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충주 25.4℃
  • 맑음서산 21.4℃
  • 맑음청주 25.4℃
  • 맑음대전 25.8℃
  • 맑음추풍령 26.0℃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맑음홍성(예) 23.7℃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고산 18.1℃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제천 23.9℃
  • 맑음보은 25.4℃
  • 맑음천안 24.9℃
  • 맑음보령 22.5℃
  • 맑음부여 24.9℃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청주교육지원청 "대농지구 용지 공짜로 달라"

청주시 "어처구니 없다" 일축

  • 웹출고시간2013.10.09 19:00:09
  • 최종수정2013.10.30 17:27:51
청주교육지원청이 '공짜로 청주시 복대동 대농지구 내 공공청사용지를 달라' 고 청주시에 공식 요구했다.

청주시는 어처구니없다며 불편한 심기를 드러내고 있다.

청주교육청은 '대농지구 학교시설 환경개선 건의'라는 내용의 공문을 최근 청주시에 보냈다.

이 공문에서 교육청은 현재 1천140명인 솔밭초등학교의 학생 수가 지웰시티 2차와 두진하트리움 입주에 따라 2016년에는 2천89명으로 늘어나 학교 시설을 증축하더라도 '콩나물 교실'이 우려된다고 밝혔다.

교육청은 현재 30.8명인 학급당 학생 수가 2015년 34.3명, 2016년 37.8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교육청은 문제 해결의 초점을 학교 신설 밖에 없다고 보고 청주시가 소유한 공공청사용지(3필지 6만6천여㎡)를 무상 공급해 달라고 요청했다.

교육청이 대농지구 땅 무상 양여를 시에 공문 형태로 공식 요청한 것은 처음이다.

청주시는 '절대 불가'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대농지구내 공공청사 용지는 일부 시민들이 아닌, 청주시민 전체를 위해 사용돼야 하는 토지라는 것이 청주시의 원론적 입장이다.

시는 지난달 26일 보도자료를 내 "공공청사 용지는 행정재산으로, 공유재산 및 물품관리법상 무상 양여가 불가능하다"고 못 박았다.

더불어 "학생 과밀은 신설학교 쏠림 현상 때문"이라며 "노후학교 시설 개선, 위장 전입 차단, 학군 조정 등으로 학생 수를 분산시켜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청주시 관계자는 "교육청의 요구는 생떼쓰기에 불과"고 잘라 말했다.

한편 대농지구 공공청사 용지 가격은 3.3㎡당 700만~800만원을 호가 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 이호상기자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이 기사 주변 소식 더 자세히 보기
현재위치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기술을 넘어 협력으로" 성장 네트워크 구축하는 충북이노비즈

[충북일보] "충북 이노비즈 기업들이 연결을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경쟁력을 확보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은 지역 내 탄탄한 경제 기반으로 핵심역할을 하고 있다. 30일 취임한 안준식(55) 신임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장은 회원사와 '함께 성장하는 기술혁신 플랫폼'으로서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 역할을 강화한다는 것에 방점을 찍었다. 안 신임 회장은 "취임 후 가장 먼저 해야할 부분은 이노비즈기업 협회와 회원사 위상 강화"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대외협력위원회(위원장 노근호 전 충북테크노파크 원장) △경영혁신위원회(위원장 이미연 ㈜유진테크놀로지 대표) △회원사 협력위원회(위원장 한연수 ㈜마루온 대표) △봉사위원회(위원장 함경태 ㈜미래이앤지 대표) △창립 20주년 추진위원회(위원장 신의수 ㈜제이비컴 대표)로 5개 위원회를 구성했다. 안준식 회장은 도내 회원사들이 가진 특징으로 빠른 적응력과 협력네트워크를 꼽았다. 그는 "충북 이노비즈 기업은 제조 기반 기술력과 신사업으로의 적응력이 뛰어나다. 첨단산업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이 다수 분포해 있고, 산업단지 중심 클러스터화도 잘 이뤄져 있어 협력 네트워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