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충주 25.4℃
  • 맑음서산 21.4℃
  • 맑음청주 25.4℃
  • 맑음대전 25.8℃
  • 맑음추풍령 26.0℃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맑음홍성(예) 23.7℃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고산 18.1℃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제천 23.9℃
  • 맑음보은 25.4℃
  • 맑음천안 24.9℃
  • 맑음보령 22.5℃
  • 맑음부여 24.9℃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8.01.08 17:41:07
  • 최종수정2018.04.01 13:19:25
[충북일보] 시간이 갈수록 논란은 점점 더 커졌다. 충북도민 전체의 관심사로 떠올랐다. 도민소통특별보좌관에 대한 관심은 그만큼 컸다. 그럼에도 도민소통특보는 결국 임명되지 않았다.

*** '인사=만사' 성립조건 갖춰야

새해벽두 송재봉 내정자가 자진 사퇴했다. 며칠 뒤 이시종 충북도지사가 공개 사과했다. 도민소통특보 신설은 없던 일이 돼버렸다. 이 지사와 송 내정자 모두 상처만 입었다.

'인사(人事)가 만사(萬事)다.' 예나 지금이나 크게 달라지지 않는 명제다. 세상사가 인사관리에서 비롯되기 때문이다. 인사는 '어떤 사람을 골라 어디에 두고 어떻게 관리하는가'의 방식이다. 조직 관리의 성패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충북도의 이번 소통특보 인사는 누구에게도 득이 되지 못했다. 자칫 '인사=망사(亡事)'가 될 뻔 했다. 이 지사는 지금도 여론의 호된 질타를 받고 있다. 송 내정자는 부지불식간에 부적절한 인물로 추락했다.

이 지사가 어떤 의도로 소통특보를 내정했는지 정확히 알 수는 없다. 하지만 도민들과 더 많은 소통을 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다양한 스펙트럼을 통해 보다 광범위한 교류를 하려 했던 것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적어도 겉으로 드러난 것만 보면 그랬다. 하지만 다양한 소통은 구호였음이 쉽게 간파된다. 이 지사는 SNS에서 "소통특보의 임명이 정치적 이해득실만 따진다면 득보다 실이 큰데도 도민과 약속을 지키기 위해 소통특보 제도를 도입한다"고 했다.

그러나 송 내정자의 자진사퇴 후 이 지사의 말이 바뀌었다. 더 이상 후임 소통특보 임명 계획이 없다고 했다. 진정으로 도민과 약속을 지키려면 더 적절한 인물을 골라 임명하는 게 맞다. 아예 없던 일처럼 하는 건 아무래도 좀 지나치다.

이 지사의 소통특보 인사는 일단 실패했다. '선거용'이니 '보은용'이니 하는 말이 나올 때 이미 예견됐다. 이런 말들은 결국 낙하산 인사란 오해로 이어졌다. 이 지사가 좀 더 신중했어야 했다. 보다 더 적절한 인물을 골랐어야 했다.

도민들은 도민의 눈높이에 맞는 소통전문가를 원한다. 보은인사나 코드인사로 내정된 그런 낙하산을 원치 않는다. 해당 영역에서 전문성과 역량을 가진 인물을 원한다. 이 지사는 그런 인물을 찾아 기용했어야 했다. 그런 인사 임용이 진정한 발탁인사다.

'인사=만사' 등식 성립엔 몇 가지 선행조건이 있다. 우선 전문적 능력을 갖춘 인물이어야 한다. 그 다음이 적재적소 배치다. 이런 조건이 충족돼야 '인사=만사' 등식이 완성된다. 그런데 이 지사가 이런 선행조건을 간과했다.

공직사회의 인사성공 조건은 까다롭다. 공직은 국민을 섬기는 공복(종)들의 집단이다. 오직 국민만을 위해 일하는 사람들이다. 연공서열과 능력도 비교적 뚜렷이 나타난다. 물론 그렇다고 인사가 꼭 계획한 대로 되는 건 아니다.

이번 논란을 지켜보면서 분명히 알게된 게 하나 있다. '인사=만사' 등식 성립을 위한 선행조건의 이행이다. 선행조건 불이행이 낳은 결과는 뼈아픈 '미스 매칭'이었다. 궁극적으로 이 지사의 인사 실패로 귀결됐다.

*** 더 엄격하게 다시 결론 내려야

이 지사는 스스로 무너졌다. 소통특보 인사가 선거용 이라는 소문과 맞물려 권력의 사유화 오해까지 받았다.

소통특보는 좋은 제도다. 행정자치부가 민관 소통을 통한 '협치 거버넌스'를 추진하기 위해 새로 신설한 자리다. 관료 중심의 고착화된 의사 결정과정에 새로운 바람을 불어 넣을 수 있다. 이런 제도를 방치하는 건 책임의 방기다.

이 지사는 냉정하게 판단해야 한다. 다시 결론을 내려야 한다. 엄격한 잣대로 적절한 인물을 골라 임명해야 한다. 소통분야에서 전문성과 역량을 갖춘 인물을 찾아야 한다. 그래야 사통팔달 소통할 수 있다. 정치적 역학관계와 원만히 결합할 수 있으면 더 좋다.

비난이든 비판이든 상관없다. 옳다면 받아들이는 게 최선이다. 누가 그 말을 했는지 따질 필요가 없다. 도민이 원하는 수준으로 소통할 수 있는 소통특보면 된다. 가장 중요한 건 엄격한 잣대 적용이다.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기술을 넘어 협력으로" 성장 네트워크 구축하는 충북이노비즈

[충북일보] "충북 이노비즈 기업들이 연결을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경쟁력을 확보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은 지역 내 탄탄한 경제 기반으로 핵심역할을 하고 있다. 30일 취임한 안준식(55) 신임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장은 회원사와 '함께 성장하는 기술혁신 플랫폼'으로서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 역할을 강화한다는 것에 방점을 찍었다. 안 신임 회장은 "취임 후 가장 먼저 해야할 부분은 이노비즈기업 협회와 회원사 위상 강화"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대외협력위원회(위원장 노근호 전 충북테크노파크 원장) △경영혁신위원회(위원장 이미연 ㈜유진테크놀로지 대표) △회원사 협력위원회(위원장 한연수 ㈜마루온 대표) △봉사위원회(위원장 함경태 ㈜미래이앤지 대표) △창립 20주년 추진위원회(위원장 신의수 ㈜제이비컴 대표)로 5개 위원회를 구성했다. 안준식 회장은 도내 회원사들이 가진 특징으로 빠른 적응력과 협력네트워크를 꼽았다. 그는 "충북 이노비즈 기업은 제조 기반 기술력과 신사업으로의 적응력이 뛰어나다. 첨단산업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이 다수 분포해 있고, 산업단지 중심 클러스터화도 잘 이뤄져 있어 협력 네트워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