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충주 25.4℃
  • 맑음서산 21.4℃
  • 맑음청주 25.4℃
  • 맑음대전 25.8℃
  • 맑음추풍령 26.0℃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맑음홍성(예) 23.7℃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고산 18.1℃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제천 23.9℃
  • 맑음보은 25.4℃
  • 맑음천안 24.9℃
  • 맑음보령 22.5℃
  • 맑음부여 24.9℃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과학으로 본 우리 문화재 - 조선시대 달력문화

"2년전 제작 시작…5-6가구당 1부씩 보급"
국가 행사 외에 농사용으로도 반드시 필요
사전유출 방지위해 4그룹이 1계절씩 맡아
보급 시작은 중국보다 보름늦은 10월 망일

  • 웹출고시간2011.12.19 18:36:54
  • 최종수정2013.08.04 00:44:01
달력(曆書)이 우리나라 문헌에 처음 등장한 것은 6~7세기 무렵이다.

삼국사기 신라본기에는 '문무왕 14년(674) 정월 당나라에 가서 숙위하던 대나마(大奈麻) 덕복(德福)이 역학(曆學)을 배워 돌아와서 새로운 역법으로 개용하게 되었다'라는 내용이 등장한다.

이보다 앞서 중국 역서가 백제를 거쳐서 일본으로 전해졌다는 내용이 일본서기에 기록돼 있다.

일본서기에는 '백제의 역박사 왕보손(王保孫)이 554년(위덕왕 1) 일본에 건너갔으며, 또 602년(무왕 1) 백제의 승려 관륵(觀勒)이 역서를 일본에 전했다'는 기록이 보인다.

이와 관련 조선시대에는 관상감(觀象監)이라는 곳에서 역서를 제작·보급했다. 당시는 어떤 과정을 거쳐 달력을 만들었고, 또 몇 부 가량 보급했을까.


충북대 기초교육원 박권수 교수의 논문 '조선시대 역서의 간행과 배포' 논문에 따르면 역서 제작은 대략 22~25명의 전문가로 팀을 구성, 보통 2년 전부터 시작했다.

이를 흐름도로 작성하면, 역계산 시작-역계산 결과 제출-인출 시작-인쇄 완료-역서배포 시작-역사 사용 등의 과정을 거친다.

'古今通考'라는 18세기 역서로, 절기 이름(선)이 보이고 있다.

이 과정에서 동일집단이 12개월 모두를 계산하거나 인쇄하지 못하도록 했다. 사전에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었다. 대신 24명의 4그룹으로 나눠, 봄·여름·가을·겨울 중 하나의 계절을 맡았다.

배포는 임금에게 먼저 진상을 한 후 10월 망일(15일)부터 시작했다. 날짜가 유독 10월 망일인 것은 중국의 배포일이 10월 초하루였기 때문이었다.

배포는 관리가 주변 사람이나 민간인에게 선물을 주는 형식으로 행해졌다. 조선시대에는 '하선동력'(夏扇冬曆)의 풍습이 존재했다. 이는 단오에 부채, 동짓날에 달력을 선물로 주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관리가 선물하는 방법만으로는 물량이 달렸기 때문에 이른바 '관상감 사건' 방법이 동원되기도 했다. 이는 관상감이 자비를 들여 역서를 추가로 인쇄, 유상판매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당시 조정은 종이값이 매우 비쌌기 때문에 이를 용인했다.

조선시대 역서 배포량은 전기와 후기에 있어 큰 차이가 났다. 사료 '서운관지'(書雲觀志)(1818)를 조사한 결과, 조선전기에는 연간 5천부 가량이 배포됐다.

그러나 후기인 1762년에 20만부, 1791년에는 30만부를 돌파했고, 1798년에는 38만부까지 배포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대략 22~25명당 1부, 그리고 호구수로는 5~6가구당 1부씩 배포된 셈이 되고 있다.

'庚辰年大統曆'이라는 조선전기의 유일한 역서로, 보물 1319호로 지정돼 있다.

이처럼 조선시대 역서는 의외로 보급량이 많은 편이었다. 이는 역서가 국가행사나 각 가정의 제사 외에 농사용으로도 매우 긴요했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조선시대 역서는 흔했던 만큼 가장 먼저, 그리고 가장 빨리 훼손돼 현존하는 역서는 그리 많지 않다.

때문에 임진왜란 이전에 제작된 역서는 경진년대통력 (庚辰年大統曆) 이 유일, 헌재 보물 제 1319호로 지정돼 있다. 경진년 대통력은 모두 1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장은 정월에서 12월까지 윤4월을 포함한 13개월의 24절기에 관한 내용과 연신방위지도, 제 2장∼제14장은 책력의 본체인 1월에서 12월까지의 월력이다.

달력에는 날짜별로 일상생활에서 그날그날 하기에 좋은 일과 해서는 좋지 않은 일을 기록해 놓았다. 마지막 제15장은 부록격으로, 간지별로 피해야 할 일들을 열거한 부분과 이 책력의 편찬·인쇄에 관여한 사람들의 이름이 적었다.

/ 조혁연 대기자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