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충주 25.4℃
  • 맑음서산 21.4℃
  • 맑음청주 25.4℃
  • 맑음대전 25.8℃
  • 맑음추풍령 26.0℃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맑음홍성(예) 23.7℃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고산 18.1℃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제천 23.9℃
  • 맑음보은 25.4℃
  • 맑음천안 24.9℃
  • 맑음보령 22.5℃
  • 맑음부여 24.9℃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7.10.31 16:53:36
  • 최종수정2017.10.31 16:53:36

편집자

밥의 사전적 정의는 쌀, 보리 등의 곡식을 씻어 솥 따위의 용기에 넣고 물을 알맞게 부어 낟알이 풀어지지 않고 물기가 잦아들게 끓여 익힌 음식이다. 밥은 우리나라 대다수 국민들이 무언가를 씹을 수 있을 때부터 먹기 시작해 더 이상 씹을 수 없게 될 때까지 평생을 먹는 음식이기도 하다.

맛을 느끼는 미각은 개인의 경험과 주관에 따라 달라지지만 갓 지은 '밥'에 대한 이미지는 크게 다르지 않다. 윤기가 자르르 흐르는 밥에 김이 모락모락 올라올 때 한술 크게 떠 입에 넣어본 사람이라면 밥만 먹어도 맛있다는 말에 수긍할 것이다. 많게는 하루 세끼씩, 일생을 먹으면서도 질리지 않고 밥을 먹을 수 있는 이유는 첨가할 수 있는 다양한 재료뿐 아니라 함께 먹는 음식에 따라 다른 맛을 내기 때문이 아닐까.

충청북도에서는 지난 2013년부터 최고 품질의 쌀을 이용해 정성스럽게 밥을 짓는 업소를 '밥맛 좋은 집'으로 선정하고 있다. 2017년 현재까지 도내 127개소의 밥맛 좋은 집이 선정된 상태다. 그들이 밥맛에 집중하는 이유는 무엇인지, 어떤 음식들과의 색다른 궁합을 만들어내는지 밥맛 좋은 집 대장정을 시작해본다.
밥맛 좋은 집 - 25. 진천 진천읍 '진천숯불고기'

진천참숯, 생거진천쌀, 진천농산물들로 가득 채워진 한상.

[충북일보] 이소라 대표는 '진천숯불고기'의 마님이다. 마님이라 하면 방 안에 앉아 아랫사람들을 부릴 것 같지만 그녀의 하루는 누구보다 고되다.

'마님이 힘들어하면 할수록 손님들은 맛있게 드실 수 있다'는 것이 이 대표의 신조이기 때문이다.

깔끔함이 몸에 배어있다는 그의 말을 뒷받침하듯 진천숯불고기의 주방은 번쩍거린다. 얼룩 없는 식기들을 보며 눈이 부신 듯 느껴지는 건 착시 현상이 아니라 실제로 다른 곳보다 조명을 밝혀뒀기 때문이다.

나이가 들면서 눈이 침침해 지는 것을 경계해서다. 티끌 하나라도 미처 못보고 손님들의 상에 올리지 않겠다는 의지다. 온 가족이 머리에 두른 두건은 머리카락 한 올까지 차단한다.

음식점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커다란 밥솥이나 돌솥밥 기계도 없다. 갓 지은 밥이 맛있어 갓 지은 밥만 낸다는 이 대표는 2인분부터 8인분까지 크기별 솥을 준비해뒀다. 바쁜 주방에서 불 조절을 해가며 밥맛을 낸다.

이소라 대표가 고전솥밥을 들어보이고 있다.

고전솥밥으로 시킬 경우 손님들이 밥을 덜어내면 누룽지는 따로 끓여다준다. 공깃밥의 경우도 숭늉을 대접한다. 계산대 위에 올려진 누룽지와 판매용 누룽지도 정성스레 지은 밥의 결과물이다.

숯불로 구운 고기 외에 예닐곱 가지 반찬이 함께 나가는데 주방에는 커다란 반찬통도 없다. 갓 무치거나 볶아서 내기위해 늘 적은 양만을 준비해둬서다.

가게 앞에 펼쳐진 밭도 눈에 띈다. 배추와 파, 고추 등을 비롯해 상추와 마늘 등 가게에서 사용하는 재료의 90% 이상은 직접 기른 것으로 사용한다. 가게를 시작하고 남편의 농사 실력이 월등히 좋아졌다며 추켜세웠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상추를 집어 드는 순간 일반 식당에서 만나온 예사 상추가 아님을 눈치 챈다고 한다. 직접 키운 상추는 결부터 다르단다.

김치를 매일 새롭게 담그는 것은 물론 쌈장까지 직접 만드는 이 대표다. 보리가 들어가 짜지 않고 담백한 쌈장 맛에 반해 숟가락으로 떠먹는 손님도 있다.

2017년 밥맛 좋은 집에 선정된 진천참숯고기 전경.

직접 키운 재료들로 건강하게 담아낸 반찬들은 여러 번 다시 채워지기 일쑤다. 반찬을 더 달라고 하기 미안해진 손님들이 '짜게 좀 만들어서 덜 먹게 해 달라'고 우스갯소리를 건넬 지경이다.

인건비를 줄이기 위한 노력도 재미있다. 진천숯불고기에서는 손님이 직접 테이블을 정리할 경우 7%의 할인 서비스가 제공된다. 남은 음식을 한 통에 모으고 접시를 정리해두면 비용을 깎아주는 식이다. 바쁜 시간 일손이 부족한 때 유용한 이 서비스는 알뜰한 주부 손님들에게 인기다.

참숯고기를 시작한건 진천의 특산품들을 활용하고자 했던 고민의 결과다. 백곡면에서 만드는 참숯만을 활용해 고기를 굽는다. 굽는 과정이 번거롭긴 하지만 숯불 향을 가득 머금은 고기를 먹고 난 뒤에도 손님들이 고기냄새를 품고 나가지 않는 비결이다.

먹는 사람의 건강 뿐 아니라 늘 숯불 앞에서 고기를 구워야 하는 남편의 건강까지 고려한 선택이었다. 눈썰미가 좋은 남편은 참숯구이의 달인이 된지 오래다.

쌀도 생거진천쌀을 이용해 진천의 맛을 고스란히 전한다. 인근 골프장을 찾는 외지 손님들에게 진천의 맛을 알리기 위함이었다.

진천숯불고기 맛을 보기위해 일부러 인근 골프장을 찾는다는 손님들까지 늘고있다는 것을 보면 진천의 맛과 마님의 정성이 효과적으로 전달되고 있는 듯하다.

/ 김희란기자 khrl1004@nate.com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이 기사 주변 소식 더 자세히 보기
현재위치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기술을 넘어 협력으로" 성장 네트워크 구축하는 충북이노비즈

[충북일보] "충북 이노비즈 기업들이 연결을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경쟁력을 확보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은 지역 내 탄탄한 경제 기반으로 핵심역할을 하고 있다. 30일 취임한 안준식(55) 신임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장은 회원사와 '함께 성장하는 기술혁신 플랫폼'으로서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 역할을 강화한다는 것에 방점을 찍었다. 안 신임 회장은 "취임 후 가장 먼저 해야할 부분은 이노비즈기업 협회와 회원사 위상 강화"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대외협력위원회(위원장 노근호 전 충북테크노파크 원장) △경영혁신위원회(위원장 이미연 ㈜유진테크놀로지 대표) △회원사 협력위원회(위원장 한연수 ㈜마루온 대표) △봉사위원회(위원장 함경태 ㈜미래이앤지 대표) △창립 20주년 추진위원회(위원장 신의수 ㈜제이비컴 대표)로 5개 위원회를 구성했다. 안준식 회장은 도내 회원사들이 가진 특징으로 빠른 적응력과 협력네트워크를 꼽았다. 그는 "충북 이노비즈 기업은 제조 기반 기술력과 신사업으로의 적응력이 뛰어나다. 첨단산업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이 다수 분포해 있고, 산업단지 중심 클러스터화도 잘 이뤄져 있어 협력 네트워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