(예) 15.1℃
  • 맑음제주 15.3℃
  • 구름조금고산 15.2℃
  • 구름조금강화 15.0℃
  • 맑음제천 10.3℃
  • 맑음보은 9.8℃
  • 맑음천안 11.5℃
  • 맑음보령 18.0℃
  • 맑음부여 10.3℃
  • 맑음금산 11.0℃
  • 맑음강진군 11.6℃
  • 맑음경주시 13.5℃
  • 맑음거제 14.3℃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4.11.18 16:21:34
  • 최종수정2014.11.18 16:20:50
공원은 공공녹지로서 자연지(自然地)나 또는 인공적으로 조성한 후생적 조경지로 정의된다. 전자를 자연공원, 후자를 도시공원이라고 부르고 있다.

공원이 역사적으로 언제 출현했는지는 분명치 않다. 다만 근대공원은 중세 이후 영국의 왕후·귀족이 소유·독점 사용하던 수렵장이나 대규모 정원을 19세기 중반에 일반에게 공개한 것에서 비롯됐다.

청주의 근대적 의미의 공원은 일제 강점기 때 등장했다. 일본인 오쿠마온보(大雄春峰)가 1923년에 쓴『청주연혁지』에는 '서공원'(현 사직동 충혼탑 자리·사직산)과 '동공원'(현 당산 일대·명장사 뒷산))에 대한 설명이 동시에 등장한다. 따라서 최소한 1920년대 초반부터청주에도 공원이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현대적 의미의 공원과는 다소 거리가 있었다. 먼저 『청주연혁지』는 서공원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적었다.

서공원(현 현충탑 인근) 자리에 세워져 있는 '天地神檀' 비. 그러나 이는 1970년대 세워진 것이다.

'그 무렵에는 청주에 공원이 없었기 때문에 鈴木 장관은 부하에게 명령하여 땅을 깍아 도로를 개척하고, 여러 종류의 수목을 재배하도록 하였으며, 파낸 돌을 운반하여 벤치를 대신하였다. 그리고 오처옥(吳妻屋)을 설계하여 휴식장소로 삼도록 하였는데, 동공원과 함께 성대하게 설비되어 있었다. 櫻井 장군도 이에 동조하여 재향군인들과 도모하여 그곳에다 청일, 러일 전쟁으로 인한 전사자의 기념비를 세웠다.'-<112쪽, 정삼철 역>

인용문은 당시 서공원이 청주시민의 휴식공간이 아닌 일본 전사자를 앞세워 내선일체화를 추구하고자 했던, 도시내 기념적 장소임을 보여주고 있다. '오처옥'은 당시 유명한 요리집 이름이다. 오쿠마온보는 자작인지 아니면 타인 시를 옮긴 것인지 불분명하나 서공원을 주제로 『청주연혁지』에 시를 싣기도 했다.

'높고 낮은 언덕이 냇물 건너에 가로 놓이고(起伏丘岡隔水橫) / 늙은 솔 늘어진 가지가 작은 사당으로 늘어졌구나.(老松蟠屈小廟傾) / 한 밤중에 걸음을 옮겨 단 위에 서니(三更移步立壇上) / 둥글고 밝은 달이 읍성에 걸려 있네.(明月一輪懸邑城)'-<113쪽, 〃>

현 사직동 충혼탑 일대에서 청주시내를 내려다 본 모습이 마치 한 폭의 풍경화를 보듯 그려져 있다. 『청주연혁지』는 동공원에서 대해서는 청주 신사에 초점을 맞춰 기술했다.

'예전에 존재하던 성황사 초석은 옛 자취를 찾아볼 수 없으며 산허리에는 진위대 병사의 전사자를 추모하는 볼품없는 묘비만 서 있다. (…) 장관은 시민의 희망을 받아들여 서공원에 대한 동공원으로 통하는 길을 만들고 수석을 배치하여 정자를 세우고 여러 곳에 산재해 있는 석불 등을 곳곳에 안치하였으며(…) 근년에는 한편으로 상수도의 저수지가 설계되어졌고, 이 부근 일대에다 벚나무를 식재하였다. 그리고 몇 년 지나지 않아 화사하게 개화를 보게 되었다. 지금 또한 청주신사를 개축하면서 신비로운 경지의 땅을 고르게 하는 공사를 착수하여 사계절 공원다운 공원이 되었다.'-<113~114쪽, 〃>

인용문은 일제 강점기 우암산 일대에 석불이 매우 많이 존재했고 벚나무 식재가 이 시기에 집중적으로 이뤄졌음도 보여주고 있다. 청주 공원의 초기 역사는 이렇게 일본인에 의해 시작됐다. 서공원과 동공원 다음에 등장한 것이 중앙공원이고, 청주의 또 다른 명소인 상당공원은 비교적 늦은 1974년 5월에 근린공원으로 지정됐다.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기술을 넘어 협력으로" 성장 네트워크 구축하는 충북이노비즈

[충북일보] "충북 이노비즈 기업들이 연결을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경쟁력을 확보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은 지역 내 탄탄한 경제 기반으로 핵심역할을 하고 있다. 30일 취임한 안준식(55) 신임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장은 회원사와 '함께 성장하는 기술혁신 플랫폼'으로서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 역할을 강화한다는 것에 방점을 찍었다. 안 신임 회장은 "취임 후 가장 먼저 해야할 부분은 이노비즈기업 협회와 회원사 위상 강화"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대외협력위원회(위원장 노근호 전 충북테크노파크 원장) △경영혁신위원회(위원장 이미연 ㈜유진테크놀로지 대표) △회원사 협력위원회(위원장 한연수 ㈜마루온 대표) △봉사위원회(위원장 함경태 ㈜미래이앤지 대표) △창립 20주년 추진위원회(위원장 신의수 ㈜제이비컴 대표)로 5개 위원회를 구성했다. 안준식 회장은 도내 회원사들이 가진 특징으로 빠른 적응력과 협력네트워크를 꼽았다. 그는 "충북 이노비즈 기업은 제조 기반 기술력과 신사업으로의 적응력이 뛰어나다. 첨단산업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이 다수 분포해 있고, 산업단지 중심 클러스터화도 잘 이뤄져 있어 협력 네트워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