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충주 25.4℃
  • 맑음서산 21.4℃
  • 맑음청주 25.4℃
  • 맑음대전 25.8℃
  • 맑음추풍령 26.0℃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맑음홍성(예) 23.7℃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고산 18.1℃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제천 23.9℃
  • 맑음보은 25.4℃
  • 맑음천안 24.9℃
  • 맑음보령 22.5℃
  • 맑음부여 24.9℃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에코프로비엠, 3년 연속 30억불탑 달성

60회 무역의 날 기념 충북 83개사 수출의 탑 수상
오석송 ㈜메타바이오메드 대표 등 21명 정부 포상
홍서림 SK하이닉스㈜ TL 등 16명 충북지사 표창

  • 웹출고시간2023.12.13 16:31:16
  • 최종수정2023.12.13 16:31:16

김상운(오른쪽) ㈜에코프로비엠 수석팀장이 13일 청주시 청원구 그랜드플라자 청주호텔에서 '60회 무역의 날 기념식'에서 김영환 충북지사에게 30억불 수출의 탑을 받고 있다.

ⓒ 충북도
[충북일보] 이차전지 소재기업 ㈜에코프로비엠이 30억불 수출의 탑을 받았다.

충북도와 한국무역협회 충북지역본부는 13일 청주시 청원구 그랜드플라자 청주호텔에서 '60회 무역의 날 기념식'을 개최했다.

어려운 교역 여건 속에서도 역대 최고의 수출실적을 거둔 무역인들을 격려하기 위해 마련된 기념식에는 김영환 충북지사, 박세범 한국무역협회 충북지역본부장, 이명재 한국무역협회 충북기업협의회장을 비롯한 무역기업 관계자, 유공자 등 1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수출 경과보고, 수출 유공자 정부포상 및 '수출의 탑' 전수 등 순으로 진행됐다.

단일 법인이 달성한 수출 실적이 특정 구간을 넘어 신기록을 경신할 때 수여되는 '수출의 탑'은 총 83개사가 받았다.

에코프로비엠과 삼성SDI가 합작해 설립한 ㈜에코프로비엠은 30억불탑을 받았다.

에코프로비엠은 지난 2022년 10억불탑, 2021년 8억불탑을 수상한 데 이어 3년 연속 수출의 탑 수상이란 영예를 안았다.

더블유씨피㈜는 3억불탑, ㈜엠플러스와 타이엠씨㈜는 2억불탑, 인팩이피엠㈜는 각각 1억불탑을 수상했다.

무역 진흥을 통해 국가산업발전에 기여한 충북 기업인들에 대한 정부 포상이 13일 청주시 청원구 그랜드플라자 청주호텔에서 열린 '60회 무역의 날 기념식'에서 진행된 가운데 김영환 충북지사가 포상을 전수한 뒤 수상자들과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왼쪽부터) 오석송 ㈜메타바이오메드 대표이사, 김영환 충북지사, 김영구 ㈜심텍 대표이사(대리 참석), 윤은석 메타바이오메드(미국법인) 법인장.

ⓒ 충북도
수출유공자 부문에서 전세호 ㈜심텍 회장과 오석송 ㈜메타바이오메드 대표이사가 공로를 인정받아 금탑산업훈장을 받았다.

김철희 코스맥스바이오㈜ 대표와 윤은석 메타바이오메드(미국 법인) 법인장은 국무총리표창 수상하는 등 총 21명이 세계시장 개척과 수출 확대에 앞장선 공로를 인정받아 정부포상을 받았다.

김동희 ㈜네츄어스베스트푸드 대표를 비롯한 총 20명은 충북지사 표창을, 정찬종 ㈜만상 대표이사와 김철배 ㈜한일테크 대표이사는 한국무역협회장 표창을 수상했다.

지난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이어 올해도 고금리와 고물가, 미국과 중국의 대립 등 대외 무역환경이 악화되며 10월까지 충북 수출은 전년 대비 14.7%가 감소한 234억4천만 달러를 기록 중이다.

최근에 메모리 반도체 가격이 상승하는 등 수출 감소세도 많이 줄어 조만간 증가세로 돌아설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수상자 명단은 다음과 같다.

◇30억불탑 △㈜에코프로비엠 ◇3억불탑 △더블유씨피㈜ ◇2억불탑 △㈜엠플러스 △티이엠씨㈜ ◇1억불탑 △인팩이피엠㈜ ◇7천만불탑 △한일단조공업㈜ ◇5천만불탑 △㈜알코판넬 △㈜해광 ◇3천만불탑 △㈜노바렉스 △대진기계 ◇2천만불탑 △㈜에이치케이이앤이 △㈜에코프로에이치엔 △㈜엑소코바이오 △㈜일신웰스 △에너테크인터내셔널 주식회사 △청호나이스㈜ ◇1천만불탑 △㈜득영 △㈜리비콘 △㈜제이케이글로벌 △㈜한웅메디칼 △주식회사 에이비씨글로벌 ◇700만불탑 △㈜에어레인 △㈜익성 △대덕에프알디㈜ △세지케미칼㈜ ◇500만불탑 △㈜송정 △㈜엘스브릿지 △㈜우리플라 △㈜전성 △㈜티비원 △신성소재㈜ △에이치비티 주식회사△월드비엠씨㈜ △한미전선㈜

◇300만불탑 △㈜메디클러스 △㈜명정보기술 △㈜비에이치아이 △㈜에스제이이노텍 △㈜우림하이테크 △㈜제론텍 △㈜짚이엔씨 △리오엠엔씨㈜ △미농바이오㈜ △선진건기㈜ △신흥기업 주식회사 △웰마크㈜ ◇200만불탑 △㈜씨유스킨 △㈜더블유엘폴리머 △㈜더존케미칼 △㈜동일제약 △㈜비앤에스코리아 △㈜소마 △㈜씨티에스 △㈜에스에스케이 △㈜에이원텍 △㈜이원 △㈜지에스티산업 △㈜케이팩 △㈜테크피아 △㈜포메데시 △㈜하영에스엠씨 △농업회사법인조은종묘㈜ △동양베톤㈜ △바이온㈜ △선보 △애트폴리㈜ △주식회사 이든에프앤씨(진천공장)△진진테크㈜ △ 코스맥스바이오㈜ ◇1백만불탑 △㈜네이코 △㈜명진종합건설 △㈜성현퍼라이트 △㈜수산기계이엔지 △㈜씨엠코어 △㈜올담 △그린기계 △데이빗아쿠아시스템 △신일제약㈜ △에스원테크 △웰바이오 △위케이이앤지 △주식회사 올도완 △주식회사 천명메탈

◇금탑산업훈장 △오석송 ㈜메타바이오메드 대표이사 △전세호 ㈜심텍 회장 ◇국무총리표창 △김철희 코스맥스바이오㈜ 대표 △윤은석 메타 바이오메드(미국법인) 법인장

◇산업통상자원부장관 표창 △이성욱 ㈜득영 대표 △김문식 ㈜득영 과장 △한상욱 ㈜마크로케어 이사 △김영규 ㈜마크로케어 공장장 △김경은 ㈜메디클러스 대표이사 △송종호 ㈜송정 대표이사 △이고려 ㈜송정 부장 △오승호 ㈜일신웰스 대리 △조범호 ㈜티비원 대표이사 △서주덕 농업회사법인조은종묘㈜ 이사 △정병도 웰마크㈜ 대표이사 △윤성욱 한미전선㈜ 대표이사 △이석구 한미전선㈜ 부장 △임부택 ㈜엘시시 대표이사 △어정선 주식회사 레오(LEO) 대표이사 △신지식 충북지방중소벤처기업청 공무직△윤주한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팀원 ◇충북지사 표창 △홍서림 SK하이닉스㈜ TL △이성찬 ㈜미스플러스 본부장 △김범근 데이빗 아쿠아시스템 대표 △이용광 스톨존바이오㈜ 대표이사 △김영환 에너지 테크솔루션(충주) 사장△홍성현 주식회사백코리아 대표이사 △김윤수 주식회사데시존 대표이사 △어정선 ㈜레오 대표이사 △정신우 ㈜동해바이오 대표 △김동희 ㈜네츄어스 베스트푸드 대표 △김한백 (사)한국무역협회 충북지역본부 과장 △이운식 중소벤처기업 진흥공단 충북지역본부 팀장 △장조아 한국무역보험공사 충북지사 대리 △이지현 대한무역투자 진흥공사 충북지원단 대리 △정인영 (재)충청북도 기업진흥원 대리 △이길준 지케이 관세사무소 대표 ◇한국무역협회장 표창 △정찬종 ㈜만상 대표이사 △김철배 ㈜한일테크 대표이사

/ 안혜주기자 asj1322@hanmail.net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기술을 넘어 협력으로" 성장 네트워크 구축하는 충북이노비즈

[충북일보] "충북 이노비즈 기업들이 연결을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경쟁력을 확보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은 지역 내 탄탄한 경제 기반으로 핵심역할을 하고 있다. 30일 취임한 안준식(55) 신임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장은 회원사와 '함께 성장하는 기술혁신 플랫폼'으로서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 역할을 강화한다는 것에 방점을 찍었다. 안 신임 회장은 "취임 후 가장 먼저 해야할 부분은 이노비즈기업 협회와 회원사 위상 강화"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대외협력위원회(위원장 노근호 전 충북테크노파크 원장) △경영혁신위원회(위원장 이미연 ㈜유진테크놀로지 대표) △회원사 협력위원회(위원장 한연수 ㈜마루온 대표) △봉사위원회(위원장 함경태 ㈜미래이앤지 대표) △창립 20주년 추진위원회(위원장 신의수 ㈜제이비컴 대표)로 5개 위원회를 구성했다. 안준식 회장은 도내 회원사들이 가진 특징으로 빠른 적응력과 협력네트워크를 꼽았다. 그는 "충북 이노비즈 기업은 제조 기반 기술력과 신사업으로의 적응력이 뛰어나다. 첨단산업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이 다수 분포해 있고, 산업단지 중심 클러스터화도 잘 이뤄져 있어 협력 네트워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