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충주 17.0℃
  • 맑음서산 18.6℃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추풍령 19.0℃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고산 18.8℃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제천 17.2℃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8.7℃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인류진화 이야기 - 체모는 왜 감소했는가

인체 발열률 높이는 과정에서 점차 감소
170만년 호모 에르가스터 시기부터 시작돼
일부는 '맨살=보다 높은 성쾌락' 설도 제기
다윈은 이가 적은 성적 배우자 선택설 주장

  • 웹출고시간2012.03.05 18:46:47
  • 최종수정2013.08.04 00:44:01

호모 에르가스터의 상상도이다. 고고인류학자들은 이때부터 옛인류가 도구에 의한 어떤 일을 하기 시작했고, 인체 발열률을 높이는 과정에서 체모가 감소하기 시작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인류의 체모(몸털)는 왜 현격히 감소하는 쪽으로 진화됐을까. 또 지구상에는 왜 다양한 피부색을 지닌 인종이 존재하는 것일까.

오늘부터 충북대 박선주(고고미술사학과) 교수의 도움을 빌어 '인류 진화 이야기'를 5회에 걸쳐 연재한다.

글 싣는 순서는 '체모는 왜 감소했는가', '피부색이 다양해진 이유', '현생인류의 확산', '몽골로이드', '지금 우리들의 조상은' 등이다.

체모(體毛)는 의학적으로 피부의 부속기관으로, 생모(生毛)와 기모(期毛)로 분류되고 있다.

생모는 태아 때부터 몸에 나있는 털을, 기모는 성 성숙기에 생기는 길고 색이 짙은 몸털을 일컫고 있다.

인류의 체모는 분명히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신체적으로 다모(多毛)에서 소모(少毛)의 방향으로 진화했다.

고고인류학자들에 따르면 인류는 대략 8백만년 전에 침팬지에서 분화했고, 4백만년 전에는 오스트랄로피테쿠스(猿人·남쪽 원숭이라는 뜻) 단계로까지 진화했다.

오스트랄로피테쿠스는 유인원처럼 뒤뚱뒤뚱 걸었고, 긴팔과 발 끝까지 털로 덥혀 있었다. 그러나 어느 시기부터 머리와 신체 은밀한 곳을 제외하고 털이 적어지고 맨살이 노출되기 시작했다.

그 시기는 언제이고,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고고인류학자들은 △인체 발열설 △흡혈 곤충인 이 관련설 △성 쾌락설 등을 제기하고 있다.

첫번째 설은 이른 시기 아프리카의 메마르고 더운 기온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체온을 떨어트리는 것이 자주 필요했고, 그 과정에서 체모가 감소하기 시작했다고 밝히고 있다.

이 이론을 지지하는 학자들은 "인체 발열의 경우 온몸에 털이 나있는 것보다 맨살이 훨씬 유리하다"며 "현재 아프리카인들의 머리카락이 짧은 것도 같은 이유가 되고 있다"고 밝혔다.

관련 학자들은 체모 감소가 일어나기 시작한 시점에 대해서는 대략 1백70만년 전의 이른바 호모 에르가스터(Homo ergaster) 시기로 꼽고 있다.

호모 에르가스터는 '일하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이때부터 도구를 동반한 옛 인류의 어떤 행위가 시작된 것으로 고고인류학자들은 보고 있다.

흡혈 곤충인 이 관련설은 찰스 다윈이 주장한 내용으로, 성적(性的) 선택을 주요 골자로 하고 있다.

다윈은 "이른 시기 인류가 짝짓기를 할 때 몸털이 적은 배우자를 선택하려 했을 것"이라며 "그 이유는 체모가 적을수록 이도 적었을 것이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성 쾌락설은 맨살의 접촉과 관련이 있다.

이를 지지하는 학자는 "성 관계를 맺을 때 몸털이 난 경우보다 맨살끼리 접촉할 때가 쾌락도가 더 높다"며 "이 과정이 반복되면서 인류는 체모를 지닐 필요성이 점점 없어졌을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현재 세 가지 이론 중 신체 발열설이 가장 많이 수용되고 있다. 이 이론은 유전적인 분석에 의해서도 어느 정도 뒷받침을 받고 있다.

분석 결과, 체모 감소와 다음에 소개할 피부색과는 어느 정도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 조혁연 대기자

도움말: 충북대 고고미술사학과 박선주 교수

호모 에르가스터

동부 아프리카와 남부 아프리카에서 약 180만년 전~130만년 전의 플라이스토세 전기에 생존했던 사람속의 고인류이다.

그 전보다 더욱 진보된 석기를 사용했고, 목소리를 통해 의사소통을 했을 가능성도 있다고 추정된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