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충주 25.4℃
  • 맑음서산 21.4℃
  • 맑음청주 25.4℃
  • 맑음대전 25.8℃
  • 맑음추풍령 26.0℃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맑음홍성(예) 23.7℃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고산 18.1℃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제천 23.9℃
  • 맑음보은 25.4℃
  • 맑음천안 24.9℃
  • 맑음보령 22.5℃
  • 맑음부여 24.9℃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왜 청주를 소재로 시를 많이 남겼을까, 목은 이색

  • 웹출고시간2014.12.16 15:51:08
  • 최종수정2014.12.16 15:47:44

조혁연 대기자

목은 이색(李穡·1328~ 1396)의 영정은 전국적으로 최소 7곳 존재하고 있다. 우리고장 청주시 주성동의 목은영당을 비롯해 강원도 횡성군 공근면, 충남 서천시(그림), 예산군 삽교읍, 부여군 홍산면, 서울 종로구 수송동, 경기도 연천군 왕징면 등에 위패와 함께 영정이 모셔져 있다.

이처럼 이색이 추앙받는 인물이 된 것은 빼어난 문장실력과 함께 성리학적인 요소도 작용했다. 그는 우왕의 사부이자 권근(權近·1352~1409)의 스승이기도 하다. 이색은 이런 환경을 통해 조선 성리학이 이념·통치적으로 본궤도에 오르는데 주춧돌 역할을 했다.

이색은 충남 한산 출신이고 주로 수도 개성에서 생활했으며 경기도 여주의 여강에서 졸했다. 그는 고려말 청주옥에 잠깐 갖혔던 것을 제외하고는 청주에 장기체류한 적이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색은 우리고장 청주를 소재로 빼어난 시를 여러 수 남겼다. 다음은 '돌아가기를 생각하다'라는 시다. 청주에 놀러 왔다가 개성으로 돌아가기를 생각한다는 의미다.

충남 서천시의 목은영정. 보물 제 1215호.

'유포에 가을 기운 깊고 비가 잠깐 개니(柳浦秋深雨乍晴) / 수촌과 산중 별장 경치가 더욱 깨끗하네(水村山墅景彌淸) / 천심은 다 드러나서 나락 풍년이 들었고(天心盡露嘉禾熟) / 시 짓는 눈은 말끔하여 산 그림 이루어라(詩眼無塵活·成) / 언덕 너머 끊긴 연기는 풀 위에 멀리 떴고(隔岸斷煙浮草遠) / 구름 새나온 석양빛은 강을 밝게 비추네(漏雲殘日照江明) /…/'.-<목은시고 제 25권>

내용 중의 '석양빛 비추는 강'은 미호천 아니면 무심천으로 봐야 한다. 이 시와 다음 시를 읽으면 왜 이색이 청주를 소재로 한 시를 많이 남겼는가에 대한 힌트를 얻을 수 있다.

'태평의 참다운 기상을(太平眞氣像) / 상당군이 새롭게 써놓았네그려(上黨寫來新) / 벼는 쌓여서 사람이 막 한가롭고(稻積人初歇) / 문은 없는데 개도 짖지를 않누나(門無犬亦馴) / 벽의 흙은 속까진 아직 안 말랐고(壁泥乾未透) / 뜨락의 풀은 무성하게 어우러졌네(庭草茂相因) / 유포가 바로 이 어느 곳이뇨(柳浦是何處) / 연파 속엔 두건을 응당 벗어야지(煙波應岸巾).'-<목은시고 제 20권>

두 시에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시어는'유포'(柳浦)이다. 그리고 '별장', '상당군' 등의 시어들도 또 다른 힌트가 되고 있다. 이를 조합하면 정답을 도출할 수 있다. 버드나무 나룻터 정도로 해석되는 '유포'는 별서(別墅·별장의 일종)를 의미하고, 그 이름은 '유포별서'이다. 그리고 인물을 의미하는 '상당군'은 청주출신 한수(韓脩·1333∼1384)를 일컫고 있다.

둘은 요즘말로 하면 '절친'으로 하루라도 보지 못하면 그리움이 돋아날 정도였다. 때문에 "청주로 빨리 놀러와라", "지금은 바빠서 못간다" 식의 편지를 시 형식으로 자주 주고 받는다. 이색이 우리고장 청주를 자주 찾아온 이유는 여기에 있었다. 말년의 그가 청주를 회상하면 이런 시를 지었다. 역시 청주를 지칭하는 '서원'이라는 표현이 들어가 있다.

'올가을엔 내 여강을 거슬러 오르려노니( 來秋我欲·驪江) / 일엽편주 안에는 달이 봉창을 비출 텐데( 一葉舟中月照窓) / 서원의 누각 위에서 마시던 일 회상하면(回首西原樓上飮) / 바람 앞의 옥수가 절로 무쌍히 여겨지리(臨風玉樹自無雙).'-<목은시고 제 22권>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기술을 넘어 협력으로" 성장 네트워크 구축하는 충북이노비즈

[충북일보] "충북 이노비즈 기업들이 연결을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경쟁력을 확보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은 지역 내 탄탄한 경제 기반으로 핵심역할을 하고 있다. 30일 취임한 안준식(55) 신임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장은 회원사와 '함께 성장하는 기술혁신 플랫폼'으로서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 역할을 강화한다는 것에 방점을 찍었다. 안 신임 회장은 "취임 후 가장 먼저 해야할 부분은 이노비즈기업 협회와 회원사 위상 강화"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대외협력위원회(위원장 노근호 전 충북테크노파크 원장) △경영혁신위원회(위원장 이미연 ㈜유진테크놀로지 대표) △회원사 협력위원회(위원장 한연수 ㈜마루온 대표) △봉사위원회(위원장 함경태 ㈜미래이앤지 대표) △창립 20주년 추진위원회(위원장 신의수 ㈜제이비컴 대표)로 5개 위원회를 구성했다. 안준식 회장은 도내 회원사들이 가진 특징으로 빠른 적응력과 협력네트워크를 꼽았다. 그는 "충북 이노비즈 기업은 제조 기반 기술력과 신사업으로의 적응력이 뛰어나다. 첨단산업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이 다수 분포해 있고, 산업단지 중심 클러스터화도 잘 이뤄져 있어 협력 네트워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