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충주 25.4℃
  • 맑음서산 21.4℃
  • 맑음청주 25.4℃
  • 맑음대전 25.8℃
  • 맑음추풍령 26.0℃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맑음홍성(예) 23.7℃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고산 18.1℃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제천 23.9℃
  • 맑음보은 25.4℃
  • 맑음천안 24.9℃
  • 맑음보령 22.5℃
  • 맑음부여 24.9℃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곡식 3천석을 조건없이 기부하다, 진천노비 임복

  • 웹출고시간2015.01.20 16:44:33
  • 최종수정2015.01.20 16:44:32

조혁연 대기자

≪쇄미록·王+肖尾錄≫의 저자 오희문(吳希文·1539~1613)은 서울 태생이나 그의 일기에는 우리고장 황간의 지명이 자주 등장한다. 그의 외가가 황간이기 때문으로, 그는 성장기를 황간에서 보냈다.

오희문은 1591년(선조 24) 11월 황간의 외가를 방문하고, 또 장흥·성주 등에 있는 노비의 신공도 받을 겸 두 명의 종을 데리고 서울을 떠나 남행길에 올랐다. 그러나 중도에 임진왜란을 당해 집에 돌아오지 못하고 피난생활을 해야 했다.

그 과정을 10년 가까이 기록한 일기가 《쇄미록》으로, 1601년에야 귀가할 수 있었다. 연구논문을 보면 그의 일기에는 총 24명의 노비 이름이 등장한다.

이들은 상전의 수족(手足)이 되어 농삿일, 누에치기, 물품교역, 편지와 안부전달, 상전의 나들이길 수행, 밥짓기, 땔감나무 마련 등 집 안팎의 온갖 궂은 일을 다 해야 했다.

《성종실록》 16년 7월 24일자

이와 관련 오희문은 '막정'이라는 노비가 죽자 "살아서는 몸을 바치고 죽어서는 재산을 바치니 공이 있는 노비'라고《쇄미록》에 적었다. 이 문장은 조선시대 노비들도 재산을 모을 수 있었고, 노비가 죽으면 그 재산은 주인의 것이 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특히 사료에는 외거노비들 중에서 재산을 축적하는 경우가 더러 발견되고 있다. 솔거노비가 주인집에서 신체를 속박당하며 노동을 하는 노비라면, 외거노비는 주가(主家)와 따로 떨어져 사는 종들을 일컫고 있다.

조선 성종대에 전국적으로 극심한 한발이 찾아왔다. 그러자 우리고장 진천에 거주하는 임복(林福)이라는 사노(私奴)가 무려 2천석의 곡식을 백성들 진휼용으로 써달라며 조건없는 기부의사를 나타냈다. 정황상 임복은 사노비이면서 외거노비로 추정된다.

'전교하기를, "진천(鎭川)에 사는 사노 임복(林福)이 이제 백성을 진휼하기 위하여 곡식 2천 석을 바쳤으니, 그 마음이 가상하다. 이제 기근을 당하여 지식이 있는 사람도 바치려 들지 않는데, 천한 종의 몸으로 이를 하였으니, 면천(免賤)하는 것으로 상을 줌이 어떠하겠는가" 하니….'-<성종실록 16년 7월 24일자·그림>

오늘날 청와대 대통령 비서실에 해당하는 승정원이 임복을 불러서 원하는 바를 물으니 "네 아들을 면천하여 양민이 되게 해주소서"라고 말했다. 한명회, 이극배 등은 다음과 같은 말로 환영했다.

"임복이 곡식 2천 석을 바쳤으니, 1백 사람의 생명을 구하기에 족합니다. 자원에 따라 그 아들을 양민(良民)으로 만들어 주고, 그 인원에 상당한 노비를 그 주인에게 보충하여 주소서."

그러나 심회(沈澮)·홍응(洪應) 등 상당수 대신들의 의견은 달랐다. "만약 곡식을 바쳐 종량(從良)하는 길을 열어 준다면 주인을 배반하는 자가 벌떼처럼 일어날 것이니, 진실로 작은 문제가 아닙니다."-<〃>

험담은 여기서 끝나지 않고 당시 대사헌 이경동 (李瓊仝)도 반대에 가세했다. 그러나 성종은 임복의 선의를 매우 높게 평가하며 철회의 뜻이 없음을 밝혔고, 따라서 조정의 분위기를 더욱 경직됐다. 그러자 임복은 1천석을 더 기부하겠다는 의사를 밝히면서 그의 네 아들도 종살이를 면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흉년에 자기의 재물을 아끼지 아니하고 1천 석을 더 바치니, 그 정상이 가상하다. 그 4인을 아울러 종량하라."-<성종실록 16년 8월 17일자>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기술을 넘어 협력으로" 성장 네트워크 구축하는 충북이노비즈

[충북일보] "충북 이노비즈 기업들이 연결을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경쟁력을 확보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은 지역 내 탄탄한 경제 기반으로 핵심역할을 하고 있다. 30일 취임한 안준식(55) 신임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장은 회원사와 '함께 성장하는 기술혁신 플랫폼'으로서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 역할을 강화한다는 것에 방점을 찍었다. 안 신임 회장은 "취임 후 가장 먼저 해야할 부분은 이노비즈기업 협회와 회원사 위상 강화"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대외협력위원회(위원장 노근호 전 충북테크노파크 원장) △경영혁신위원회(위원장 이미연 ㈜유진테크놀로지 대표) △회원사 협력위원회(위원장 한연수 ㈜마루온 대표) △봉사위원회(위원장 함경태 ㈜미래이앤지 대표) △창립 20주년 추진위원회(위원장 신의수 ㈜제이비컴 대표)로 5개 위원회를 구성했다. 안준식 회장은 도내 회원사들이 가진 특징으로 빠른 적응력과 협력네트워크를 꼽았다. 그는 "충북 이노비즈 기업은 제조 기반 기술력과 신사업으로의 적응력이 뛰어나다. 첨단산업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이 다수 분포해 있고, 산업단지 중심 클러스터화도 잘 이뤄져 있어 협력 네트워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