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쇄미록·王+肖尾錄≫의 저자 오희문(吳希文·1539~1613)은 서울 태생이나 그의 일기에는 우리고장 황간의 지명이 자주 등장한다. 그의 외가가 황간이기 때문으로, 그는 성장기를 황간에서 보냈다. 오희문은 1591년(선조 24) 11월 황간의 외가를 방문하고, 또 장흥·성주 등에 있는 노비의 신공도 받을 겸 두 명의 종을 데리고 서울을 떠나 남행길에 올랐다. 그러나 중도에 임진왜란을 당해 집에 돌아오지 못하고 피난생활을 해야 했다.그 과정을 10년 가까이 기록한 일기가 《쇄미록》으로, 1601년에야 귀가할 수 있었다. 연구논문을 보면 그의 일기에는 총 24명의 노비 이름이 등장한다. 이들은 상전의 수족(手足)이 되어 농삿일, 누에치기, 물품교역, 편지와 안부전달, 상전의 나들이길 수행, 밥짓기, 땔감나무 마련 등 집 안팎의 온갖 궂은 일을 다 해야 했다. 이와 관련 오희문은 '막정'이라는 노비가 죽자 "살아서는 몸을 바치고 죽어서는 재산을 바치니 공이 있는 노비'라고《쇄미록》에 적었다. 이 문장은 조선시대 노비들도 재산을 모을 수 있었고, 노비가 죽으면 그 재산은 주인의 것이 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특히 사료에는 외거노비들 중에서 재산을 축적하는 경우가 더러
청주 중앙공원의 충청도병마절도사영문(忠淸道兵馬節度使營門·사진)이 수개월 동안의 보수작업을 마치고 시민들에게 다시 본모습을 드러냈다. 충청병영이 있던 지금의 중앙공원 일대에는 병영과 관련된 건물이 여러 동 존재했었다. 충청병마절도사의 처소인 청진당, 도서실격인 후당과 반시당, 병사의 집무소인 운주헌, 지휘소인 통군루 등이 있었으나 지금은 거의 없어지고 병마절도사영문 한 채만 남아 있다. 충청북도유형문화재 제 15호인 병마절도사영문은 지난 1988년까지 '청녕각'(淸寧閣)으로 잘못 알려져 왔다. 그러던 것을 이상주와 박상일 씨 등의 고증 노력으로 구 청원군청 내의 청주동헌이 '청녕각'으로 확인됐다. 그러나 이같은 오인은 한자의 사용 용례만 살폈다면 바로 확인될 수도 있었다. 한자 '閣'(각)은 규모를 꽤 갖춘 집이나 2층으로 이뤄진 집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대개 섬돌을 통해 대청으로 올라가는 구조이다. 이에 비해 한자 '樓'(누)는 2층 구조로, 오르는 계단이 사닥다리 모양을 하고 있다. 따라서 2층 건물인 충청병마절도사 영문이 '청녕각'으로 불렸던 것에는 당연히 의심이 뒤따랐어야 했다. 현재 충청병마절도사 영문은 중앙공원 정문의 바로 우측에 진입로와 평행한 방
유석(劉石)의 시역(弑逆) 미수사건 때문에 충주목이 예성부로 강등된 것(그림)은 처음부터 문제점이 많은 정책적 판결이었다. 유석이 강원도 원주 태생임에도 불구하고 그 피해는 결과적으로 충청도와 충주목이 입었다. 충주의 지식인이 가만있지 않았다. 유생 허초(許礎)라는 인물이 승정원 앞으로 상언(上言)을 했다. 상언은 관원으로서가 아니라 사인(私人)으로서 자기 주장을 올린다는 점에서 상소와 차이가 있다. 허초는 장문의 상언에서 충주목 강등의 불합리함을 조목조목 열거했다. '유석은 전일 비록 본주(충주목 지칭)에 살기는 하였으나 그의 아비와 마찬가지로 맹인으로서 구걸하러 다니고 일정한 거주지가 없었기 때문에 본주에 호적 대장이 없었고, 유석이 아비를 따라 구걸하러 다닌 기간은 어림잡아 4∼5년이었습니다.'- 허초는 또 절차상의 잘못도 지적했다. '유석은 후에 원주 서면(西面) 강천리(江川里)에 사는 양인(良人) 이금산(李今山)의 딸에게 장가들어 살다가 극악 무도한 죄를 저질러 원주 관아에 수금되어 처결되었으니 이는 곧 원주 사람입니다. 그런데 추안(推案)에 본주 태생이라고 했다는 이유만으로 읍호를 강등하고 말았습니다.'- 조선시대 율에 의하면 한번 읍호가 강등되면
조선시대 충주지역에서는 공교롭게도 청주와 같은 8번의 읍호강등 사건이 일어났다. 발생 순서대로 살펴보면 △유석 사건(1539년·중종 19) △이홍윤 사건(1549년·명종 4) △유인발 모반사건(1613년·광해군 5) △안집중 모반사건(1628년·인조 6) △채문영 모반사건(1644년·인조 22) △유수원 모반사건(1755년·영조 3) △이인좌의 난 가담(1728년·영조 4) △채수영 모반사건(1765년·순조 1) 등이다. 충주의 첫번째 읍호강등은 1539년 6월에 일어났고, 그 이유는 유석(劉石)이라는 인물의 시역(弑逆) 미수사건 때문이었다. '시역'은 지금으로 말하면 존속살인으로 부모나 임금을 살해하는 것을 말한다. 조선 조정은 이를 강상윤리를 위반한 대표적인 사례로 간주해 매우 엄중하게 다스렸다. 『중종실록』은 사건전개 과정을 비교적 상세하게 기술했다. '지난 경자년 원주(原州) 사람 유석(劉石)이 자기 아비를 살해하기 위해 매우 추운 겨울에 강가 바위 위로 아비를 꾀어 와서 물속으로 밀어넣고서, 혹 살아날까 우려하여 대나무 막대로 머리와 뺨 등을 마구 난타하여 막대도 부러졌고 출혈까지 하였습니다. 그리하여 완전히 침몰하여 다시 살아날 가망이 전혀 없어
흥선대원군 이하응(李昰應·1820~1898)은 고종의 친부이다. 그와 친척인 사이로 이하전(李夏銓·1842~1862)이라는 인물이 있다. 미리 말하면 이하응은 일부러 '바보짓'을 해서 세도정치의 격랑 속에서 살아남을 수 있었다. 반면 이하전은 '바보짓'을 하지 않아 안동김씨가 쳐놓은 거미줄에 걸리면서 제주도로 유배된 끝에 그곳에서 사약을 받았다. 그의 나이 채 피어나지도 못한 21살이었다. 1862년(철종 13)년 7월 당시 오위장(五衛將) 이재두(李載斗)가 "김순성(金順性)과 이긍선 등이 역모를 꾸미고 있다"고 고변을 했다. 오위장은 오위도총부 소속이면서 오위의 군사를 거느리던 으뜸 벼슬로, 정3품의 품계를 지녔었다. 김순성은 체포됐고 곧 국문이 시작됐다. 이와 관련, 『철종실록』은 '김순성이 고개를 숙이고 말이 없다'라고 서술했다. 그는 혐의가 잘 입증되지 않았는지 곧 풀려났다. '국청에서 아뢰기를, "죄인 이유호(李儒虎)를 대질시켰을 적에 정유성(鄭裕誠)의 분소(分疏)가 너무도 명백했으므로, 온갖 요악한 짓을 한 김순성도 머리를 숙이고 말이 없었습니다. 따라서 부당하게 죄에 걸린 정상이 다시 남아 있는 것이 없으니, 특별히 방송(放送)시키소서." 하니,
1809년의 유례없는 기근이 있었고, 1811년에는 홍경래의 난이 일어났다. 그 이후 국정 주도권은 외척간의 경쟁에서 승리한 김조순에게 돌아가면서 우리나라 역사상 가장 부패한 정치로 평가받는 세도정치가 시작됐다. 1826년(순조 26). 나라 안은 여전히 시끄러웠고 덩달아 청주는 어수선했다. 그해 4월 김치규(金致奎)라는 인물이 청주읍성 북문에 시국을 비판하는 내용을 적은 괘서를 과감히 실명으로 투척했다. 그런 어수선함이 가시기도 전에 그해 10월 비슷한 성격의 괘서투척 사건이 청주읍성에서 또 일어났다. 범인을 잡고 보니 요언은 정상채(鄭尙采)라는 인물이 처음 만들어 냈고, 이를 괘서에 적어 투척한 인물은 아전출신 박형서였다. 따라서 훗날 이 사건은 '박형서 역모사건'으로 명명됐다. 조선시대 아전은 달리 향리로도 불렸던 중인계층으로 관청의 일을 보는 등 식자층에 속했으나 경제적으로는 늘 쪼들렸다. 사회나 국가에 대해 제도적으로 원한이 깊지 않을 수 없었다. 대부분의 괘서가 그렇듯이 박형서 것도 미래에 대한 허왕된 내용인 도참적인 내용을 담고 있었다. '①홍경래는 죽지 않았다느니, 서적(西賊)은 진승(陳勝)·오광(吳廣)의 부류에 지나지 않는다느니, ②병화가
충북일보 클린마운틴 아카데미 회원들은 지난 27일 겨울산행의 매력에 흠뻑 취했다.쌓인 눈을 밟으며 76차 산행을 떠난 곳은 충북 보은군과 괴산군, 경북 상주시가 맞닿아 있는 속리산이었다.한국 팔경(八景) 중 하나에 속하는 속리산은 눈으로 뒤덮여 우리에게 설경을 선물했다.20여명의 회원들은 겨울산행의 필수 준비물인 아이젠을 부착하고, 문장대 1코스인 경북 상주시에 위치한 화북탐방지원센터를 시작으로 2시간만에 문장대에 도착했다.산행하는 내내 쌓인 눈을 밟으며 주변 설경을 감상하는 회원들의 입에선 연신 감탄사가 터져 나왔다. 3번 오르면 극락에 갈 수 있다는 속설이 전해지는 문장대에 오르니 설산과 운무가 한 폭의 그림을 연상케 했다.회원들은 정상에서 각자 챙겨온 점심을 나눠 먹으며 배를 채운 뒤 하산을 시작했다.하산은 속리산에서 가장 먼저 개척됐다는 문장대코스.세심정을 지나 법주사로 가는 코스다.생각보다 단조롭고 길어 자칫 지루할 수도 있었지만 설경이 주는 즐거움에 회원들은 지루할 틈 없이 하산을 했다.함우석 충북일보 클린마운틴 아카데미 교장이 회원들의 안전을 든든히 책임져 회원들은 안심하고 겨울산의 백미를 만끽했다.함 교장은 "8년 전 클린마운틴의 첫 산행 장소
1804년(순조 4) 청주목이 다시 서원현으로 강등되고 충청도는 광역행정 지역은 공충도바뀌있다. 청주목에 거주하는 한해옥(韓海玉)이라는 사람이 대역죄에 해당하는 흉언(凶言)을 지어냈기 때문이었다. '이조에서 청주목을 서원현으로 강등시키고 충청도를 공충도로 바꿀 것을 아뢰었으니, 죄인 한해옥이 거주한 곳이었기 때문이었다.'- 조선시대 청주에서 일어났던 여러 역모사건과 달리 한해옥 건은 그 전모가 뚜렷하게 드러나지 않는다. 다만 '16자로 이뤄진 흉언'이라는 것만 『순조실록』을 통해 확인된다. "본래 효경의 뱃속에 항상 귀역의 마음을 품고 있던 차에 이번 여름 역적 권유·정재민 무리들의 국옥(鞫獄)이 있고 난 연후에 몰래 원망하는 마음을 쌓아오다가 감히 제멋대로 후매하는 계획을 짜서 소회를 읊은 16자의 흉언을 지어냈으니, 견준 것은 망측하였고 그 뜻은 음흉·사특하였습니다.'- 인용문 중 '효경'의 '효'는 어미를 잡아 먹는 올빼미, '경'은 아비를 잡아 먹는 파경이라는 짐승을 말한다. 즉 은혜를 저버리는 사람을 비유하는 말로 사용됐다. '귀역'은 귀신과 수상곤충의 일종인 물여우를 일컫는 표현으로 음흉한 사람을 일컫고 있다. 정리하면 △권유 무리의 사건이후 그
1777년(정조 1) 청주목이 다시 서원현으로, 그리고 충청도는 공충도로 행정지명이 바뀌었다.(사진) 홍상범(洪相範·?-1777)이 역모를 도모했고, 그 어머니인 효임(孝任)의 태생지가 청주때문이었다. 홍상범의 역모사건은 그 아버지인 홍술해(洪述海·1722-1777)의 유배가 발단이 됐다. 그는 황해도관찰사 재직중 부정한 돈 4만냥, 세곡 2천5백석, 소나무 2백60 그루를 사취한 사실이 드러나 흑산도에 위리안치됐다. 이 유배형은 죄인이 달아나지 못하도록 가시(주로 탱자나무)로 울타리를 만들고 그 안에 가두어 두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그의 아들 상범이 아버지의 치죄에 불만을 품고 거주지인 전주에서 상경, 홍인한·정후겸 등 벽파(僻派)와 제휴, 정조를 시해하고 은전군 '찬'을 추대하려는 역모를 꾀하였다. 아버지를 유배지에서 나오게 하기 위해 직접 정조를 살해하기로 마음먹은 것이다. 벽파는 정조의 탕평책을 반대한 당시의 정치집단으로 세도세자의 죽음을 당연한 것으로 여겼다. 그러나 홍상범의 역모 기도는 사전에 발각되어 그 뿐만 아니라 아우 필해·지해·찬해 및 조카 상간 등도 함께 주살당하였다. 주살은 죄를 물어 사형시켰다는 뜻으로, 그 방법은 다양했다. 홍술해의
조선시대 청주는 역모사건이 일어나면 '청주목'에서 '서원현'으로 읍호 강등을 당했다. 청주목에서 가장 먼저 일어난 역모는 숙종6년(1689)의 박상한(朴相漢) 기우제 제문 사건이다. 17세기는 조선뿐만 아니라 전지구가 기상이변을 겪었다. 기상학자들이 '소빙기'라고 말할 정도로 1만년이래 지구의 기온이 가장 낮았다. 청주지역도 예외가 아니어서 소빙기에 따른 가뭄이 찾아왔고 따라서 청주목은 자연재해를 주술적으로 극복하기 위해 기우제를 지내게 됐다. 이때 제문을 작성한 사람이 유생 박상한이다. '하늘이 가물게 하는 가뭄은 오히려 기도해 물리칠 수 있으나, 나라에서 가물게 하는 가뭄은 누구로부터 이것을 풀 것인가. 오로지 이러한 가뭄은 가물게 한 것이 사람으로 말미암았고, 사람이 스스로 가물게 한 것이니, 기도해 물리칠 바가 없다.'- 인용문 중 '나라에서 가물게 하는 가뭄은 누구로부터 이것을 풀 것인가'라는 부분이 특히 문제가 됐다. '나라에서 가물게 하는가뭄', 이 대목이 당시 임금 숙종이 정치를 잘못한다고 비유적으로 지칭한 것으로 해석됐다. 다음 문장도 문제가 됐다. '사람이 생각에 없어서 스스로 하늘을 단절하였고, 나라에서는 정사(政事)가 없어서 이미 백성
목은 이색(李穡·1328~ 1396)의 영정은 전국적으로 최소 7곳 존재하고 있다. 우리고장 청주시 주성동의 목은영당을 비롯해 강원도 횡성군 공근면, 충남 서천시(그림), 예산군 삽교읍, 부여군 홍산면, 서울 종로구 수송동, 경기도 연천군 왕징면 등에 위패와 함께 영정이 모셔져 있다. 이처럼 이색이 추앙받는 인물이 된 것은 빼어난 문장실력과 함께 성리학적인 요소도 작용했다. 그는 우왕의 사부이자 권근(權近·1352~1409)의 스승이기도 하다. 이색은 이런 환경을 통해 조선 성리학이 이념·통치적으로 본궤도에 오르는데 주춧돌 역할을 했다. 이색은 충남 한산 출신이고 주로 수도 개성에서 생활했으며 경기도 여주의 여강에서 졸했다. 그는 고려말 청주옥에 잠깐 갖혔던 것을 제외하고는 청주에 장기체류한 적이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색은 우리고장 청주를 소재로 빼어난 시를 여러 수 남겼다. 다음은 '돌아가기를 생각하다'라는 시다. 청주에 놀러 왔다가 개성으로 돌아가기를 생각한다는 의미다. '유포에 가을 기운 깊고 비가 잠깐 개니(柳浦秋深雨乍晴) / 수촌과 산중 별장 경치가 더욱 깨끗하네(水村山墅景彌淸) / 천심은 다 드러나서 나락 풍년이 들었고(天心盡露嘉禾熟) / 시
고려 관리들의 최고 바람은 은퇴 후 별장의 일종인 '별서'(別墅) 생활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지금의 전원생활를 동경하는 것과 비슷한 일면이 있어, 시대를 뛰어넘어 적지 않은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다. 목원대학교 역사교육과 이정호 교수에 따르면 이규보, 이색 등 고려 문인들이 남긴 각종 문집에는 별서생활에 대한 동경심이 유난히 많이 등장한다. 이규보(李奎報·1168~1241)는 아버지에게서 물려받은 별서는 '4가지를 갖췄다'는 뜻에서 '사가재'(四可齋)로 개명했다. '사가'는 밭, 뽕나무, 샘, 땔나무를 갖췄다는 뜻으로, 그 자체가 별서생활을 상징하고 있다. 그의 문집 『동국이상국전집』에 관련 내용이 전해진다. '밭이 있으니 갈아서 식량을 마련하기에 가하고, 뽕나무가 있으니 누에를 쳐서 옷을 마련하기에 가하고, 샘이 있으니 물을 마시기에 가하고, 나무가 있으니 땔감을 만들기에 가하다.'- 이규보는 이어지는 내용을 '내가 이 집에 거하면서 만일 전원의 즐거움을 얻게 되면 세상일을 팽개치고 옷을 떨쳐 입고서는 옛동산으로 돌아가 늙으면서 태평성세의 농사짓는 늙은이가 되리라'(〃)라고 적었다. 고려 말기의 문신학자로는 목은 이색(李穡·1328~1396)이 있고
[충북일보] 청주국제공항에 조류 대응을 위한 드론이 투입된다. 이와함께 향후 사망자 발생 사고를 일으킨 항공사에는 1년간 운수권(항공기 운항권)을 배분하지 않는다. 국토교통부는 30일 공항시설, 항공사 정비·운항 체계, 항공 안전 감독 강화 등 항공 안전 전반에 대한 개선 대책인 '항공안전 혁신 방안'을 발표했다. 국토부는 공항 안전성 증대를 위해 충돌 시 큰 피해로 이어지는 둔덕 형태 방위각 시설(로컬라이저)을 제거하고, 경량 철골구조로 전면 교체한다. 종단안전구역 권고기준(240m)에 미달되는 김해, 무안, 원주, 여수, 울산, 포항경주, 사천 등 7개 공항 시설은 부지확장 또는 활주로 시단 조정을 통해 종단안전구역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연장이 불가한 경우 EMAS도입을 통해 활주로 안전을 확보한다. 조류 충돌 재발 방지에도 나선다. 무안공항에 조류탐지레이더를 시범설치해 레이더 운용 경험과 데이터를 축적하고, 인전·김포·제주 등 민간 공항은 이번 달 부터 순차적으로 설계 등을 거쳐 2026년 도입을 추진한다. 청주공항을 비롯한 민·군 겸용공항은 군 등 관계기관과 기술적 고려사항, 추진일정 등 협의를 거쳐 하반기
[충북일보]경기침체와 고물가 영향으로 설 선물의 양극화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다. 충북도내 유통업계에 따르면 백화점의 경우 물가 상승 영향으로 10만 원 미만 선물 물량은 지난해 설 보다 5%가량 줄어든 반면, 대형마트들은 5만 원 미만 선물 비중이 확대되고 있다.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을 보이는 백화점 선물세트는 물가 상승 영향으로 구성 상품들의 시세가 전반적으로 오른 영향이 크다. 설 성수품인 배 가격은 최근 강세를 보이고 있다. 6일 청주지역 기준 배(신고) 평균 소매 가격은 10개에 4만2천900원 이다. 지난해 보다 27.37% 비싸다. 지난해 배 생산량 감소와 저장단계에서 고온 피해로 인해 유통 가능 물량이 줄어들면서 가격 상승에 여파를 미쳤다. 이에 기존 사과·배에 더해 샤인머스캣이나 애플망고를 섞은 혼합세트가 증가했다. 명절 주요 선물 상품인 한우의 경우 포장 중량을 줄여 가격 부담을 낮추는 전략을 마련하고 있다. 대형마트는 '가성비'로 소비자들의 마음을 잡고 있다. 지난해 설 보다 '5만 원 미만' 상품의 비중을 확대하거나, 커피·차 세트, 김·양말 등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선물 세트가 인기를 끈다. '1
[충북일보] 오는 6월 3일 치러지는 21대 대통령 선거가 한 달여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충북 지역 정치권의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다. 각 정당은 '대선 모드'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이재명 전 대표가 후보로 확정되면서 선거대책위원회 구성에 본격 착수했다. 국민의힘은 대선 후보가 결정되지 않았지만 본선 조직을 구성하는 등 전열 정비에 힘을 쏟고 있다. 29일 지역 정치권에 따르면 민주당 충북도당은 다음 달 초 선대위 구성을 마무리할 예정이다. 충북선대위는 도당을 중심으로 전·현직 단체장과 국회의원까지 폭넓게 아우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광희(청주 서원) 충북도당위원장과 도내 현역 국회의원 등이 공동으로 선대위원장을 맡아 조직을 이끌 것으로 보인다. 현역 중 이연희(청주 흥덕) 국회의원은 이재명 대선 후보 캠프 총괄본부에서 중책을 맡아 활동할 것으로 알려졌다. 충북도당은 5월 황금연휴가 지난 뒤 선대위 첫 회의를 발대식을 겸해 열기로 했다. 공직선거법에 선거일 전 30일부터 선거일까지 당원 집회 등을 열 수 없다고 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역별 선대위 구성도 본격화하고 있다. 다음 달 12일부터 공식 선거운동이 시작되는 만큼 인선
[충북일보] "충북 이노비즈 기업들이 연결을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경쟁력을 확보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은 지역 내 탄탄한 경제 기반으로 핵심역할을 하고 있다. 30일 취임한 안준식(55) 신임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장은 회원사와 '함께 성장하는 기술혁신 플랫폼'으로서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 역할을 강화한다는 것에 방점을 찍었다. 안 신임 회장은 "취임 후 가장 먼저 해야할 부분은 이노비즈기업 협회와 회원사 위상 강화"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대외협력위원회(위원장 노근호 전 충북테크노파크 원장) △경영혁신위원회(위원장 이미연 ㈜유진테크놀로지 대표) △회원사 협력위원회(위원장 한연수 ㈜마루온 대표) △봉사위원회(위원장 함경태 ㈜미래이앤지 대표) △창립 20주년 추진위원회(위원장 신의수 ㈜제이비컴 대표)로 5개 위원회를 구성했다. 안준식 회장은 도내 회원사들이 가진 특징으로 빠른 적응력과 협력네트워크를 꼽았다. 그는 "충북 이노비즈 기업은 제조 기반 기술력과 신사업으로의 적응력이 뛰어나다. 첨단산업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이 다수 분포해 있고, 산업단지 중심 클러스터화도 잘 이뤄져 있어 협력 네트워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