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충주 17.0℃
  • 맑음서산 18.6℃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추풍령 19.0℃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고산 18.8℃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제천 17.2℃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8.7℃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0.03.15 16:52:02
  • 최종수정2013.08.04 00:44:01

조혁연 대기자

어윤중에 대해서는 할 말이 더 있다. 백두산 정계비는 지금도 종종 언론에 회자된다. 이 문제를 처음 제기한 사람이 어윤중이다.

1721년 조선의 조태상 등과 청나라 목극동 일행이 현지를 답사하고 백두산 동남쪽 약 4㎞ 지점(해발 2천200m)에 백두산 정계비를 세웠다. 양국 간 국경선이 처음으로 획정된 것은 이때가 처음이다.

이 정계비에는 "서쪽으로는 압록강, 동쪽으로는 토문강으로 하여 이 분수령에 비를 세운다(西爲鴨綠 東爲土門故於分水嶺上 勒石爲記)"고 기록돼 있다. 여기서 '토문강'이 두만강을 지칭하는지 현재 중국 영토 안의 '토문강'을 지칭하는지는 당시에도 논란거리였다.

이 때문에 1885년(고종 22년)과 1887년 서북경략사로 나간 어윤중은 숙종 때 백두산에 세워진 정계비를 직접 둘러보게 된다. 경략사는 왕의 특명을 받고 변방에 임시로 파견된 관리를 말한다. 이때 어윤중은 비문에 나오는 '동쪽은 토문을 경계로 한다' 할 때의 토문이 '두만강이 아닌 송화강 지류를 뜻하는 것'으로 해석했다. 이것이 계기가 돼 조선과 청나라 사이에 처음으로 영토 담판이 열렸으나 소득없이 끝난다.

이밖에 지금도 종종 기사화 되는 두만강 하구의 '녹둔도' 영유권도 어윤중이 처음 제기했다. 두만강 하구에 위치하고 있는 녹둔도는 김정호의 대동여지도에도 조선땅으로 기록돼 있었지만 2차 아편전쟁 직후인 1860년 청나라가 러시아 등과 베이징 조약을 맺을 때 러시아로 넘어갔다.

조선정부는 처음에는 이 사실을 몰랐다. 그러다 이를 뒤늦게 안 고종은 서북경략사 어윤중에게 "영토를 잘 살펴보라" 명령했다. 이에 어윤중은 "녹둔도는 모래가 쌓여 러시아 땅에 연접했으나 본래 우리 땅이었으며 섬주민 또한 모두 우리 백성으로 중국이나 러시아 사람은 한 명도 없다"고 보고를 한다. 그러나 녹둔도 반환은 끝내 이뤄지지 않고 현재도 러시아가 계속 점유하고 있다.

어윤중이 신사유람단 일원으로 일본은 견학했고, 이후 그의 개혁성향이 더 깊어지는 것은 어느 정도 알려져 있다. 그런데 여기에도 곡절이 있었다. 당시 국내에 청나라 주일외교관 황준셴이 쓴 '조선책략'이라는 책이 전해지면서 국론이 위정척사 즉 쇄국과 개혁파로 극명하게 엇갈린다. 이 책은 '조선이 살아 남으려면 중국과 친하고, 일본과는 결합하며, 미국과 연대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그러자 보수적 성향이 강한 전국 유생들이 들고 일어나면서 개혁파가 궁지에 몰리게 된다. 그러나 고종은 이때 이미 동도서기(東道西器)가 맞다는 시대관을 지니고 있었다. 동도서기란 동양의 정신과 서양의 기술을 결합하자는 주장이다. 조선 말기 진보적 지식인들이 주장한 바 있다. 비슷한 시기 중국에서는 중체서용(中體西用), 일본에서는 화혼양재(和魂洋才)라는 구호가 있었다.

고종은 서구문명 수용이 대세라고 판단, 어윤중에게 동래암행어사 임명장을 줘 부산에 가게 한 후 다시 일본으로 들어가 신문명을 관찰토록 했다. 이상의 내용은 고종이 어윤중을 얼마나 신임하고 있었는지를 알 수 있게 하는 대목들이다. 근래들어 어윤중을 연구한 논문들이 많이 나오고 있다.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