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충주 25.4℃
  • 맑음서산 21.4℃
  • 맑음청주 25.4℃
  • 맑음대전 25.8℃
  • 맑음추풍령 26.0℃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맑음홍성(예) 23.7℃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고산 18.1℃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제천 23.9℃
  • 맑음보은 25.4℃
  • 맑음천안 24.9℃
  • 맑음보령 22.5℃
  • 맑음부여 24.9℃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1.03.10 18:44:29
  • 최종수정2013.08.04 00:44:01

조혁연 대기자

이긍익(李肯翊·1736~1806)이 지은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은 방대한 규모로 유명하다. 59권 42책으로, 저술 기간만 30년에 이르고 있다. 그는 부친 이광사 유배지인 신지도(薪智島)에서 42세 때부터 저술하기 시작하여 타계할 때까지 이 책에 매달렸다.

특히 그가 추구했던 객관주의 역사 의식은 지금도 사계의 표본이 되고 있다. 그는 역사 저술의 기본 태도로 '술이부작(述而不作)'을 견지했다. 서술은 하되 작문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흔히 연려실기술에는 야사 모음집이라는 수식어가 따라 붙는다. 이긍익은 수집한 각종 야사를 글로 남기되 반드시 출처를 명기했다. 그러나 자신의 주관은 하나도 첨가하지 않았다. 앞서 언급한 '술이부작'이다.

'연려실'은 그의 서실(書室)이름으로, 중국 한나라의 유향(劉向)이 옛 글을 교정할 때 명아주 지팡이에 불을 붙여 방안을 밝게 했다는 고사에서 유래했다. 이긍익은 우리고장 청원 문의의 덕천사우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적었다.

'덕천사우(德川祠宇) 숙종 갑술년에 세웠다. 유희령 호는 몽암(夢庵)이며 호조참의를 지냈다. 유흥룡 호는 숙옹(塾翁)이며 감찰을 증직하였다. 우신언 호는 묵재(默齋)이며, 찰방을 지냈다. 정응창 호는 유항(柳巷)이며 공조 좌랑을 증직하였다.'-<연려실기술>

인용문 중에 유희령(柳希齡·1480년∼1552)이라는 인물의 이름이 보인다. 그의 본관은 진주이다. 따라서 영남인으로 볼 수 있다. 그런 그가 우리고장 청원 문의와 인연을 맺고 있는 것이 심상치가 않다.

얼마전 유인숙(柳仁淑·1485∼1545)이라는 인물을 소개한 적이 있다. 그는 을사사화에 직접 연루된 것이 드러나, 그의 세 아들과 함께 문의에서 처형됐다.

일부 기록은 청원 현도면 노산리를 처형지로 적고 있으나, 고증은 잘 안되고 있다. 노산리는 대청댐 하류로, 신탄진 건너편이 된다. 따라서 고증 여부에 관계없이 문의 일대에 유인숙의 연고지가 있었던 것은 분명해 보인다. 유인숙은 기묘사화 때는 사림을 적극 두둔하다 파직돼 구속당한 전례도 있다.

바로 유인숙의 조카가 유희령이다. 그는 작은아버지 유인숙이 기묘사화 때 화를 당하자 어떤 이유에서 인지 관직을 버리고 우리고장 문의로 내려온 것으로 돼 있다.

그의 문의 은거생활은 길지는 않았다. 그는 2년 후 다시 벼슬길에 나아가 호조참의까지 오르나 1545년 발생한 을사사화의 화를 입게 됐다. 그 결과, 그는 절도(絶島)로 유배된 후 8년만에 병사하면서 다시는 문의 땅을 밟지 못했다.

앞서 연려실기술을 장황하게 설명한 이유가 있다. 유희령의 대표 저서로 대동시림(大東詩林)과 대동연주시격(大東聯珠詩格)이 있다. 조선 명종 때 문인은 권응인은 자신이 지은 송계만록(松溪漫錄)에서 두 권의 책을 다음과 같이 평했다.

'대동시림과 대동련주시격을 지었는데, 이것은 술(述)이지 작(作)이 아니다. 두 분이 지은 시문은 세상에 보기 드무니, 이것은 술(述)에는 능하지만 작(作)은 하지 못해서 그런 것인가.' 객관을 중시했다는 점에서 이긍익과 유희령은 상통하는 면이 있었다.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기술을 넘어 협력으로" 성장 네트워크 구축하는 충북이노비즈

[충북일보] "충북 이노비즈 기업들이 연결을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경쟁력을 확보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은 지역 내 탄탄한 경제 기반으로 핵심역할을 하고 있다. 30일 취임한 안준식(55) 신임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장은 회원사와 '함께 성장하는 기술혁신 플랫폼'으로서 이노비즈협회 충북지회 역할을 강화한다는 것에 방점을 찍었다. 안 신임 회장은 "취임 후 가장 먼저 해야할 부분은 이노비즈기업 협회와 회원사 위상 강화"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대외협력위원회(위원장 노근호 전 충북테크노파크 원장) △경영혁신위원회(위원장 이미연 ㈜유진테크놀로지 대표) △회원사 협력위원회(위원장 한연수 ㈜마루온 대표) △봉사위원회(위원장 함경태 ㈜미래이앤지 대표) △창립 20주년 추진위원회(위원장 신의수 ㈜제이비컴 대표)로 5개 위원회를 구성했다. 안준식 회장은 도내 회원사들이 가진 특징으로 빠른 적응력과 협력네트워크를 꼽았다. 그는 "충북 이노비즈 기업은 제조 기반 기술력과 신사업으로의 적응력이 뛰어나다. 첨단산업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들이 다수 분포해 있고, 산업단지 중심 클러스터화도 잘 이뤄져 있어 협력 네트워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