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7.9℃
  • 구름조금강릉 18.3℃
  • 맑음서울 11.4℃
  • 맑음충주 7.8℃
  • 맑음서산 9.0℃
  • 맑음청주 13.1℃
  • 맑음대전 11.1℃
  • 맑음추풍령 6.1℃
  • 맑음대구 13.1℃
  • 맑음울산 10.3℃
  • 맑음광주 12.4℃
  • 맑음부산 12.6℃
  • 맑음고창 12.1℃
  • 맑음홍성(예) 9.3℃
  • 구름조금제주 13.1℃
  • 구름조금고산 11.2℃
  • 맑음강화 9.3℃
  • 맑음제천 5.4℃
  • 맑음보은 7.2℃
  • 맑음천안 7.1℃
  • 맑음보령 13.5℃
  • 맑음부여 7.1℃
  • 맑음금산 7.2℃
  • 맑음강진군 8.2℃
  • 맑음경주시 9.3℃
  • 맑음거제 10.6℃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대언론학자 제천 천관우, 시조는 임란 명나라 장수 천만리

  • 웹출고시간2016.11.15 16:38:53
  • 최종수정2016.11.15 16:38:53

조혁연

충북대 사학과 초빙교수

한국 현대신문사를 논하려면 천관우(千寬宇, 1925~1991)와 송건호(宋建鎬, 1927~2001) 두 거목을 반드시 지나가야 한다. 공교롭게도 두 인물은 각각 우리고장 제천시 청풍면과 옥천군 군북면 출신이고, 연령대도 비슷하다.

최근 제천시와 옥천군이 두 인물을 기념하는 사업을 약속이나 한 듯이 거의 동시에 추진하고 있다. 옥천군은 얼마전 '청암 송건호 기념사업회'를 창립한데 이어 군북면 비야리 생거터에 표지석을 세우기로 했다. 제천시는 지난 11일 제천시청에서 백산학회(회장 하문식 세종대 교수)와 공동으로 '후석 천관우의 한국사 연구와 역사 인식' 학술대회를 개최하였다.

과거의 영화가 그리운 청풍 고을에서 천관우 같은 언론 거목이자 대사학자가 나올 수 있었던 배경이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 천관우는 영양(潁陽) 천씨 군수공파 명선(命善, 1896~1955)의 아들로 청풍 북진(北津)에서 태어났다.

생전의 천관우 선생 모습.

영양 천씨의 시조는 임진왜란 때 조선에 출병하였다가 귀화한 명나라 장수 천만리(千萬里, 1543~·)로, 천관우는 그의 16세손이 된다. 그는 중국 지금의 사천성 천고봉(千古峰) 밑에 살았다 하여 성을 천씨로 삼았다.

그는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이여송(李如松)을 따라 조선에 들어왔다. 그는 평양·곽산·동래 등의 전투에서 공을 세웠고, 또 정유재란 때 마귀(麻貴)와 함께 울산에서 승리를 거두는 등 맹활약하였다. 귀화인이 시조가 된 경우는 많지만, 그 행적이 사서에 명확히 기록된 사례는 드물다. 다음은 의관(議官) 이봉래(李鳳來) 등의 상소이다.

"명나라 수위사 겸 총독장 천만리(千萬里)는 만력 임진년에 조병영양사(調兵領糧使)로서 철기(鐵騎) 2만명과 아들 천상(千祥)을 거느리고 제독 이여송(李如松)을 따라 압록강을 건너 곽산에서 첫 싸움을 하여 이긴 다음 평양으로 진군하여 주둔하고 있는 적을 포위하였습니다. 제독이 천만리와 함께 칠성문을 공격했는데, 대포로 문짝을 부수고 군사를 정돈하여 들어가 승세를 타고 싸운 결과 1,280여 급을 참획하였습니다. 계속 싸우면서 동래(東萊)에까지 이르는 동안 연전연승함으로써 적의 예봉을 꺾어놓았습니다."-<고종실록 38년 9월 30일>

왜란이 끝나자 출정한 동료 지휘관들은 귀국하였으나 그는 따라가지 않고 조선에 머물러 살았다. 천관우의 시조가 왜 중국 고향으로 돌아가지 않았는지는 분명치 않다.

《고종실록》은 중국 대륙이 명나라에서 청나라, 즉 오랑캐 국가가 될 것을 미리 알았기 때문이라고 밝히고 있으나 조선의 온화한 기후와 산천의 아름다움에 매료됐을 가능성도 꽤 있다.

"명나라 군사가 돌아가게 되자 그대로 왕경(王京)에 머무르면서 금강산(金剛山)에 세 번 가보고 두류산(頭流山)에 두 번 올랐는데, 이르는 곳마다 시를 읊어 감회를 털어놓았습니다. 대체로 그가 고국에 대한 그리움을 억누르고 이국 땅의 고신(孤臣)이 된 것은 명나라가 마지막 운수에 들어서고 중국이 오랑캐 땅으로 되리라는 것을 환히 알아서 후손들이 오랑캐 땅에 들어가지 않게 하자는 것이었습니다."-<〃>

선조는 그의 전공을 생각하여 그를 화산군(花山君)에 봉하고 전(田) 30결(結)을 하사했다. 천관우 선조가 언제 제천 청풍에 입향했는지는 불분명하다. 그러나 세명대 구완회 교수에 의하면 남한강 세곡(稅穀)을 서울 경창(京倉)으로 운반하면서 부를 축적하였다.

/ 충북대 사학과 초빙교수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기술을 넘어 협력으로" 성장 네트워크 구축하는 충북이노비즈

[충북일보] "충북 이노비즈 기업들이 연결을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경쟁력을 확보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은 지역 내 탄탄한 경제 기반으로 핵심역할을 하고 있다. 30일 취임한 안준식(55) 신임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장은 회원사와 '함께 성장하는 기술혁신 플랫폼'으로서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 역할을 강화한다는 것에 방점을 찍었다. 안 신임 회장은 "취임 후 가장 먼저 해야할 부분은 이노비즈기업 협회와 회원사 위상 강화"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대외협력위원회(위원장 노근호 전 충북테크노파크 원장) △경영혁신위원회(위원장 이미연 ㈜유진테크놀로지 대표) △회원사 협력위원회(위원장 한연수 ㈜마루온 대표) △봉사위원회(위원장 함경태 ㈜미래이앤지 대표) △창립 20주년 추진위원회(위원장 신의수 ㈜제이비컴 대표)로 5개 위원회를 구성했다. 안준식 회장은 도내 회원사들이 가진 특징으로 빠른 적응력과 협력네트워크를 꼽았다. 그는 "충북 이노비즈 기업은 제조 기반 기술력과 신사업으로의 적응력이 뛰어나다. 첨단산업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이 다수 분포해 있고, 산업단지 중심 클러스터화도 잘 이뤄져 있어 협력 네트워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