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충주 17.0℃
  • 맑음서산 18.6℃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추풍령 19.0℃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고산 18.8℃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제천 17.2℃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8.7℃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16억 중 8억 통과… 죽도 밥도 안되는 '반쪽 예산'

'행복교육지구'가 뭐 길래 1. 열쇠 쥔 충북도의회
새누리 내부도 예산 규모 충돌
진통 끝 '어중간한 결정' 봉합
"절반 예산은 사업에 차질만"
오는 23일 예결위 결과 관심
부활 가능성은 예측 불허
김양희 의장 "의원들 의견에"

  • 웹출고시간2017.01.18 21:29:53
  • 최종수정2017.01.18 21:29:53

편집자

충북 최대 교육현안 중 하나인 '행복교육지구'를 놓고 논란이 뜨겁다. 도교육청은 교육 패러다임을 획기적으로 전환한다는 취지로 '행복교육지구' 사업을 추진하고 있지만, 지역 여론은 싸늘하기만 하다. 이 사업은 김병우 교육감의 핵심 공약이기도 하다. 때문에 정쟁의 대상으로 전락한 채 첫 발도 못 떼고 있다. 협치는커녕 공감대 형성조차 미흡한 실정이다. 본보는 존폐 기로에 선 교육정책의 실태와 방향성에 대해 총 3회에 걸쳐 집중 조명한다.
[충북일보] 행복교육지구가 시작도 못하고 좌초 위기에 몰렸다.

관련 예산이 도의회에서 대폭 삭감됐기 때문이다. 총 15억8천182만 원 중 절반인 8억 원만 도의회 상임위원회(교육위)의 문턱을 넘었다.

사업 축소가 불가피해질 처지다.

◇반 토막 예산으로 교육 혁신하라고?

현재 우리나라의 교육 시스템은 사교육 혹은 입시 전쟁을 부추기는 측면이 없지 않다. 그에 따른 교육혁신의 필요성이 제기된 것도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보수·진보 진영을 가리지 않고 교육 시스템의 개선에 상당부분 공감하고 있다.

이에 전국 시·도교육청은 교육 패러다임을 전환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꾀한다.

충북도교육청 역시 마찬가지다.

대표적인 게 '행복교육지구' 사업이다. 하지만 시작도 하기 전부터 가시밭길의 연속이다. 가장 큰 걸림돌은 예산이다.

도교육청은 1회 추가경정예산안을 편성하면서 행복교육지구 사업비 15억8천182만 원을 반영했다.

도의회를 장악한 새누리당은 당론으로 이 예산에 칼질을 시도했다. 그에 따른 반발이 극심했다.

새누리당 내부에서도 예산 규모를 놓고 의견이 충돌했다. 일부 의원은 전액 통과를 전제로 예결위나 본회의에서 좀 더 심도 있게 토론하자고 제안했다. 다른 한쪽에서는 사업의 중복성, 소통 부족 등을 이유로 예산 삭감을 주장했다.

진통을 겪은 끝에 예산 중 절반(8억 원)만 통과됐다.

명분도 실익도 없는 '어중간한' 결정이라는 비판이 쏟아진다.

익명을 요구한 한 새누리당 의원은 "반쪽짜리 예산으로는 체면치레는커녕 사업 추진에 차질만 빚어질 게 분명하다"며 "이도저도 아닌 꼴을 자초한 책임에서 자유롭지 못할 것"이라고 꼬집었다.

◇비난 자초한 도교육청·도의회

절반의 예산은 절반의 사업 추진을 의미하는 게 아니다.

8억 원의 예산은 행복교육지구 참여를 결정하고 예산을 세운 충주시·옥천군·진천군·음성군에 투입된다. 다른 지자체는 참여 의사는 보였지만 예산을 세우지 않았다는 이유로 사업비가 투입되지 않는다.

도의회는 지난해 행복교육지구 사업비를 삭감하면서 도의회가 내세운 주장을 스스로 뒤엎어 버렸다. 당시 도의회는 사업에 참여하지 않는 지자체에 대한 형평성을 문제 삼았다. 이에 도교육청은 다른 지자체에 대한 기반·매칭 예산을 반영했지만, 도의회는 이번에 해당 예산을 삭감한 것이다.

도교육청 역시 소통 부재를 여실히 드러냈다.

속전속결로 사업 추진을 강행하는 뉘앙스를 풍기기에 충분했다. 도의원들도 이 점을 불쾌하게 여기고 있다. 지난해 지적받은 사항을 보완했다고는 하지만 조금 더 심사숙고하거나 서로 토론하고 협업하는 자세가 부족했다.

여기에 김병우 교육감이 자신의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 행복교육지구의 당위성을 늘어놓은 것도 새누리 의원들의 심기를 건드리고 말았다.

새누리 한 의원은 "김 교육감이 당연한 사업인양 SNS에 글을 올리고 예산을 세우지 않으면 마치 부당한 것처럼 조장했다"며 "이는 일방통행식 소통이며, SNS에 하는 것의 반만이라도 의회와 소통하면 이렇게 사태가 악화되진 않았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예결위·본회의에 쏠린 눈

행복교육지구가 일단 상임위의 손을 떠났다. 오는 23일 예결위에 관심이 쏠린다.

관련 예산에 변동이 있을지조차 예측하기 어려울 정도다.

도교육청 안팎에서는 의회 수장인 김양희 의장에게 내심 기대를 거는 기류도 감지된다. 김 의장 역시 이번 논란 과정에서 낭패를 본 입장이다. 차기 교육감 선거를 염두에 둔 온갖 정치적 해석이 난무해서다.

때문에 정쟁으로 비화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라도 김 의장이 당내 중재에 적극적으로 나서달라는 요청도 나온다.

도교육청 한 관계자는 "행복교육지구의 불시착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만만치 않다"며 "예결위나 본회의 심의에 앞서 대승적인 차원에서 김 의장이 결단을 내려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김 의장은 조심스럽기만 하다.

김 의장은 "개개인이 입법기관인 예결위원들의 의견의 100% 존중할 것"이라며 "심의 과정에서 의견을 내거나 개입하는 일은 절대 없을 것"이라고 일축했다.

/ 최범규기자 calguksu@naver.com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이 기사 주변 소식 더 자세히 보기
현재위치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