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충주 25.4℃
  • 맑음서산 21.4℃
  • 맑음청주 25.4℃
  • 맑음대전 25.8℃
  • 맑음추풍령 26.0℃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맑음홍성(예) 23.7℃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고산 18.1℃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제천 23.9℃
  • 맑음보은 25.4℃
  • 맑음천안 24.9℃
  • 맑음보령 22.5℃
  • 맑음부여 24.9℃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충북도교육청 1회 추경안 11억6천여만 원 삭감

도의회 예결위, 교육위 심사안대로 처리
2학기 신규 AIDT 구독료 절반 감액
오는 30일 본회의서 최종 확정

  • 웹출고시간2025.04.27 15:49:40
  • 최종수정2025.04.27 15:49:40
클릭하면 확대이미지를 볼 수 있습니다.

충북도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가 지난 25일 충북도교육청이 제출한 1회 충북도교육비특별회계 추가경정 예산안을 심사하고 있다.

ⓒ 충북도의회
[충북일보] 속보=충북도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는 지난 25일 충북도교육청이 제출한 1회 충북도교육비특별회계 추가경정 예산안을 심사하고 인공지능 디지털교과서(AIDT) 구독료 등 4개 사업 11억6천198만2천 원을 삭감했다. <24일 자 6면>

삭감된 예산은 △AIDT 구독료 10억7천984만4천 원 △재난안전인식도 검사 2천130만 원 △청주교육지원청 1청사 운영비품(파고라)·2청사(파고라) 사업 6천83만8천 원이다.

이는 지난 23일 도의회 교육위원회가 계수조정을 통해 의결한 추경안대로 의결한 것으로 예결위에서 증액되거나 삭감된 예산은 없었다.

당초 1회 추경안에 담긴 AIDT 구독료는 47억6천973만 원이었다.

교육위는 이 가운데 2학기 신규 수요(21억5천968만7천 원)로 발생하는 예산의 50%를 감액해 36억8천988만6천 원을 편성하는 것으로 조정한 뒤 예결위로 넘겼다.

예결위를 통과한 1회 추경안은 오는 30일 425회 임시회 2차 본회의에서 최종 확정된다.

1회 추경 예산안은 본예산(3조8천120억 원) 대비 1천399억 원(3.7%) 증액된 3조9천520억 원 규모로 편성돼 도의회에 제출됐었다.

박봉순 예결위원장은 "1회 추경 예산안은 사업의 효과성, 적정성·타당성을 꼼꼼히 따져 심사했다"며 "충북교육 발전과 학생 학력 증진에 필요한 예산이 허투루 쓰이지 않도록 향후 사업 집행 내역도 꼼꼼히 살펴봤다"고 말했다.

/ 안혜주기자 asj1322@hanmail.net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기술을 넘어 협력으로" 성장 네트워크 구축하는 충북이노비즈

[충북일보] "충북 이노비즈 기업들이 연결을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경쟁력을 확보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은 지역 내 탄탄한 경제 기반으로 핵심역할을 하고 있다. 30일 취임한 안준식(55) 신임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장은 회원사와 '함께 성장하는 기술혁신 플랫폼'으로서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 역할을 강화한다는 것에 방점을 찍었다. 안 신임 회장은 "취임 후 가장 먼저 해야할 부분은 이노비즈기업 협회와 회원사 위상 강화"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대외협력위원회(위원장 노근호 전 충북테크노파크 원장) △경영혁신위원회(위원장 이미연 ㈜유진테크놀로지 대표) △회원사 협력위원회(위원장 한연수 ㈜마루온 대표) △봉사위원회(위원장 함경태 ㈜미래이앤지 대표) △창립 20주년 추진위원회(위원장 신의수 ㈜제이비컴 대표)로 5개 위원회를 구성했다. 안준식 회장은 도내 회원사들이 가진 특징으로 빠른 적응력과 협력네트워크를 꼽았다. 그는 "충북 이노비즈 기업은 제조 기반 기술력과 신사업으로의 적응력이 뛰어나다. 첨단산업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이 다수 분포해 있고, 산업단지 중심 클러스터화도 잘 이뤄져 있어 협력 네트워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