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충주 17.0℃
  • 맑음서산 18.6℃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추풍령 19.0℃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고산 18.8℃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제천 17.2℃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8.7℃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지구지정 해제 앞둔 오송역 가보니

'한 뼘전쟁'이 휩쓴 8년 주민·가족마저 사분오열
비싼 땅값 탓 '내 집 경계선' 확보 위해 다툼
"역세권 방치…허허벌판" 道 비난 한목소리

  • 웹출고시간2013.12.29 20:02:46
  • 최종수정2013.12.29 19:46:50

매서운 칼바람이 불어오던 지난 27일 오송역세권, 오는 31일 지구지정 해제를 앞두고 주민들의 반응이 싸늘하기만 하다. 해가 뉘엿뉘엿 지는 오후 5시 8년여 동안 주민들의 애만 태우던 오송역세권의 미래도 함께 저물어가고 있다. 오송리 한 주민이 빚더미로 돌아온 오송역 주변 '벌집'들을 가리키고 있다.

ⓒ 최범규 기자
지난 27일 찾은 오송역세권, 지구지정 해제를 앞두고 영하권의 매서운 칼바람이 이곳의 분위기를 대신했다.

8년여 동안 숱한 갈등과 반목만을 남기고 결국 오는 31일부로 지구지정이 해제되는 오송역세권 주민들은 그야말로 허탈, 실망, 배신의 감정이 뒤섞여 있었다.

비싼 땅값 탓에 단 한 뼘이라도 더 '내 집' 경계선을 확보하기 위해 형제처럼 지내던 이웃과 다툼이 잦아졌다. 과거 치열한 삶 속에서도 어려운 이웃을 위해 내 집 앞마당 한 쪽을 떼어주던 인심 좋은 풍경은 이젠 온데 간데 사라졌다.

역세권 개발을 두고 때론 같은 목소리를, 때론 다른 목소리를 내며 협력과 반목을 반복하던 주민들은 이제 남이 됐다.

같은 식구들 사이에서도 재산권 분할을 염두에 두고 개발에 대한 찬·반 의견충돌이 잦아졌다.

그러나 역세권을 그냥 이대로 방치한 점에 대해서는 여전히 한목소리다.

유동찬(60·청원군 오송읍 궁평리)씨는 "오송역세권은 세종시의 고위 공무원들이 드나드는 충북의 얼굴이나 다름없지만 역 근처에 차 한 잔 마실 데도 없는 실정이다"며 "세종시의 활성화를 위해서라도 역세권의 개발은 당연히 필요한데도 충북도와 청원군은 8년여 동안 방치만 해 능력부족을 여실히 드러냈다"고 꼬집었다.

주민들 사이에선 허허벌판인 역 주변에서 풀빵 장사나 하는 게 어떻겠냐는 우스갯소리도 흘러나왔다.

몇몇 주민들은 역세권 개발의 부실한 계획 단계를 지적하며 '보여주기식' 행정의 폐단이라는 비판을 제기하기도 했다.

지역에 대한 중·장기적인 개발 계획조차 수립하지 않고 역 건립부터 서둘렀다는 이유에서다.

더욱이 천정부지 치솟은 땅값에 민간 기업들의 외면은 이미 오래전부터 예견됐었다는 의견들이 오갔다.

매서운 칼바람이 불어오던 지난 27일 오송역세권, 오는 31일 지구지정 해제를 앞두고 주민들의 반응이 싸늘하기만 하다. 해가 뉘엿뉘엿 지는 오후 5시 8년여 동안 주민들의 애만 태우던 오송역세권의 미래도 함께 저물어가고 있다.

ⓒ 최범규 기자
박종만(52·청원군 오송읍 봉산리)씨는 "의료과학단지를 예를 들면 10여 년 전 주민 보상가격이 3.3㎡ 당 전·답 3만5천~4만5천 원 선이었는데 개발이후 이 땅들은 최소 58~60만 원에 분양됐다"며 "이 수치대로라면 현재 오송역 주변 땅값이 100~120만 원이라고 계산해도 분양가가 2천만 원에 육박해 단순히 생각해도 누가 이 땅에 투자 하겠냐"고 반문했다.

오송역세권은 8년여 동안 집수리조차 제대로 하지 못할 정도로 재산권 행사에 제약이 따랐다. 이에 최근 도를 상대로 재산권 행사에 대한 소송까지 준비 중인 주민들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주민들과 인근 공인중개업소에 따르면 역세권 주변으로 수두룩하게 지어진 '벌집'들 중 일부는 이른바 '딱지' 형태로 암암리에 거래되기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송리 한 공인중개업자는 "역세권에 면세점이나 각종 위락시설 등을 조성하는 방안과 공북리에 있는 군유지를 활용한 몇몇 대안들이 있었다"며 "오송역은 전국 어디에서든 2시간 안쪽으로 접근이 가능한 교통의 요충지인데 한낱 거쳐 가는 간이역 수준으로 머물러서야 되겠냐"고 말했다.

/ 최범규기자 calguksu@naver.com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