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충주 17.0℃
  • 맑음서산 18.6℃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추풍령 19.0℃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고산 18.8℃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제천 17.2℃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8.7℃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두루봉동굴 '흥수아이' 첫 발견자 김흥수 씨

"유골 보는 순간 중요한 가치 느꼈다"

  • 웹출고시간2015.04.13 20:09:54
  • 최종수정2015.04.13 19:58:18

[충북일보] 이름의 의미 때문인지 전화기 너머의 목소리가 마치 먼 구석기시대를 관통하여 온 시원(始原)의 느낌으로 들려왔다. 역사교과서에 등장하는 '흥수아이', 그것을 발견한 당사자 김흥수(77)씨가 우리 이웃에 살고 있었다.

"김흥수 선생님 맞지요? 구석기시대의 두루봉동굴 '흥수아이'의 발견자, 김흥수 선생님…"

"네, 맞습니다."

'흥수아이'로 명명된 사람의 목소리가 생생하게 들려왔다.

지금으로부터 35년 전 일이다.

김흥수씨

'1983년 충북 청원군 두루봉 동굴, 석회석 광산을 찾기 위해 산을 헤매던 김흥수 씨는 혹시나 하는 마음에 동굴 속을 살펴보다가 사람 뼈를 보고 흠칫 놀랐다. 흥분을 가라앉히고 등불을 비춰 자세히 보니 키가 110~120센티미터 가량 되는 어린아이의 뼈였다. 발견 당시 이 뼈는 석회암 바위 위에 반듯하게 누워 있는 모습이었는데, 뒤통수가 튀어나와 제법 귀여운 느낌이었다. 사람들은 발견자의 이름을 따서 이 뼈를 <흥수아이>라고 부르기로 했다.'

위 내용은 전국역사교사모임에서 만든 '살아있는 한국사 교과서(휴머니스트 출판)'에 수록된 '흥수아이, 다섯 살짜리 청소년'에 나오는 내용이다.

청주시 가경동에 자리 잡은 메리츠화재는 김흥수 씨의 직장이다. 문을 열고 들어가자, 그가 반갑게 맞이하며 창가 소파로 안내했다. 다리가 불편한 듯 절고 있었다.

"내가 김흥수요. 몸이 좀 불편합니다. 당뇨에 고혈압…종합병원이죠."

그러면서 껄껄 웃었다. '흥수아이'를 처음 발견 당시의 상황을 직접 들을 수 있었다.

한국사교과서에 수록된 '흥수아이, 다섯살짜리 청소년'에 묘사된 내용과는 현격한 차이가 있었다.

"76년도에 석회석 광산을 운영하고 있었는데 동굴에서 동물 뼈가 나왔다. 곰뼈, 상아(象牙) 등도 나왔다. 구석기시대의 귀한 유물이라고 했다. 충북대 이융조 교수가 발굴을 시작했다. 그는 늘 입버릇처럼 '사람뼈'가 중요하다고 했다. 그러다 1982년도에 석회석 동굴 근교에서 땅을 고르다 어린아이 두개골 같은 것을 발견했다. 사흘 고민하다 이융조 교수에게 전화를 넣었다."


사흘 밤낮 고민한 이유는 문화재보호구역으로 지정되면 모든 광산 업무를 중단해야 하기 때문이었다. 그 당시에 별다른 보상도 없이 무조건 하던 사업을 포기하기란 쉽지 않은 결정이었다. "뭐랄까. 주변에서 반대를 했지만, 돈보다 더 중요한 가치가 있다고 막연하게 느꼈다. 덕분에 금전적 손해는 컸지만, '흥수아이'로 역사에 이름을 남기니 자부심을 갖고 산다."

그에게 남겨진 보상은 충북대에서 준 '감사장'이 전부였다.

당시 발굴자였던 한국선사문화연구원 이융조(75)이사장은 "청원 두루봉동굴에서 발견한 어린아이의 뼈를 '흥수아이'로 명명한 것은 당시 발굴에 참여했던 사람들의 의견을 모은 것"이라며 "정확하게는 82년 12월5일 저녁 무렵, 김흥수 씨로부터 전화가 왔다. 두루봉동굴에서 '사람 이빨 같은 것이 나왔다'라는 연락이었다. 김흥수 씨의 제보로 약 4만 년 전 구석기시대 사람 '흥수아이'를 발굴할 수 있었던 계기였다."라고 밝혔다.

그의 역사적 발견으로 '흥수아이'란 이름을 남겨 '살아있는 화석' 같은 존재가 되었지만, 발굴 이후, 운영하던 석회석 광산은 85년 폐광됐다. 88년도부터 지금까지 그는 30년간 보험 업무를 하며 홀로 살고 있다.

/ 윤기윤 기자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