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충주 17.0℃
  • 맑음서산 18.6℃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추풍령 19.0℃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고산 18.8℃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제천 17.2℃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8.7℃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4.05.15 14:34:28
  • 최종수정2014.05.15 14:31:26

이화영

음성민중연대 운영위원

"447만원이라고… 정말 어처구니가 없어서… 공무원이라고 다 같은 공무원인 줄 아나"

올해 22년 차인 한 지방공무원은 분노를 쏟아냈다. 정부가 올해 공무원 전체의 기준소득월액 평균을 447만원이라고 고시한 데 따른 반응이다.

안전행정부는 지난 8일 9급 공무원부터 대통령에 이르기까지 공무원의 2014년 기준소득월액을 관보에 게시했다. 기준소득월액이란 공무원연금의 보험료와 수령액을 계산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금액을 말한다.

올해 기준소득월액은 지난해 1∼12월에 근무한 공무원 97만명(중앙·지방공무원, 헌법기관 공무원)의 세전 연간 총소득 평균을 12로 나눈 값이다. 총소득에는 기본급, 성과급, 각종수당 등 소득세법상 과세소득이 모두 포함된다. 기준소득월액만 놓고 보면 공무원의 평균 연봉은 5364만원 수준이다.

정부의 발표가 나오자 보수언론에선 일반 노동자들의 급여와 비교하며 '공무원 월급이 박봉이라는 말은 옛말'이라는 식의 보도를 쏟아냈다. 주요 인터넷 포털사이트에선 공무원임금이 실시간 이슈 검색어 상위에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

정부 고시 임금인 447만원은 지방공무원이 체감하는 소득과는 거리가 먼 게 사실이다. 국무총리부터 장· 차관 등 고위관료, 판·검사, 외교관, 교수 등 고액 연봉을 받는 공무원을 모두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에서 일반 사업장 노동자의 평균임금을 산출할 때 회장, 사장, 임원 등을 제외하기 때문에 단순비교하는 것 자체가 잘못이다.

안행부의 '2013 공무원 총조사'에 따르면 9급으로 신규임용 되면 세전소득 기준 월평균 156만원을, 재직 10년 차 7급(8호봉)은 월평균 274만원의 임금을 받는 것으로 조사됐다. 재직 20년차 7급(18호봉)은 월평균 356만원을, 재직 30년차 6급(27호봉)은 월평균 442만원의 임금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공무원이 447만원의 임금을 받으려면 휴직기간 없이 30년을 꼬박 근무해야 가능하단 얘기다.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조사한 2013년 대졸 신입사원의 연봉 자료에 의하면 대기업 평균 3천712만원, 외국계기업 3천132만원, 공기업은 3천72만원, 중소기업 평균 2천453만원으로 나타났다. 공무원이 대기업에 비해 1천840만원, 중소기업과 비교해도 581만원을 덜 받는 결과가 나왔다.

정부가 지난해 말 발표한 '2013 민·관 보수수준 실태조사'에 따르면 공무원 임금 민간접근률은 84.5%에 불과하다. 일반직 공무원으로 한정하면 77.6%였고, 대졸 이상 일반직으로 좀 더 제한하면 69.8%가 고작이다. 김대중 정부의 '공무원 보수 현실화 계획' 직후인 2004년 95.9%를 정점으로 무려 10%P나 하락한 것이다.

정부의 왜곡된 사실 전달은 결국 공직사회에 대한 국민의 신뢰와 공무원노동자의 사기를 떨어트린다. 또 '철밥통', '신의 직장'이란 신조어를 만들어 고용을 불안하게 하고, 업무의 난이도와 숙련도 등과는 상관없이 고액연봉자를 죄악시하는 사회풍토로 연결될 수 있다. 이는 국민의 행복지수를 높이는 데 절대 도움이 안 된다는 사실을 잊어선 안 된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