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충주 17.0℃
  • 맑음서산 18.6℃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추풍령 19.0℃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고산 18.8℃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제천 17.2℃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8.7℃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문신

우석대 교수

"아, 또 시험이야."

중간고사가 다가오는 모양이다. 중학생 아들이 걸핏하면 시험 스트레스를 하소연한다. 초등학교에서 경험하지 못했던 일이라 시험이 여간 신경 쓰이는 모양이다. 입술을 조그맣게 뭉쳐 내민 표정이 제법 심각했다. 빨리 어른이 되면 좋겠다는 아들은 사는 일이 시험의 연속이라는 걸 알까?

"시험에서 해방되고 싶다."

삼십 분 정도 책상 앞에 앉아 있던 아들이 책을 탁 덮고 일어섰다. 그 순간 이상하게도 나는 '해방'이라는 말에 귀가 열렸다. 왜 그 말이 그토록 이물스럽게 다가왔을까? 나는 이내 그 이유를 알았다. 그건 해방이라는 말에 드리워진 역사적 무게였다.

알다시피 모든 말에는 필연적으로 역사적 문맥이 깔려 있다. 빨갱이, 좌익, 친일파, 사상, 혁명 같은 말들이 대표적이다. 그런 이유로 특정 단어를 선택하는 일은 역사적 관점을 드러내는 일이기도 하다. 이런저런 이유로 말에 거부감 있는 꼬리표가 붙고 나면 그 말은 슬그머니 사라진다. 언어도 시대에 따라 생성과 소멸을 겪는 것이다. 하지만 자연스럽지 못한 경우가 종종 있다. '인민'이라는 말이 그렇고 '동무'라는 말이 그렇다.

가장 안타까운 말은 동무이다. 언제부턴가 동무라는 말이 일상에서 사라졌다. "동무들아 오너라 서로들 손잡고 노래하며 춤추며 놀아보자" 이런 동요를 불렀던 시절이 언제였던가. 어린 시절, 해가 뉘엿뉘엿할 때 집에 들어가서는 '동무들하고 놀고 왔다'고 늦은 귀가를 변명하곤 했다. '어깨동무'라는 잡지도 기억난다. 찾아보니 1967년부터 1987년까지 간행된 어린이 잡지다. 그러니까 1980년대까지만 해도 동무라는 말이 일상에서 두루 쓰인 것이다.

해방도 이렇게 봉인된 말 가운데 하나이다. 그래서 중학생 아들이 해방이라는 말을 입에 올렸을 때 낯설었다. 하지만 그 말이 근래에 유행한 드라마 제목에 나왔다는 얘기를 듣고 고개를 끄덕였다. 작년 봄이었단다. 모 방송사에서 방영한 드라마 제목이 '나의 해방일지'였다. 드라마에는 저마다의 고민을 안고 사는 젊은이들이 있고, 긴 세월을 나름의 무게를 감당해 온 노년의 부부가 나온다. 그들이 자기들 마음을 붙들고 있는 어둠에서 조금씩 해방되는 이야기라고 아들이 말해주었다. 드라마 인기에 편승해 '해방'이라는 말이 역사적 중압감에서 해방된 듯했다.

작년 가을에 출간된 한 권의 소설도 '해방일지'라는 제목이 붙어 있다. 평생 빨치산의 딸로 살아온 주인공이 아버지의 죽음을 계기로 아버지의 진심을 알아가는 이야기다. 이 소설을 읽으면서 나는 세 가지 해방을 경험했다. 첫째는 죽어서야 마침내 이념을 벗어버린 빨치산 아버지의 해방이었다. 빨갱이 딸이라는 딱지를 달고 살아온 화자가 아버지를 이해해가는 과정이 또 하나의 해방이었고, 빨갱이였던 아버지와 인연 혹은 악연으로 엮인 사람들이 진정한 자기를 발견해가는 과정도 해방으로 이해되었다.

책을 찾아 초록색 표지에 인쇄된 '해방'이라는 말을 눈으로 오래 더듬었다. 눈을 들었을 때는 저만치 봄 숲의 연두가 보였다. 딱딱한 나무둥치에서 겨울을 난 생명이 연두의 잎으로 피어나고 있었다. 아니, 해방되는 중이었다. 연두의 부드러움이 단단한 목질을 끝내 이겨내고 있었다. 연두는 나무에서 온몸으로 해방되고 있었던 거다. 겨울이라는 시간으로부터. 자기를 가둔 나무껍질로부터.

좋다. 그럼 너도 해방이다. 나는 책을 팽개치고 휴대폰에 빠져 있는 아들을 모른 척했다. 그것은 아버지의 역할에서 내가 해방되는 일이기도 했다. 그리고는 휴대폰을 꺼내 오랫동안 연락하지 못했던 동무의 이름을 눌렀다. 대뜸 '우리 해방되자'라고 하면 싱겁게 웃겠지? 그러면 함께 웃고는 이렇게 덧붙여야겠다. '동무야, 넌 얼마만큼 해방되었니? 숲 좀 봐라. 해방되기 딱 좋은 봄날이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