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충주 25.4℃
  • 맑음서산 21.4℃
  • 맑음청주 25.4℃
  • 맑음대전 25.8℃
  • 맑음추풍령 26.0℃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맑음홍성(예) 23.7℃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고산 18.1℃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제천 23.9℃
  • 맑음보은 25.4℃
  • 맑음천안 24.9℃
  • 맑음보령 22.5℃
  • 맑음부여 24.9℃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3.07.03 16:31:23
  • 최종수정2013.08.04 00:44:01

신순애

탑디자인 대표

잠시 망설였다. 하지만 곧 나섰다. 사무실 외부 공간 정비는 내 맘처럼 쉽지 않았다. 담장을 새로 고치고 색을 입히는 일은 낯설었다. 사무실 주변 빈터엔 각종 여름 채소도 심었다. 늘 남의 손을 빌어 하던 일을 직접 하려니 우선 몸이 고단했다. 하지만 색을 칠하는 정도는 할 수 있겠지 하는 마음으로 날 테스트 해봤다. 담장은 4시간30분 걸리고 테크는 그다음날 칠했는데 3시간 정도 걸렸다. 처음으로 색을 칠해본 거라 그런지는 몰라도 무어라 말할 수 없이 행복하고 감사했다.

내 직업은 디자이너다. 더 정확히 말하면 산업디자이너다. 직업이다 보니 남의 담장에 놓인 유리조각 하나하나에도 관심을 갖고 하찮게 보이는 간판에도 평가하곤 한다. 하물며 내가 직접 디자인하거나 설치한 작품에 대해서는 말할 것도 없다. 몇 달 전 증평에 간 적이 있다. 그런데 깜짝 놀랐다. 증평 사거리에 설치된 증평인삼을 상징하는 조형물의 색이 검은 색으로 변해 있었기 때문이다. 증평군청을 방문, 사연을 들어봤다. 사연인즉, 증평인삼 상징물이 변해 덧칠 작업을 했다는 내용이다. 사실 증평인삼 조형물은 몇 년 전 내가 공모를 통해 설치한 작품이다. 내 작품이 저렇게 검게 덧칠돼 있는 것을 도저히 더는 두고 볼 수 없었다. 남의 물건도 낡거나 손상되면 지적을 하는 성격인데 참을 수가 없었다. 채색 작업에 들어가게 되었다. 산뜻하게 잘한다고 했는데 영 내마음이 편치 않았다. 이틀 뒤 스카이를 다시 불렀고 선생님도 다시 모셔, 더욱더 싱싱해 보이는 인삼으로 음양을 주고 다듬었다. 더운데 힘은 들었지만 산뜻하게 작업을 마쳤다.

무엇보다 내 기분이 좋았다. 내 작품에 대한 소중함에서 출발한 작은 행동이었지만 만족스러웠다. 즐거운 마음으로 돌아오면서 직업정신에 대해 생각해 봤다. 정말 프로다운 직업정신은 뭘까. 쉽게 답을 내릴 수가 없었다. 청주에 거의 다 왔을 즈음 머리를 스쳐가는 한 단어가 있었다. '장인정신'이었다. 장인정신이야말로 정말 프로다운 직업정신 같았다.

장인정신은 자기가 하고 있는 일에 전념하거나 한 가지 기술을 전공, 그 일에 정통하려고 하는 철저한 직업 정신을 말한다.

우리 민족은 예로부터 일정한 직업에 전념하거나 한 가지 기술을 습득해 그 일에 정통한 사람을 '장이'라고 불렀다. 우리 민족의 정신 속에 내면화되어 있는 철저한 장인 정신과 직업윤리의 한 표현이다. 순수한 우리말로 전문가를 뜻한다.

내 직업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 본다.

나는 과연 장인정신을 갖고 일을 하고 있는가. 흔히 디자인엔 정답이 없다고 한다.

감성적인 면도 많다. 그래서 수학 문제처럼 풀 수가 없다. 다만 실용성이나 심미성은 물론 여러 가지를 다 고려해서 최고의 작품을 만들려 노력할 뿐이다.

그러나 늘 한계에 봉착하곤 한다. 한정된 예산이나 시간문제, 다양한 이용자의 선호 문제 등을 해결해야 하기 때문이다. 지방자치단체 조형물의 경우 내가 내 돈으로 하는 게 아니다. 내가 보고 느끼기에 좋아서 되는 것도 아니다. 일반 다수가 보고 좋게 느껴야 좋은 작품이다. 그러다 보니 부득이 최적의 디자인이 선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왜 저런 디자인을 했을까 하는 의구심을 사기도 한다. 지자체에서 요구하는 대부분 작품의 경우 사회적 수요를 가장 중시한다.

그 수요를 충족시켜야 가장 성공적인 작품이다. 증평인삼 조형물을 채색작업을 다시 하면서 많은 생각을 해 봤다. 검게 덧칠한 인삼조형물에 대해 증평군민이나 일반 다수가 어떻게 생각했을까.

그리고 내가 그냥 지나쳤다면 어땠을까.

하길 잘했다는 생각이 들었다. 다시 한 번 생각해 본다. 나는 대가를 받고 일을 해준다. 그리고 받는 만큼 생산해 내야 한다. 그래서 일반 다수의 공감이 없는 디자인은 안 된다. 앞으로 더 일반 아마추어들의 신뢰를 얻으려 노력해야겠다. 그 게 최소한의 장인정신을 실천하는 길인 것 같다. 오늘은 정말 보람된 하루였던 것 같다.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기술을 넘어 협력으로" 성장 네트워크 구축하는 충북이노비즈

[충북일보] "충북 이노비즈 기업들이 연결을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경쟁력을 확보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은 지역 내 탄탄한 경제 기반으로 핵심역할을 하고 있다. 30일 취임한 안준식(55) 신임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장은 회원사와 '함께 성장하는 기술혁신 플랫폼'으로서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 역할을 강화한다는 것에 방점을 찍었다. 안 신임 회장은 "취임 후 가장 먼저 해야할 부분은 이노비즈기업 협회와 회원사 위상 강화"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대외협력위원회(위원장 노근호 전 충북테크노파크 원장) △경영혁신위원회(위원장 이미연 ㈜유진테크놀로지 대표) △회원사 협력위원회(위원장 한연수 ㈜마루온 대표) △봉사위원회(위원장 함경태 ㈜미래이앤지 대표) △창립 20주년 추진위원회(위원장 신의수 ㈜제이비컴 대표)로 5개 위원회를 구성했다. 안준식 회장은 도내 회원사들이 가진 특징으로 빠른 적응력과 협력네트워크를 꼽았다. 그는 "충북 이노비즈 기업은 제조 기반 기술력과 신사업으로의 적응력이 뛰어나다. 첨단산업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이 다수 분포해 있고, 산업단지 중심 클러스터화도 잘 이뤄져 있어 협력 네트워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