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충주 25.4℃
  • 맑음서산 21.4℃
  • 맑음청주 25.4℃
  • 맑음대전 25.8℃
  • 맑음추풍령 26.0℃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맑음홍성(예) 23.7℃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고산 18.1℃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제천 23.9℃
  • 맑음보은 25.4℃
  • 맑음천안 24.9℃
  • 맑음보령 22.5℃
  • 맑음부여 24.9℃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5.01.08 15:21:59
  • 최종수정2015.01.08 15:20:03

조혁연 대기자

조선시대 충주지역에서는 공교롭게도 청주와 같은 8번의 읍호강등 사건이 일어났다. 발생 순서대로 살펴보면 △유석 사건(1539년·중종 19) △이홍윤 사건(1549년·명종 4) △유인발 모반사건(1613년·광해군 5) △안집중 모반사건(1628년·인조 6) △채문영 모반사건(1644년·인조 22) △유수원 모반사건(1755년·영조 3) △이인좌의 난 가담(1728년·영조 4) △채수영 모반사건(1765년·순조 1) 등이다.

충주의 첫번째 읍호강등은 1539년 6월에 일어났고, 그 이유는 유석(劉石)이라는 인물의 시역(弑逆) 미수사건 때문이었다. '시역'은 지금으로 말하면 존속살인으로 부모나 임금을 살해하는 것을 말한다.

조선 조정은 이를 강상윤리를 위반한 대표적인 사례로 간주해 매우 엄중하게 다스렸다. 『중종실록』은 사건전개 과정을 비교적 상세하게 기술했다.

클릭하면 확대이미지를 볼 수 있습니다.

조선후기 지도인 '지승'으로, 충주읍성을 비교적 세밀하게 그렸다.

'지난 경자년 원주(原州) 사람 유석(劉石)이 자기 아비를 살해하기 위해 매우 추운 겨울에 강가 바위 위로 아비를 꾀어 와서 물속으로 밀어넣고서, 혹 살아날까 우려하여 대나무 막대로 머리와 뺨 등을 마구 난타하여 막대도 부러졌고 출혈까지 하였습니다. 그리하여 완전히 침몰하여 다시 살아날 가망이 전혀 없어진 뒤에 버리고 갔습니다만….'-<중종실록 37년 9월 4일자>

인용문의 경자년은 2년 전인 1539년을 일컫고 있다. 다만 왜 유석이 떠돌이 거지이면서 시각장애자였던 친부를 살해하려 했는지는 기술돼 있지 않다. 그러나 그의 친부는 구사일생으로 목숨을 건젔다.

'다음날 아침 다른 사람의 구원을 받아 다시 소생했습니다. 유석은 이미 아비 살해의 죄악을 저지른 것이요, 그 아비가 살아난 것은 천재일우의 요행인 것입니다. 마땅히 극형에 처하여 시역자(弑逆者)를 베는 법을 바루었어야 했습니다.'-<〃>

그러나 그것에 관계없이 시역사건이 발생한 충주지역은 예성부(芮城府)로 읍호가 강등됐고, 유석은 때를 기다리지 않고 즉시 목을 베는 참부대시(斬不待時)에 처해졌다.

'권응창이 또 원주의 죄수 사노(私奴) 유석의 추안을【위의 죄수는 아버지를 살해하기 위해 물 속으로 밀어넣고 몽둥이로 머리를 때린 죄로 참부대시로 조율되었다.】아뢰니, 상이 이르기를(…) 초복(初覆)에서 결단하는 것이 마땅하다."'-<중종실록 35년 6월 22일자>

인용문의 '초복'은 조선시대 형법 용어로 사형에 해당하는 죄인에 대한 첫 번째 심리를 일컫는다. 조선시대에도 죄인의 심사에 신중을 기하기 위하여 세 차례 조사하는 삼복(三覆) 제도가 존재했고, 그 1차를 초복, 2차를 재복, 3차를 삼복이라고 불렀다.

그러나 이 사건은 시역이 일어난 곳은 충주지만, 유석은 사실상 원주 사람이었기 때문에 매우 복잡하게 전개됐다. 당시 사관도 충주의 읍호 강등은 부당한 것이라고 사견을 적었다.

'사신은 논한다. 유석의 아비는 장님으로 이리저리 떠돌며 구걸다니다가 유석을 낳았는데, 그 때가 마침 충주에 있을 적이었으니 그의 아비도 충주의 백성은 아니다. 유석이 원주에서 아내를 얻어 살았으니 그는 원주 사람임이 분명하다.'-<중종실록 35년 7월 7일자>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기술을 넘어 협력으로" 성장 네트워크 구축하는 충북이노비즈

[충북일보] "충북 이노비즈 기업들이 연결을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경쟁력을 확보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은 지역 내 탄탄한 경제 기반으로 핵심역할을 하고 있다. 30일 취임한 안준식(55) 신임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장은 회원사와 '함께 성장하는 기술혁신 플랫폼'으로서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 역할을 강화한다는 것에 방점을 찍었다. 안 신임 회장은 "취임 후 가장 먼저 해야할 부분은 이노비즈기업 협회와 회원사 위상 강화"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대외협력위원회(위원장 노근호 전 충북테크노파크 원장) △경영혁신위원회(위원장 이미연 ㈜유진테크놀로지 대표) △회원사 협력위원회(위원장 한연수 ㈜마루온 대표) △봉사위원회(위원장 함경태 ㈜미래이앤지 대표) △창립 20주년 추진위원회(위원장 신의수 ㈜제이비컴 대표)로 5개 위원회를 구성했다. 안준식 회장은 도내 회원사들이 가진 특징으로 빠른 적응력과 협력네트워크를 꼽았다. 그는 "충북 이노비즈 기업은 제조 기반 기술력과 신사업으로의 적응력이 뛰어나다. 첨단산업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이 다수 분포해 있고, 산업단지 중심 클러스터화도 잘 이뤄져 있어 협력 네트워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