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충주 17.0℃
  • 맑음서산 18.6℃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추풍령 19.0℃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고산 18.8℃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제천 17.2℃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8.7℃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23.11.23 20:41:02
  • 최종수정2023.11.23 20:41:02
[충북일보] 충북의 로컬푸드(Local Food)에 희망이 보이고 있다. 짧은 기간에 성장일로다. 공급이 수요를 확대하고 있다. 신선한 농산물 공급이 안전한 먹거리를 찾는 수요를 만족시키고 있다. 최근 고물가와 작황부진에도 충북의 로컬푸드 판매량은 증가하고 있다. 상대적으로 싼 가격과 높은 신선도 덕이다. 올 들어 지난 9월까지 충북 36개 로컬푸드 직매장의 판매량은 188억 원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2% 늘었다. 지난해 도내 로컬푸드 직매장의 판매량은 224억 원이다. 4년 사이 2.3배 규모로 성장했다. 참여농가도 같은 기간 2.7배로 늘어난 2천400여개소다. 청주시의 경우 올해 로컬푸드 직매장을 4곳이나 늘렸다. 가경점과 산남점, 신봉점, 오송의료단지점을 개장했다. 그 덕에 직매장이 기존 7곳에서 11곳으로 늘었다. 청주시는 내년 2월 내수농협 내수점에 직매장을 추가 개장할 계획이다.

로컬푸드 직매장은 점점 늘어나는 추세다. 청주뿐만이 아니다. 생산자와 소비자가 함께 하고 있다. 지속가능한 지역사회를 만들어 가고 있다. 그 사이 지역균형발전에도 한 몫 할 수 있는 힘을 갖게 됐다. 지역에서 생산된 먹거리를 지역에서 소비하는 새로운 유통문화를 만들고 있다. 장점도 많다. 우선 장거리 이동과 다단계 유통과정을 거치지 않아 가격이 싸다. 통상 반경 50㎞ 이내에서 생산된 농산물은 해당 지역에서 소비돼 신선도가 높다. 로컬푸드의 장점은 적정한 가격과 판매자 인증제라고 할 수 있다. 판매자가 직접 로컬푸드에 제품을 등록해 유통단계를 줄이게 된다. 상품 정보란에는 판매자의 사진과 이름, 생산지 주소 등을 적는다. 신뢰 확보를 위한 조치다. 도내 곳곳에도 많지는 않지만 로컬푸드 직매장이 있다. 물론 점점 늘어나는 추세다. 무엇보다 로컬푸드 직매장에 가면 해당지역에 생산한 농산물을 구입할 수 있다. 지역농가에서 직접 기른 싱싱하고 안전한 농산물을 만날 수 있다. 약식동원(藥食同源)이란 말도 있다. 약과 음식은 근원이 같다고 한다. 바른 먹거리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건강한 체질을 갖게 하는 가장 큰 요인임이다. 그런 점에서도 로컬푸드는 더 권장·발전돼야 한다.

먹거리 종합전략으로서 로컬푸드 플랜 수립이 중요하다. 싱싱한 먹거리는 인간의 생명유지를 위해 필수적이다. 그러나 땅이 썩고 공기와 물이 병들면 사람도 병들게 된다. 궁극적으로 큰 재앙을 부르게 된다. 로컬푸드 운동은 결국 먹을 것을 가지고 장난을 치지 말자는 운동이다. 모든 게 풍족한 시대다. 하지만 바른 먹거리는 풍족하지 않다. 생태계의 순환과 친환경 질서에 맞춰 생산된 먹거리가 그리 많지 않다. 로컬푸드가 강조되는 이유는 바로 여기 있다. 로컬푸드의 공급과 성장을 위한 정부와 지자체의 적극적인 뒷받침이 필요한 이유도 마찬가지다. 로컬푸드는 위기에 내몰리고 있는 농업을 회생시킬 수 있는 마지막 보루이기도 하다. 사람이 살면서 누리는 최고의 행복 중 하나가 배부른 행복이다. 먹거리 건강은 먼 곳이 아닌 가까운 곳에 있다. 로컬푸드가 해답이다. 게다가 로컬푸드는 현실 상황에도 부합한다. 소농이나 고령농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고령화 시대에도 맞다. 생산에서 출하까지 안전성과 품질관리를 담보할 조직화가 필요하다. 결국 로컬푸드의 성공 여부는 수요와 판로에 달렸다. 충북도와 도내 시·군, 농협 등이 지역별 식문화에 더 특별한 관심을 갖길 바란다.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