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충주 25.4℃
  • 맑음서산 21.4℃
  • 맑음청주 25.4℃
  • 맑음대전 25.8℃
  • 맑음추풍령 26.0℃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맑음홍성(예) 23.7℃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고산 18.1℃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제천 23.9℃
  • 맑음보은 25.4℃
  • 맑음천안 24.9℃
  • 맑음보령 22.5℃
  • 맑음부여 24.9℃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1.11.02 17:40:48
  • 최종수정2013.08.04 00:44:01

변광섭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 부장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4대강 사업이 마무리된다. 2년간 22조원이라는 엄청난 예산을 들였으며, 물줄기 보다 더 길고 험한 찬반논쟁으로 한반도가 신음했다. 4대강에 새로운 생명과 미래가치를 담겠다는 정부의 의지와 생태계 파괴에다 비생산적이라는 시민사회의 간극을 좁히지 못한 채 한강 낙동강 영산강 금강의 4대강에 16개 보가 완공되었다.

따지고 보면 개발을 강행한 정부의 주장과 반대에 앞장섰던 시민사회 논리의 정점은 하나였다. 신음하고 있는 한반도를 살려야 한다는 것이다. 필자역시 개발 중심의 4대강 사업은 비논리적이고 비생산적이며 시대에 역행하는 일이라는 소신을 갖고 있지만 어느덧 국토는 파헤쳐지고 되돌아 올 수 없는 강을 건너고 말았다. 이것이 현실이라면 4대강에 문화로 물결치고 생명과 생태가 조화로운 신 르네상스를 만들면 좋겠다. 한강을 따라 천년의 역사를, 금강을 따라 백제의 아름다움을, 낙동강을 따라 찬란한 전통문화를, 영산강을 따라 남도의 맛과 멋을 즐기며 자연과 인간, 문화와 문명이 하나되면 좋겠다. 사람들이 그 강줄기에서 나긋한 걸음을 좆으며 새로운 꿈을 심고 희망을 노래할 수 있다면 논쟁은 종식되고 새로운 역사를 만들 수 있지 않을까.

필자는 4대강 정비사업이 시작되는 시점에 공예숲 조성을 제안한 적이 있었는데 이제부터 본격적으로 실천으로 옮겨야겠다. 공예숲이란 한반도 젖줄에 공예문화의 향연이 흐르는 아름다운 공간을 말한다. 각기 문화적, 지리적, 생태적 특징을 갖고 있는 4대강에 차별화된 공예숲을 조성하고 가장 한국적이고, 가장 세계적이며, 가장 미래지향적인 문화콘텐츠를 담자는 것이다. 국내에서 소비되는 가구와 옻칠 등 공예품의 원재료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데 지역별로 특화된 묘목을 식재하고 관리하며 녹색체험마을을 조성하면 4대강을 친환경 녹색공간으로 변모시킬 뿐 아니라 미래지향적인 자원이 될 수 있다. 게다가 이들 공간에 농촌체험과 생태 및 문화체험, 공예체험 공간과 병행시키고 올레길이나 둘레길처럼 슬로우시티를 만든다면 도시민의 휴식공간과 농촌의 신경제성장의 거점이 될 수 있다.

고사위기에 직면한 실크로드 산업을 부흥시키고 이를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4대강 실크로드사업 필요하다. 실크와 관련된 생산 및 유통, 연구 및 개발을 추진하고 관련문화를 엿볼 수 있는 박물관 미술관 건립과 바이오산업에 이르기까지 마스터플랜을 짜고 접근해야 한다. 이와함께 권역별로 차별화되고 특화시킨 공예테마파크와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공예창작스튜디오와 4대강 거점별 축제문화 개발 및 지원으로 관광상품화 하는 노력도 필요하다. 물론 한지 한옥 한식 한글 한복 한국음악 등 한브랜드를 상생시키면 무한한 에너지가 샘솟을 것이다. 고려청자, 이조백자, 분청사기의 도자문화에서부터 금속, 목칠, 섬유 등 한국의 공예문화는 세계 최고의 권위를 인정받고 있다. 애달프고 고단한 한국사와 함께 단절 및 왜곡되면서 지금은 제몫을 하지 못하고 있지만 우리의 몸속에는 장인의 DNA가 흐르고 있다.

사실 인류는 강줄기를 중심으로 창조되며 역사의 물줄기를 만들어 왔다. 한국사도 그러하다. 조선시대의 역사문화와 근대의 아픈 과거를 간직하고 있는 한강, 백제의 숨결이 오롯이 남아있는 금강, 농경과 생태와 식도락으로 풍요로웠던 영산강, 하회마을 병산서원 소수서원 팔만대장경 등 전통문화의 감동이 물결치는 낙동강 등 유유히 흐르는 물줄기와 함께 달려오지 않았던가. 4대강에 세워진 16개의 보에 역사성을 담았다 하니 물길따라 발길따라 스토리텔링 여행을 즐기며 새로운 미래를 고민해야겠다.

이제, 한국의 미래를 공예문화에서 찾으려는 지혜와 열정이 필요하다. 전통문화에서부터 최첨단 IT·BT·CT산업에 이르기까지 공예로 통(通)하는 나라만이 희망이 있다. 디지털 시대에 아날로스 정신이 살아 있는 것은 오직 공예뿐이기 때문이다. 법고창신(法古創新)이라고 하지 않았던가. 옛것을 본받아 새것을 창조하려는 발상의 전환, 생태와 지역문화가 조화로운 공예크루즈 상품을 만들고자 하는 모색과 가치의 확장만이 우리가 살 길이다.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기술을 넘어 협력으로" 성장 네트워크 구축하는 충북이노비즈

[충북일보] "충북 이노비즈 기업들이 연결을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경쟁력을 확보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은 지역 내 탄탄한 경제 기반으로 핵심역할을 하고 있다. 30일 취임한 안준식(55) 신임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장은 회원사와 '함께 성장하는 기술혁신 플랫폼'으로서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 역할을 강화한다는 것에 방점을 찍었다. 안 신임 회장은 "취임 후 가장 먼저 해야할 부분은 이노비즈기업 협회와 회원사 위상 강화"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대외협력위원회(위원장 노근호 전 충북테크노파크 원장) △경영혁신위원회(위원장 이미연 ㈜유진테크놀로지 대표) △회원사 협력위원회(위원장 한연수 ㈜마루온 대표) △봉사위원회(위원장 함경태 ㈜미래이앤지 대표) △창립 20주년 추진위원회(위원장 신의수 ㈜제이비컴 대표)로 5개 위원회를 구성했다. 안준식 회장은 도내 회원사들이 가진 특징으로 빠른 적응력과 협력네트워크를 꼽았다. 그는 "충북 이노비즈 기업은 제조 기반 기술력과 신사업으로의 적응력이 뛰어나다. 첨단산업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이 다수 분포해 있고, 산업단지 중심 클러스터화도 잘 이뤄져 있어 협력 네트워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