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22.12.14 18:51:03
  • 최종수정2022.12.14 18:51:11
[충북일보] 외식업계가 3년 가까운 암흑의 터널에서 빠져나온 지 얼마 되지 않았다. 모처럼 외식소비 심리가 높아지며 호기를 만났다. 하지만 이번엔 '구인난'이라는 복병을 만났다. 외식업계는 코로나19 팬데믹 발생 후 2년 넘게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매출절벽을 겪었다. 사회적 거리두기 종료 후에는 팬데믹 후유증이 이어졌다. 최근에는 국제 육류·곡물가 급등, 글로벌 물류망 교란, 인플레이션 장기화 등이 이어지고 있다. 식품·외식업계의 경영환경은 더욱 어두워졌다. 구인난까지 겹쳐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대부분의 식당 등이 다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정작 일할 사람이 없어 장사를 접을 판이다. 업소마다 아르바이트 인원을 구해지지 못해 저녁 손님을 되돌려 보내는 횟수도 잦다. 시급을 1만1천원까지 올렸는데도 어렵기는 마찬가지다. 구인 모집공고도 별로 실효성이 없다. 코로나19 사태로 촉발된 노동시장 재편의 악영향으로 분석된다. 자영업자들은 한때 코로나19사태로 긴축 경영에 들어갔다. 이때부터 젊은이들 사이에선 요식업이 '일은 힘들고 벌이는 적은' 또 다른 3D 업종으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반면 비대면 경제가 활성화되면서 급격하게 성장한 배달시장이 아르바이트 인력을 빨아들였다. 외식업계의 어려움은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배달업계 인력이 외식업계로 다시 돌아오는 게 결코 쉽지 않아 보이기 때문이다. 배달시장은 코로나19 기간 큰돈을 벌 수 있던 업종이었다. 지금도 그 기세가 유지되고 있다. 반면 식당 등 외식업계는 대표적인 저임금 업종으로 전락했다. 배달업종은 업무시간이 비교적 자유롭다. 하지만 외식업종은 근무시간에 맞춰 지속적으로 일을 해야 한다. 여러 면에서 배달업은 젊은이들에게 맞는다. 인력 이동이 쉽지 않은 가장 큰 이유다. 의미심장한 논리다.

외식업계는 코로나 팬데믹 이후 반짝 호황을 누렸다. 사적모임 인원 제한과 영업시간 제한이 풀리면서 외식 손님들이 몰렸다. 그러나 코로나19로 인해 노동시장이 크게 변했다. 만성적인 노동인력 부족을 가중시켰다. 전문가들은 코로나19 상황에서 비대면에 익숙해진 일시적인 현상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정해진 시간에 장시간 근무하는 패턴에서 벗어나려는 경향은 뚜렷하다. 소득이 필요할 때만 임시로 일하는 일종의 '긱 이코노미(Gig Economy)'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비대면 근무에 익숙해지면서 워라밸 중시 풍조도 더욱 짙어졌다. 젊은 층에서는 외식업을 3D업종으로 꼽고 있다. 일은 고되고 벌이는 적다는 인식이 강하다. 업계에서는 외국인 노동자 말고는 대안이 없다는 주장이다. 그동안 외국인들이 외식업종 종업원 80% 이상을 차지했다. 그런 노동인력이 코로나19 여파로 사라진 게 현재의 구인난 원인으로 작용한 셈이다. 물론 임금인상이 구인난을 해소하는 궁극적인 해결책이긴 하다. 하지만 시급 1만5천원에도 아르바이트 인력을 구하지 못하고 있다. 더 이상의 임금인상은 인건비 부담이 너무 커 하기 어렵다는 게 외식업계의 생각이다. 자칫 전체 외식업 생태계까지 무너뜨릴 수 있어 조심스러워하고 있다.

외국인 근로자 입국 제한이 노동시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먼저 코로나19로 인해 외국인 계절근로자 입국이 제한됐다. 지난해 입국이 허가된 외국인 계절근로자는 48개 지자체 1천850명에 그쳤다. 하지만 내년부터는 상황이 달라진다. 상반기에 전국 지자체에 외국인 계절근로자 2만 명이 배정된다. 지난해보다 참여 외국인 계절근로자가 6배나 늘어난다. 인력난 해소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외국인 계절근로자 이탈률이 가장 높은 국가는 국내 모든 지자체와 업무협약 방식을 통한 계절 근로자 송출을 3년간 제한받게 된다. 이탈률이 높은 3개 국가의 6개 지자체도 1년간 근로자를 보낼 수 없다. 하지만 내년 상반기 배정된 외국인 인력은 대부분 농어촌 지원 인력이다. 외식업계엔 그저 그림의 떡일 뿐이다. 정부와 지자체는 현실론을 직시하고 후속 대안 마련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모처럼 호기를 맞은 자영업자들의 이중고를 해소해줘야 한다. 그게 정부와 충북도 등 지자체의 의무이자 책임이다.
배너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충북일보가 만난 사람들 - 김명철 제천교육장

[충북일보] 제천 공교육의 수장인 김명철 교육장이 취임 100일을 맞았다. 김 교육장은 인터뷰 내내 제천 의병을 시대정신과 현대사회 시민의식으로 재해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생 교육 활동을 전개하는 모습에서 온고지신에 바탕을 둔 그의 교육 철학에 주목하게 됐다. 특히 짧은 시간 임에도 시내 초·중·고 모든 학교는 물론 여러 교육기관을 방문하고 대화를 나누는 모습에서 활동하는 교육 현장 행정가로서의 투철함을 보였다. 김명철 제천교육장으로부터 교육 철학과 역점 교육 활동, 제천교육의 발전 과제에 관해 들어봤다. ◇취임 100일을 맞았다. 소감은. "20여 년을 중3, 고3 담임 교사로서 입시지도에 최선을 다했고 역사 교사로 수업과 더불어 지역사 연구에 남다른 관심과 애정을 쏟았다. 그 활동이 방송에 나기도 했고 지금도 신문에 역사 칼럼을 쓰고 있다. 정년 1년을 남기고 제천교육장으로 임명받아 영광스러운 마음과 함께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 지난 9월 처음 부임할 당시에 지역사회의 큰 우려와 걱정들이 있었으나 그런 만큼 더 열심히 학교 현장을 방문해서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결점을 찾기 위해 노력했다. 1년을 10년처럼 생각하고 열심히 노력하자는 마음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